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쓰기 이론
◆ 스트레이트 기사
△ 보도자료 및 기초자료를 주고 기사를 써보도록 하는 방식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 시위나 집회 현장 등 어떤 이벤트가 벌어지고 있는 현장에 내보내 취재를 하도록 한 뒤 기사작성을 하도록 하는 경우가 일부 있지만, 자료를 주는 경우가 대부분.
△ 신문, 통신용 기사와 방송용 기사 작성이 형식면에서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해 따로 연습할 필요가 있음. 방송용 기사에서는 단신은 비슷하나, 리포트 기사의 형식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 방송용 리포트 기사쓰기를 따로 연습해야 함.
△ 국정홍보처 홈페이지, 정부부처에서 쏟아내는 보도자료들이 많이 공개돼 있음. 이를 내려받아 기사로 써본 뒤 실제 보도된 기사와 비교해보는 방법이 가장 좋은 공부방법
△ 신문기사(방송은 방송기사)가 가장 좋은 교재. 매일 나오는 신문기사를 꼼꼼히 읽어보는 게 좋음. 방송용 기사 쓰기는 각 방송사 홈페이지에 떠 있는 9시뉴스, 뉴스데스크, 8시뉴스 기사스크립트 내려받아 읽어봐야 함
◆ 피처 기사
△ 특정한 주제를 주거나 특정한 장소를 제시한 뒤 수험생이 직접 취재하도록 하고 회사로 돌아와 기사를 작성하도록 하는 방식
△ 장소의 경우에는 청계천, 종로, 명동, 한강둔치 등 특정한 장소나 여러군데에서 찾을 수 있는 장소를 지정해주는 방식이며 주네는 여름, 겨울, 일하는 사람들 등 예상하기 어려운 주제를 제시함
◆ 인터뷰 기사
△ 특정한 인물을 불러 함께 인터뷰한 뒤 기사를 쓰게 하는 방식
△ 인터뷰이 한명과 다수 수험생들이 하는 인터뷰여서 형식은 인터뷰지만 내용적으로 기자회견의 성격을 띠고 있음
△ 보통 인터뷰이를 사전에 알려주지 않고 당일 공개하는 경우가 많음
◆ 스트레이트 기사
△ 정의: 미디어 수용자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뉴스 가치가 있는 사실을 전달하는 기사
△ 기사 가치에 대한 판단 기준
신규성 시의적절성 근접성 영향성 흥미성 저명성 특이성
△ 기사 전달 방법
정확해야 한다 빨라야 한다 쉬워야 한다 구체적이어야 한다 핵심을 요약해야 한다
△ 스트레이트 기사의 성격
뉴스를 전하는 기사. 가장 기본적·기초적 기사형식
신문으로 보자면 종합면, 정치면, 경제면, 사회면의 주요 기사가 스트레이트 기사이며 방송에서 대표적으로 8시뉴스와 9시뉴스의 주요 뉴스들이 스트레이트 기사임
1면 머릿기사부터 사회면 1단 기사까지 그 중요도와 기사의 분량이 천차만별. 뉴스의 중요도와 성격에 따라 크기가 결정되므로, 그에 맞춰 길이도 적당하게 조절해야 함(1면 머릿기사는 원고지 5~8단, 기사는 한 문장~서너 두 문장)
사실 전달이 기본이므로 가능한 한 주관은 배제. 그러나 주요 기사일수록 사실에 대한 약간의 해석을 붙여야 함. 가장 일반적인 형식은 ‘이에 따라 ~할 것으로 보인다’는 구조의 문장을 리드 문장 다음에 붙이는 것이다.
△ 스트레이트 기사 쓰기 방법
역피라미드식(두괄식) 역피라미드식이란 기사의 앞부분에 기사의 핵심적인 내용을 배치하는 방식의 기사쓰기법을 일컫는 말이다. 잡지를 제외하고 신문이나 방송의 경우 상당한 비율의 기사가 역피라미드형 기사체로 쓰여지고 있는 한국언론 현실이다.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사실부터 순서대로(지면 사정에 따라 뒷부분이 잘릴 수 있다는 점을 늘 염두에 둘 것)
새로운 사실부터 앞에 배치하고 이전 사실일수록 뒤에 배치함.
중요한 인물일수록 앞에, 덜 중요한 인물일수록 뒤에 배치함.
독자나 시청자가 가장 궁금한 것을 앞에, 덜 궁금한 것은 뒤에 배치함.
6하원칙: 누가-언제-어디서-무엇을-어떻게-왜
한 문장 안에 다 담으려 하면 문장이 너무 길어지고 지루해져서 좋지 않다. 핵심에 맞는 팩트를 고르고 나머지 팩트는 다음 문장으로 넘긴다.
7대요소: 정확.구체.명확.간결.객관.응집.일관
종합형(성격 또는 소스가 다른 여러 스트레이트 기사의 결합형)
단순형(단일한 사건이나 단일한 팩트를 전달하는 기사)
사실+취재원이 반드시 담겨 있어야 함.
대부분의 경우, 특히 이해충돌을 다룰 경우 취재원은 복수로 확보(이해 다툼의 쌍방 주장을 모두 반영)
△ 기사 작성의 4단계 접근법
기사 주제 세밀하게 정하기
다루고자 하는 기사는 주제나 맥락, 초점 등이 잘 맞춰졌는가
혹시 다른 관점이나 시각, 방법론으로 접근해야 하는 것은 아닌가
기사의 주제 또는 핵심 내용은 어떤 시각이나 맥락에서 보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음. 따라서 하나의 사건이나 이슈라고 하더라도 여러 각도에서 조명해보고 어떤 식으로 기사를 다룰지에 대해서 깊이 있게 토론하고 고민할 필요가 있음. 예를 들어 고속도로에서 수학여행 버스가 굴렀는데 탑승자가 모두 안전벨트를 매고 있어 인명피해가 거의 없었다고 하면 핵심 주제는 수학여행 버스가 굴렀다가 아니라 안전벨트 덕분에 인명피해가 적었다가 돼야 할 것임
자료수집 또는 취재 작업
더 필요한 자료는 없는가
새로운 취재원을 접촉해야 하는가
기사골격의 구성
기사틀을 어떻게 할 것인가
자료를 제시하는 순서는 만족스러운가
리드는 제대로 정했는가
기사 고치기
전체적으로 기사의 흐름은 좋은가
결정적인 자료가 누락되지는 않았는가
글의 흐름과 어휘의 선택은 자연스러운가
문법, 어법을 잘 지켰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