2014년 4월 8일 화요일

우리는 왜 버티기를 멈추고 그만두기를 배워야 할까?

우리는 왜 버티기를 멈추고 그만두기를 배워야 할까?


성장과 배움의 기회를 주고 더 소중한 삶의 목표를 찾게 한다.

일,사랑,삶에서 한 패턴에 갇혀  있는 사람을 꺼내어 준다.

예상치 못한 삶의 역경에 대처하고 회복하도록 한다.


당신은 그만두기 유형 중 어떤 스타일?


☆1.게으름뱅이형

상황이 힘들어지거나 자기가 예상했던 것보다 요구되는 게 많은 듯 보일 때 쉽게 손을 놓는 중도포기 스타일...
이런 사람은 어떤 일도 마무리 짓는 경우가 드물다.


☆2.O.K.목장의 결투형

가식적인 그만두기로 그만두는 것을 최대한 미화시키면서,
그만두는 행위를 도덕적 의무나 다른 책무의 일부로 만든다.
유명인의 이혼이 대표적이다.


☆3.사이비형

불완전한 그만두기.
그만두어야 할 필요성과 욕구에 대해 구구절절 분명하게 설명할 수 있으나,그렇다 해도 여전히 그만두지 못한다.
어떤 행동 방침에 전념하지도 못하고 대안도 없어 어정쩡하게 시간을 보낸다.


☆4.협박형

"네가 이걸 안 하면 난 그만두겠어"하는 식의 입장이다.
이 스타일의 그만두기는 직장의 관리자들에게 나타난다.때때로 임금 인상이나 승진을 위한 꼼수로 사용된다.


☆5.잠적형

'잠적'은 슬그머니 사라지는 게 특징인,사실상의 중도포기다.
당사자의 용기부족이나 목적 부재에서 비롯된다.


☆6.빅뱅형

'한계에 다다른' 순간이며,
고도로 반응적이고,계획이나 의식적 생각이 전혀 없고,감정에 휘둘리는 유형이다.
가장 자기 파괴적인 중단스타일이다.


☆7.잠행형

거짓말쟁이 스타일이라고 부를 수 있다.
실제로는 그만둘 거면서 시치미를 뚝 떼고 앞으로 노력하겠다고 약속까지 한다.


그만두기와 체념은
새로운 출발을 위한 것이고,때로는 매몰비용을 포기하는 것이 더 큰 발전을 가져다 준다.


☆ 미국 심리치료 교수인 앨런 B.번스타인외 1인이 쓴 <더 소중한 삶을 위해 지금 멈춰야 할 것들>에서...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