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학개론 강의노트
1주: 언론학은 무엇인가. 어떻게 변화해왔는가?
-
언론학의 개념과 연구 대상
-
뉴미디어 대 올드미디어
-
컨버전스 문화
-
정보 수신자에서 미디어 산비자로
[미사]제1장 매스미디어의 본질
1
인간,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미디어
가)
커뮤니케이션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활동. 상징을 통해
정보나 의견을 주고받는 행위
① 상징이란 언어적 요소 뿐 아니라 몸짓과 표정과 같은 비언어적 요소까지 포함
② 인간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의미를 공유, 공동체 의식을
느낀다.
- 즉, 사회적 삶을 영위하는 데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 행위가
바로 커뮤니케이션
나)
미디어는 정보를 시ㆍ공간적으로 이동시켜 주는 매개물
① 발신자, 수신자 모두 미디어를 이용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참여
- 서로가 공유할 수 있는 문화적 약속이 필요
② 언어에 의존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정보를 정확하고 손쉽게 전달할 수 있게 됨
- 언어의 발명은 인류가 이룩한 첫 번째 커뮤니케이션 혁명
③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은 다른 동물의 정보소통 행위와 질적 차이가 있다.
언어를 통해 의미를 공유하거나 축적, 다음 세대에까지 전달하는 문화적 성격을 지닌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 커뮤니케이션은 인간만이 지닌 고유의 능력
④ 매스미디어의 성격을 지닌 인쇄매체가 등장한 이후, 계속
등장.
- 정보전달 기술의 발달은 가히 혁명적으로 빨랐다. 슈람의 24시간 미디어 발달 환산
2
미디어의 융합(컨버전스)
가)
미디어 기술의 급성장 저변에는 전화기(1876), 텔레비전
방송(1926), 전자 컴퓨터(1940)
나)
1965년 무어의 법칙
① 계산능력이 18개월에서
2년 사이에 두 배로 증가
- 컴퓨터 소형화. 장난감,
자동차 등 모든 제품에 컴퓨터가 내장돼
- 닌텐도 게임기의 컴퓨터가 아폴로 13호 중앙처리장치보다
계산능력이 뛰어나
② 점차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
다)
미디어 융합
① 디지털미디어와 같이 하나의 미디어 시스템 내에서 각종 상이한 정보유형이 수렴되고, 정보유통이 단일한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는 현상을 의미
② 미디어의 기술적 구조변화뿐 아니라 정보의 유형과 그에 따른 분류기준 및 경계가 사라지는 것을 뜻함
③ 인간의 오감에 대응, 구분됐던 커뮤니케이션 양식의 통합
의미, 미디어 이용자의 컴 양식 자체 변화 초래
④ 최근 인터넷은 미디어 융합의 전형
- 이메일, 전자상거래, 전자뱅킹, 전자도서, 전자잡지 등
- 컴퓨터 안에서만 존재하는 사이버대학, 가상기업, 가상현실 등
라)
헨리 쟁킨스 컨버전스 문화
“콘텐츠를 이동하게 하는 것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람들의 문화가 원동력”
① 기기는 다양해짐과 동시에 기술은 집적된다. 인간의 상상이
커뮤니케이션에서 계속 실현됐다.
② MIT
미디어랩 “1978년 컴퓨터-텔레컴 네트워크 발달
→ 전통적인 매스미디어간의 통합, 융합”
③ 가상 공간에 현재의 위치를 표시하는 reality /
real-time이 가능해졌다.
④ 현재는 시각적인 효과는 물론 청각, 느낌 등을 반영할 수도
있다.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초반 인터넷은
온/오프라인의 분리였다.(아바타)
지금은 온오프라인을 묶어 현실보다 더 증강된 현실을 경험하게 한다.
지금은 온오프라인을 묶어 현실보다 더 증강된 현실을 경험하게 한다.
- 기술의 발달이 뒷받침돼야 하지만 유저의 참여도 중요하다.
3
커뮤니케이션의 구조
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필요한 것
① 말, 문자, 그림(기록)
- 내포하는 확실한 의미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시대적인 맥락 안에서 재해석해야 한다.
- 문자를 모든 사람이 아는 것은 아니었다. 신관, 종교 종사자만 알던 시기도 있었다. 커뮤니케이션이 대중적으로 확산된
것은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 종교개혁에 영향
- 무언가 문화적으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구매력’이 중요. 책이 사회경제적인 지위를 드러내기 시작
② 책 ‘대중적으로 책을 보게 된 시기는?’
- 이전에 필사에서 인쇄술의 발전으로 가능해졌다. (킹제임스버전, 옥스포드 출판부)
③ 구전 ‘인간이 말한 이후 계속 변화’
- 베오울프. 전설이 소설로 기록됐다. 전승되는 이야기는 영웅 서사시. 전승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
문자가 있어도 여전히 전승은 지속. 19~20세기 초 녹음(recording)이 가능해지면서 기록이 가능
문자가 있어도 여전히 전승은 지속. 19~20세기 초 녹음(recording)이 가능해지면서 기록이 가능
나)
20세기 획기적인 변화
① 18세기 telegraph 전신 출현. 종이를 통하지 않고도 시공간을 초월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졌다.
② 커뮤니케이션의 동시성 real time event
- OJ심슨. 부인과 이혼 후 살해혐의를 받아 도주하는 장면을 실시간 보도 ‘시간과
지역’을 초월
다)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과정
① 인간 커뮤니케이션
- 발신인이 전달하려는 생각이나 의견을 언어ㆍ비언어적 상징으로 형상화.
메시지를 작성, 수신인에게 전달. 수신인 또한
전달된 메시지에 담겨 있는 상징의 의미, 나름대로 해독해 메시지를 인지하고 이해.
-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는 발신인의 의도=수신인의
해석
- 의도와 해석이 다를 때는
물리적 조건: 너무 작은 목소리, 희미한 조명,
잡음 등
심리 상태: 의미의 부호화와 해독이 심리상태 때문에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사회문화적 요인: 낯설게 느껴지거나 그 뜻을 잘못 이해하는 등
② 정확한 커뮤니케이션의 원칙
- 환류(feedback): 쌍방간의 메시지 교환과정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컴 상황에서 상대방이 메시지를 수용할 때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매우 중요
- 역할전이(role taking): 메시지 전달 전에 상대방의
입장에서 메시지를 해석.
- 인간 상호간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이 매스미디어를 이용한 컴보다 정보전달의 정확도가 훨씬 높다.
라)
전통적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사회적 상황 차이에 따라
- Intrapersonal comm, Interpersonal comm,
Group comm, Organization comm, Mass comm.
*언어의 사용 여부에 따라: 비언어적 컴 / 언어적 컴
- 정보전달의 통로: 공식적 컴 / 비공식적 컴
① 인간내 커뮤니케이션
- 인간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자신과의 커뮤니케이션
② 대인 커뮤니케이션
- 두 사람 이상이 대화하는 상황에서 일어나는 정보전달 현상
- 대화가 가능할 정도로 근접한 상황에서 적어도 2인 이상이
정보교환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
- 컴에 참여 당사자들은 상대방의 존재를 인정하고 깊은 관심을 보이며 정보전달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 참여자들은 컴에 사용되는 메시지의 상징적 의미를 같은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 문화적ㆍ심리적ㆍ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
- 참여자들이 직접 얼굴을 마주하고 대화하는 상황을 전제하므로 시청각은 물론 후각, 미각, 촉각까지도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동원할 수 있다.
③ 집단 커뮤니케이션
- 집단적 상황에서 일어나는 인간 상호간의 컴의 유형.
- 집단 컴은 인간 상호간의 컴이 지니고 있는 특성을 모두 내포
- ex. 가족이나
동료지단 안에서 벌어지는 대화나 토론
④ 조직 커뮤니케이션
- 조직이라는 사회구조적 환경에서 일어나는 인간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
- 조직이라는 제한된 환경에서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하다.
- 정해진 규칙에 의해 운영. 정보전달 방식이 위계질서의 틀
안에서 이뤄진다.
- 조직컴의 통로는 1) 공식적 2)비공식적 루트가 있다.
⑤ 매스 커뮤니케이션
-
하나의 소스에서 다중에게 전달하는 1대다의 커뮤니케이션
- 신문, 방송, 영화, 서적과 같은 매스미디어를 매체로 대중에게 정보가 전달되는 사회적 과정
- 산업화, 도시화의 결과로 동일한 정보를 동시에 수많은 사람에게
전달할 필요성이 제기
- 매스 커뮤니케이션 과정
a. [S]정보
작성하고 전달하려는 의도를 지닌 전달자
b. [M]정보를
전달받는 수용자
c.
[C]정보의 구체적인 내용
d. [R]정보가
담겨져 있는 매체(각종 매스미디어)
e. [E]수용자에게
전달된 정보가 초래하는 효과
- 매스미디어 변천사
a. 책 → 신문ㆍ잡지 → 라디오 → TV → 컴퓨터
b. 대량 인쇄 가능, 자본주의, 제국주의, 증기선, 증기기관
등장 등으로 대량 생산 가능
당시의 기술 변화, 경제적 변화 덕분에 가능
당시의 기술 변화, 경제적 변화 덕분에 가능
c.
컴퓨터. 스티브 잡스 “PC를 토스트기처럼 놓고 쓰게 하겠다!”
개인용 컴퓨터가 나오면서 1인 출판이 가능해졌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컴퓨터로 각기 분리돼 존재하던 것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면서 많은 것이 가능해졌다.
개인용 컴퓨터가 나오면서 1인 출판이 가능해졌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컴퓨터로 각기 분리돼 존재하던 것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면서 많은 것이 가능해졌다.
*API / Platform
- Platform 무언가를 할 수 있는 기반. 학술적으로 명확한 정의는 없다.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사용자가 어렵지 않게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web 2.0: read&write
다)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유형
현대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이라고 부른다.
정보통신망을 구성하는 컴퓨터망에 의해 이뤄지는 것으로 상호커뮤니케이션이 가능, 시공간 제약
탈피
매스컴은 기술적으로 발달, 사회적으로 제도화된 매스미디어를 이용, 불특정 다수에게 메시지 전달 과정
* SMCR모델
- Source 공급원
- Message 메시지
- Channel 채널
- Receiver
① 상호작용성
- 상호적용적이라는 말은 때로 양방향적이라는 말과 동의어로 사용, 두
사람 사이의 대화에서 진정한 양방향성이 가능한 시스템은 거의 없다. cf. 튜링 테스트
- 미디어 시스템의 내용이 고객지향적이고 선택적인 모든 상황에 적용되기도
a. 인터랙티브 소설
b. 책, 리모콘 tv, 음료
자동판매기는 상호작용적이지 않아.
② 동시적ㆍ비동시적 커뮤니케이션
- 동시성(simultaneity): 수용자 모두가 거의 동시에
메시지를 받는다는 의미
- 비동시적(asynchronous) 컴의 등장은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게 함
③ 컴의 새로운 방식
- 기술이 융합, 문화적 관습이 변화하면서 컴 범주들간의 명백한
구분이 사라지고 있음
- 지리적인 문제가 가깝고 먼 것을 구별 짓지 않는다. Paradox
of Proximity
a. Close but Far
b. Far but close
- 컴의 새로운 패턴이 서서히 등장
- 이모티콘
a. 바디랭귀지를 많이 쓰고 있는데 이 것이 인터넷,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도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했다.
b. 사회적으로 학습돼 언어도 변화한다.
c.
콘텐츠가 서로 어떤 식으로 사용ㆍ유통되는지
보여주는 현상이다.
[이론]03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모델
1
미디어와 사회에 대한 초기 관점
가) 20세기는
매스미디어의 첫 번째 시기
나) 커뮤니케이션 과학이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중요도 논의 없어
다) 미디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준
① 영향력
- 대중신문의 등장으로 사람들은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이 크다고 믿기 시작
- 대중신문은 상업적 광고를 통해 이윤 창출, 콘텐츠는 선정적
뉴스기사로 채워져
- 1차ㆍ2차 세계대전에서 뉴스와 오락 미디어의 가치가 부각
- 조건
a.
대부분 국민에게 도달할 수 있는
미디어 산업
b. 전달되는 메시지에 대한 수용자의 합의 정도가 높아야
c.
미디어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도와
믿음
② 사회통합 / 분열
- 19세기~20세기 농촌사회에서 도시사회로의 변화(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문제
- 대중문화를 창조하는 양식이 범죄, 사회불안, 비인간성 등에 일조하는 것으로 치부
(익명성, 고립, 불확실성)
(익명성, 고립, 불확실성)
- 시카고학파, 미드, 듀이
등 “대규모 이민이 미국사회의 사회적 응집력과 통합력에 미친 문제를 다룸”
- 매스미디어-사회통합 부정적 측면(범죄, 부도덕), 개인화의 문제(외로움, 집단 신념 상실) 차원에서
다뤄짐
- 매스미디어-사회통합 긍.
국가와 도시, 지역사회 관련 경험 공유 / 민주정치
발전, 사회개혁 일조
③ 공중 계몽의 명암(교육적 기능 / 문제 발생 근원이자 희생양)
- 공적인 계몽 수행, 보편적 교육기관 / 저널리스트 전문성, 행동윤리강령
- 민주적 역할 / 라디오의 문화적, 교육적, 정보적 측면
- 최근 컴퓨터와 텔레컴 기술 발전을 통해 뉴미디어의 공중계몽 가능성 역시 주목(누에만)
- 우려의 목소리도 있어.
- 미디어의 폭력, 범죄, 섹스
등 묘사가 사회 도덕적 문제를 증가시킨다?
- 테러리스트 조직과 국제 범죄에 이용된다?
2
대중이라는 개념
가) 전통적 해석 *거대한 집합체 *구성원이 차별화 X *주로 부정적 이미지 *질서나 조직 결여 *대중사회 반영
① 부정적. “다수의 서민”
“보통 사람”: 교육 받지 못해 무지. 비이성적. 폭력적(브람슨)
개인성이 상실된 집합체(OED)
개인성이 상실된 집합체(OED)
② 긍정적. “집단목표를 위해 조직화할 때, ‘대중의 지지’
‘대중운동’ 등으로 다수의 사람들이 함께 긍정적인 일을 할 때 활용되기도.
3
매스 커뮤니케이션 과정
*대규모 배포와 수용 *일방적 흐름 *비대칭적 관계 *비개인적ㆍ익명적 관계 *계산적 관계, 시장 형성 관계
*표준화된 콘텐츠
*표준화된 콘텐츠
가) 특징. 다수의 사람들에 도달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나) 송신자는 미디어 조직 그 자체 or 익명의 소비자로 이루어진
거대 집단
다) 전문 커뮤니케이터, Active Elite(월터 리프만): 저널리스트, 정치가, 종교인
“권위나 명성이 높고 전문성 지녀”
라) 상징적 콘텐츠, 메시지는 전형적으로 표준화된 방식을 통해
대량생산. 재생산과 반복이 독특함과 독창성을 X
마) “매스컴은
전문적 집단이 기술적 장치나 방식을 이용, 상징적 콘텐츠를 광범위하게 흩어진 다수의 이질적 수용자들에게
전달하는 제도나 기술을 의미”
4
대중으로서의 수용자 (블루머, 1939)
대중(mass)
|
집단(Group)
|
군중(Crowd)
|
공중(public)
|
많은 사람들
사회 전반에 널리 퍼져
익명적, 상호작용
결여
구성원 이질적
조직적이지 못하고
스스로 행동하지 못함
조작의 대상
|
구성원 각자 서로 앎
공통의 소속감 의식
같은 가치관 공유
특정 목적 달성 위해
상호작용
|
규모가 크지만 여전히
가시범위
일시적, 참여 정체성
↑
감정적, 비이성적
르봉 “익명성” “폭력성”
프랑스 혁명
|
근본 목적이 정치 변화
공적 이슈ㆍ대의를 목적
담론을 형성
능동적, 수용적, 경계선상에
있는 공중으로 분류 가능 |
5
매스미디어 제도
가) 상징적인 콘텐츠를 생산ㆍ배포 / 적절하게 규제되는 공공영역
내에서 작동
나) 송신자 / 수신자로서의 참여는 자발적 / 조직은 형태 면에서 전문적이고 관료적
다) 미디어는 자유롭지만 큰 권력을 갖지는 못함
6
대중문화 *비전통적 *비엘리트적 *대량생산 *인기와 대중성 *상업적 *획일적
가) 대중들의 폭넓은 취향과 선호, 습성이나 스타일을 지칭
나) 교양ㆍ분별없는 일부 하층계급의 수용자들의 저급한 문화
다) 대중적 문화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문화”
라) 대중문화와 고급문화(윌렌스키)
7
이론과 연구를 위한 지배적 패러다임의 출현
라스웰 “커뮤니케이션의 사회적 기능. 사회유지를
위해 기본적 수행할 임무” 사회통합, 연속성, 질서유지
가) 새넌과 위버의 정보이론 (전송모델): 매스미디어의 영향력과 설득, 태도변화, 효율성을 측정하는 데 활용
*사회에 대한 자유주의, 다원주의의 이상에 기초 *기능주의적 관점
*미디어 효과를 선형적 전송모델로
파악 *강력한 미디어
영향력에 대한 시각은 집단관계 변인으로 조정
*양적 연구와 변인 분석 *미디어를 사회의 문제 발생원인으로 파악
*행동주의 방법, 개인을 분석대상으로 하는 연구방법 *심리학의 발달이 패러다임 전개에 주요한 영향
① 엔트로피 개념과 정보 개념을 연결
② 정보를 한 정보원에서 발행하는 모든 메시지들이나 기호들의 집합으로부터 하나의 메시지나 기호를 선택할
때 부여되는 선택의 자유로 간주
③ 선택 대상이 되는 메시지의 수가 많을수록 선택의 자유는 커지고 이는 선택의 불확실성으로 귀결. 이 불확실성의 크기인 정보량을 엔트로피로 측정(인코더 / 디코더 사이에 노이즈)
8
대안적인, 비판적인 패러다임
배경. 1960~70년대 히피 문화, 민주화 운동, 페미니즘, 반제국주의 등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대중문화 연구.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대중문화 연구.
가) 콘텐츠에 내재된 이데올로기에 대해 보다 정교한 개념 정의
나) 매스미디어 조직과 구조의 경제적, 정치적 성격 재검토
다) 질적 연구방법이 발전(민족지적 성격)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고
미디어가 가치중립적이라는 것에 반대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전송모델로
설명하는 것을 거부
*미디어 기술과 메시지에 대한
결정론적 시각에 반대하는 입장
*해석적, 구성주의적 관점
*질적 방법론 이용
*문화 이론ㆍ정치-경제이론에 대한 선호
*불평등과 사회 내의 반대세력에
대한 관심
*비교: 대안적 패러다임은 단지 전송 차원에서
보는 것을 넘어 의미공유나 의례화된 측면을 강조. 커뮤니케이션을 보다 폭 넓게 이해하려 한다. 대안적 패러다임은 대안적인 동시에 보완전. 상반된 접근을 통해 이론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매스미디어와 관련한 사실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불일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9
커뮤니케이션을 다루는 네 가지 모델
가) 전송모델은 도구적이고 정보전달이나 선전을 목적으로 하는 미디어 활동에 적합
나) 관습모델은 예술, 드라마,
오락,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적합
다) 공시모델은 명성획득, 경제적 수입을 위한 수용자의 높은
관심을 끌어내려는 미디어의 목적을 반영
라) 수용모델은 수용자의 해석이 중요하다는 것을 일깨워준다.
전송모델(Transmission)
|
관습모델(Ritual)
|
공시모델(Publicity)
|
수용모델(reception)
|
샤논, 위버
미디어 효과를 선형적 전송모델로 파악
기능주의적 관점(미디어는
사회통합 질서유지 기능)
양적 연구, 변인 분석
심리학의 발달이 패러다임 전개에 주요한 영향
|
공유, 참여, 융화, 연대감
J.캐리 관습적으로 공유된
이해와 감정에 의존
듀이 지역성, 가치 공유
서로 공유하는 문화와
가치관이 있기 때문에 사회통합 실현 가능 |
단순하게 시청각적 주의
전시와 주목.
경쟁, 현실성, 객관성
논제 설정, 광고주들의
필요
의미의 경쟁적 전시
|
스튜어트 홀
수용자의 입장
받아들일 때 노이즈 등으로 조작해서 받아들임
콘텐츠 의미의 다양성 인정
공동체 존재 인정
수용자의 중요성 강조
|
10 결론
가)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 하는가의 문제. 단순하게 생각할 수
없어.
[이론]07 미디어와 사회에 대한 규범적 이론
1
규범적 의무를 논의하는 기반
가) 미디어의 의무 “자유사회의 미디어에는 긍정적 가치가 있는
목적을 수행할 의무가 특별히 있다? 없다!
나) 미디어 의무에 대한 강제
① 헌법상 강제 의무 없다. 다만 사회의 전통ㆍ관습에 의한
규범이 존재
② 미디어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사회적 주체, 수용자
반응 등 상호작용 속에서 규범이 마련ㆍ실행
2
미디어와 공익
가) 공익: 서로 다른 이해관계에서 필요성이 대두.
공익은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주는 것이나 미디어 시장에서 다수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것과 같은 것
(↔단일주의 절대주의)
공익은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주는 것이나 미디어 시장에서 다수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것과 같은 것
(↔단일주의 절대주의)
① 공익과 관련된 기준과 조건
*출판의 자유 *미디어 소유의 다원성 *정보,
의견, 문화의 다양성
*공적 질서와 국가안전 지원 *폭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도달될 수 있는
서비스
*공중에게 유용한 정보와 문화의
질적 수준 *민주적 정치 시스템에
적합한 지원
*개인의 권리와 일반적인 인권에
대한 존중 *사회와 개인에게 해악과
공격이 되는 것을 피함
3
미디어 사회이론에서의 주요 이슈
가) 미디어 자유 긴급조치 제9호(사전검열 반대, 언론출판의 자유)
나) 소유의 다원화(정부나 특정 사기업이 미디어 산업 소유권
집중, 독점 반대)
다) 정보, 의견, 문화적
콘텐츠의 다양성
라) 공적 질서와 국가 안전유지 지원(심각한 위협, 내부갈등, 폭력 테러행위 발생 방지, 사회질서 유지)
마) 민주적 과정 지원(신뢰할 만한 풍부한 정보 제공, 다양한 표현, 다양한 목소리, 시민
참여 도움)
바) 개인의 사적 권리 존중(사생활 보호, 인격, 공ㆍ사적 권리)
사) 반사회적 행동 조장 안돼(베르테르 효과)
4 초기 이론적 접근: 권력의 제4부로서의 언론(자유주의
모델)
가) 에드먼드 버크, 군주, 교회, 의회 +언론(제4부)
나)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롭게 이야기를 하게 하라”(자기교정 메커니즘 낙관) etc. 토마스 페인, 토크빌
침묵시키는 죄악, 인류권리 박탈
침묵시키는 죄악, 인류권리 박탈
다) 언론에 관한 최초의 이론, 정치과정에서 저널리즘의 역할에
주목
라) 언론의 자유는 개인의 자유, 검열과 의견에 대한 억압 반대
마) 존 밀턴 아레오파지티카(사상의 자유시장)
5
언론자유에 관한 1947년 위원회와 사회책임이론
가) 1947년
허치슨 위원회 “A free and responsible press”
나) 미디어가 사회의 필요에 부응하는 데 실패했고 개혁이 필요하다는 문제를 제기한 첫 공식 보고서
다) 미디어 소유권을 사적 특권으로 보기보다 공적 위탁의 개념으로 인식되기 시작
라) 정부가 자유시장에 다양하게 개입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데 공익이라는 개념을 사용(시버트)
“정부가 적극적으로 자유를 고양, 시민의 자유를 위한 적극적 조치가 필요하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자유를 고양, 시민의 자유를 위한 적극적 조치가 필요하다”
마) Freedom from 에서 Freedom for 로 (무언가로부터의
자유에서 무언가를 위한 자유로)
*미디어는 사회에 대한 의무가
있으며 미디어 소유권은 공적 신탁으로 여겨진다.
*뉴스 미디어는 진실성, 정확성, 공정성, 객관성, 적합성을 추구해야 한다.
*미디어는 자유로워야 하며, 자기 조정력이 있어야 한다.
*미디어는 전문직으로서 직업윤리강령을
따라야만 한다.
*아주 특정한 상황에서 공익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가 개입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6
전문 직업의식과 미디어 윤리
가) 배경: 상업주의, 대중적
신문의 실패 → 저널리즘 내부에서 전문 직업의식 발전
나) 협회, 신문평의회, 적합한
언론활동을 위한 기자 행동윤리강령 제정 등
다) 국가ㆍ사회별로 다른 기준. 그러나 *객관
*독립 *정확성에
대한 지향이 공통적으로 발견
라) 기원은 현장 뉴스 보이들을 전문 저널리스트로 양성하기 위해 퓰리처가 기부 설립한 Columbia 저널스쿨
마) 강령은 외부로부터 강제된 것이 아님
7
언론의 4이론과 그 이후
8
대안으로서의 공공서비스 방송
9
매스미디어, 시민사회, 그리고
공공영역
가) 하버마스 공공영역의 구조변동, 공공영역이란 공적 논쟁을
위한 자율적이고 개방된 포럼을 제공하는 공간
나) 접근이 자유롭고 집회, 결사, 표현의 자유가 보장
다) 시민 저널리즘과 공공 저널리즘
① 중립성, 객관적 보도
라) 18세기 커피하우스, 살롱 등
10 공공영역에 관한 불만에
대한 반응
11 대안적 관점
12 규범적 미디어 이론: 네 가지 모델
자유주의 모델
|
사회책임 모델
|
전문직 모델
|
대안미디어 모델
|
전통적 자유언론 이론
개인의 요구, 공익은
공중
사상의 자유시장 중요
최소한의 자율규제
|
출판 자유 권리 – 사회책임
책임 있는 미디어 자율규제
정부 개입 전적 배제 X
공공서비스 방송
|
사회를 위한 역할선택
언론이 스스로 행하는 일
다양한 관점 표현 플랫폼
권력에 대한 적절한 감시를 위해 전문직으로 자율성
|
소규모 운영, 민중 중심
참여, 공동체, 제작자 수용자 모두 공유하는 목표
하위문화의 가치 강조
상호주관적 이해 촉진
|
13 소결
가) 미디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나) 주관적이고 다양한 시각을 가진 사람들이 동의하는 부분은 제한적. 미디어
내외부의 관점을 반영
[미사]5장 신문
1
신문의 역사
가) 19세기 이후
신문 발전
① 페니프레스(최초의 매스미디어)
② 황색언론, 타블로이드 언론
③ 뉴욕선, 뉴욕타임즈
나) 한국 신문 역사: 정치사와 밀접
① 한성순보, 한성주보(위로부터의
전달), 독립신문(민의를 다룬 아래로부터의 신문)
② 문화통치, 동아일보, 조선일보(지식인들의 에너지가 보임) 193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김동리, 서정주
③ 해방 이전(식민정책) /
해방공간(이념대립)
④ 72년 10월 유신 / 80년 언론통폐합
⑤ 89년 6ㆍ29 선언(한겨레 창간)
다) 개인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정한 법 테두리 안에서 ‘정쟁’ ‘정투’. 신문이 할 수 있는 범위 외에 경영 등
정치외적ㆍ경제적 측면에도 압력
정치외적ㆍ경제적 측면에도 압력
2
신문지면 구성
가) Newshole 광고를 빼고 뉴스를 총칭
나) Straight news 발생기사
다) feature: news feature / non-news feature
3 신문의 특성
가)
현실성: 현실에 존재, 작용, 실현되는
것. 허구적 상징물이 아닌 진실성, 객관성을 가진 것
나)
공시성: 공중에게 동일한 내용을 전달하는 특성. 여론을 형성하는 가능성을
가진 것(상대적)
다)
정기성: 매일매일 발행(발행간격이 가장 짧아 세계사의 초침)
라)
기록성
마)
보존성
4 게이트키핑
가)
일종의 은유로서 미디어 작업에서
뉴스를 선택하는 과정, 특히 특정 뉴스 아이템이 뉴스매체라는 ‘게이트’를 통과해 뉴스채널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과정.
나)
‘기사가치가 있는가(news value)’라는 판단의 문제만이 아니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광고주, 홍보관계자 압력집단 다양한 정보원과 뉴스관리자들과의 복합적인 역학관계에서 보아야.
5
뉴스 가치: *영향성, *시의성, *저명성, *근접성, *신기성, *갈등성
가)
사고 기사의 경우 ‘시의성’이 가장 중요. 사건에
전말을 파악(사상자 수) ‘저명인사’
나)
사건이 진행되다보면 아시아나가 대응을
잘하고 있는지(위기관리)
다)
전말을 완전히 파악하는데 까지는
시간이 많이 걸려. 매체사는 계속 이 사건을 뒷심을 가지고 끌고나가야 해.
*뉴스홀의 정치학, 지면의 한계. 게이트키핑을 해서 기사다운 기사를 지면에 실어. 인터넷 시대, 지면 제한적인가?
6
웹2.0 신문
가)
속보성, 현장성: 디지털 테크를 활용, 뉴스기사를
제작과 동시에 배포가 가능
나)
상호작용성: 독자의 정보수요에 대한 대응이 가능. 댓글로 나온 기사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 가능+사건 최초 목격자의 정보 제공 가능
다)
비선형성, 역피라미드형
라)
인쇄신문과 온라인신문의 갈등(언제 기사를 내보낼 것인가) – 보도의 타이밍
7
정보과잉시대: 이메일, 문자메시지 등 범람하는
정보를 거르고 싶지만 좋은 정보를 가져야하는 욕구 굉장히 크다. 신문이 뉴스성을 빼면 광고만큼 몰입을
할 수 없다.
가)
뉴스피로감
나)
맞춤형 뉴스: reddit.com / digg.com
다)
믿을만한 추천(Trusted referral)
라)
극단화, 20세기 민주주의 공론장. 강화된 신념에 의해 편향되는가?
마)
데이터 저널리즘 computer assisted journalism(탐사저널리즘과 밀접한 관계)
바)
뉴스의 미래. 미디어 기술의 변화. 모바일이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 대인컴-매스컴이 맞물려
[미사]6장 라디오 / 8장 TV
1
라디오의 역사
가)
무선통신 기술의 발명 덕분에 마르코니가
군사적 목적으로 시작
나)
세계의 전쟁(1938)
①
라디오 보편화는 세계대전과 대공황, 화성으로부터의 침공(탄환이론)
②
현실과 가상현실 사이의 차이를 느끼지
못해
③
어떤 하나의 계기를 통해서 사람들이
변했다.
다)
루스벨트 대통령의 노변정담
①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라디오를 사용. 그 이전에는 대통령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방법이 신문-유세
②
미디어를 통해 가능해진 것을 획기적으로
드러냄
③
미디어의 정치적 이용ㆍ확산
cf.
TV토론회: 케네디-닉슨 / SNS: 오바마 재선
라)
뉴미디어가 나오면 올드미디어의 위기가
찾아오는가? 아니다. 새롭게 적응
①
TV의 비싼 광고비 감당할 수 없는 광고주들을 공략
②
프로그램 개편(단막극, 연속극, 퀴즈
프로그램 → DJ프로그램, 음악방송, 스팟뉴스 등)
마)
인터넷 라디오
바)
소출력 라디오(커뮤니티 라디오) – 마포 라디오
①
지역 연계. 커뮤니티 형성
2
라디오의 특성
가)
청취자의 상상력 유발
나)
가장 빠르게 뉴스 전달
다)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
라)
내 목소리가 나오는 라디오
마)
전문성과 지역성이 높은 라디오
바)
개개인에게 직접 호소하는 라디오
3
텔레비전: 인터넷으로 TV를
볼 수 있게 되면서 공동체를 묶는 TV의 특성이 점점 사라짐.
거브너 “텔레비전이 가장 강력한 문화적 무기” 텔레비전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엄청난 영향력 행사
거브너 “텔레비전이 가장 강력한 문화적 무기” 텔레비전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엄청난 영향력 행사
가)
방송 – 통신 – 융합 가파르게 변화
나)
텔레비전 왜 네트워크라고 하나
①
같은 방송순서를 다른 지역에 있는 2개 이상의 방송국에서 동시에 중계 방송하는 방식을 말함
②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 방송국이
그물매듭처럼 연결돼 전국적으로 같은 내용을 전달하기 때문에 방송망
*문화계발효과(cultivation theory): TV를
시청하면 수용자들은 TV의 픽션과 뉴스에서 묘사된 것처럼 현실에 대해 획일적이고 왜곡되며 매우 선택적인
관점을 점차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미디어의 점진적ㆍ누적적인 효과를 다룸.
(드라마의 마방 효과) cf. Soap Opera
(드라마의 마방 효과) cf. Soap Opera
4
시청률 조사: 광고, 미디어 매체 행위자들에게 굉장히 중요
*시간대별, 프로그램별 노출 많이 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시청률 중요성 대두(People meter)
*시간대별, 프로그램별 노출 많이 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시청률 중요성 대두(People meter)
가)
표본 패널 조사
①
전체 가구 중에서 2,000가구를 뽑아 연령, 성별,
효과 지역 등
②
동일조사를 여러 시점에 걸쳐서 동일한
샘플을 이용해 실시
③
self
report의 경우 악의 O
5
시청률과 점유율
가)
시청률: 어느 방송국을 시청하건 전체 가정 중 TV를 보고 있는
가구수(텔레비전 보유 세대 중에서 시청 가구)
특정 방송사 시청 가구수 / 전체 TV보유 가구수
특정 방송사 시청 가구수 / 전체 TV보유 가구수
나)
점유율: TV를 시청하는 가구 중 각 방송국이 얼만큼의 %를 차지하고 있느냐(시청 가구 중 특정 시청 가구)
특정 방송사 시청 가구수 / 전체 TV시청 가구수
특정 방송사 시청 가구수 / 전체 TV시청 가구수
다)
HUT: 텔레비전 이용 세대. 특정 시간에 수상기를 사용하고 있는
텔레비전 세대의 백분율
6
TV의 기술적 발전 *DMB
*IPTV *방송통신 융합 *유료TV *한국의 방송통신융합과정
[미사]7장 영화 / 6장 음반
1
영화: 꿈의 공장. 돈이 되는 매스컴. 문화예술적
가)
할리우드 시스템-문화산업의 고전
①
분업, 표준화…찰리 채플린 모던 타임즈
②
1930년대 자동차 산업(분업화,
표준화)이 문화산업에도 영향
나)
수직적 통합 / 수평적 통합
①
수직: 소유권이 생산과 분배의 서로 다른 단계에 걸쳐 있는 경우(영화제작
스튜디오가 시네마 체인 소유)
②
수평: 같은 시장 내에서의 합병. 대회사의 소규모 회사 흡수
*파라마운트 판결: 독점 금지법. 영화업계의 수직적 통합 제재.
다)
스튜디오 시스템
라)
스타 시스템
마)
장르 영화
①
대중들의 새로움에 대한 갈망+흥행의 안정성을 충족시켜주는 방법으로 정착
②
장르 영화는 반복과 변화를 적절히
배합. 관습적 플롯과 예상치 못했던 변수들 사이의 긴장감+즐거움
③
절대적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라
대중적 인기를 모은 영화의 관습적 형식이 하나의 장르를 이뤄
바)
할리우드 영화의 이데올로기 *개인주의, *자본주의의 가치, *가부장적
제도, *인종차별주의
사)
영화산업의 성장 tie in상품
*OSMU
One source Multi Use(Transmedia Multi use): 하나의 자원을 토대로 다양한 사용처를 개발
콘텐츠 하나, 채널이 여러 개인 미디어 산업을 의미한다. 국내외 사례는 ‘뽀로로’
‘미키마우스’ ‘김광석
뮤지컬’
대중문화 상품인 영화가 매스컴의 산업이 돼 미디어 컨버전스를 구현한 것이 영화.
대중문화 상품인 영화가 매스컴의 산업이 돼 미디어 컨버전스를 구현한 것이 영화.
아)
영화 제작사(매체사, 모기업)
①
콜럼비아 (소니),
②
20세기 폭스 (뉴스 코퍼레이션, FOX),
③
워너 브라더스 (타임 워너, CNN),
④
파라마운트 (비아콤,CBS),
⑤
유니버설 (NBC, GE)
⑥
디즈니 (ABC)
2
음반에서 음원으로 / 앨범에서 곡별로 / MP3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로
3
음반시장의 롱테일 법칙(역파레토 법칙)
가)
아마존과 랩소디(웹에서의 판매가 가능해지면서 나타난 현상으로도 볼 수 있어)
나)
온라인에서 계속 찾아. 강력한 베스트셀러 뿐 아니라 스테디셀러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 소비자의
구매 행태를 파악하는 좋은 법칙.
4
Gramophone
→ LP → Cassette
5
스트리밍. 음원 사업자와 유통업자가 더 많이 벌어. 법이 바뀌었지만 여전히
저작권자와 공연자들의 수입은 적어
불법 다운로드에 대해 ‘마이클 잭슨’은 앨범에 담긴 곡 모두 명작을 만들어 담으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이러한 노력 없이 불법 다운로드를 받는 소비자를 비난하는 것은 아티스트로서 올바른 자세가 아니다. 또한 불법 다운로드를 받아 듣더라도 내 노래를 들어주는 팬들을 비난해서는 안된다며 오히려 고마움을 표시했다.
불법 다운로드에 대해 ‘마이클 잭슨’은 앨범에 담긴 곡 모두 명작을 만들어 담으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이러한 노력 없이 불법 다운로드를 받는 소비자를 비난하는 것은 아티스트로서 올바른 자세가 아니다. 또한 불법 다운로드를 받아 듣더라도 내 노래를 들어주는 팬들을 비난해서는 안된다며 오히려 고마움을 표시했다.
[미사]12장 광고
1
광고의 의미와 기능: 널리 알리다 *설득컴 *매스미디어 사용 비대인적 컴 *유료 *영리적 컴 *판매촉진
가)
경영학: 광고는 마케팅의 한 부분, 상품이나 서비스의 판매촉진 방법의 하나
자신을 밝히는 광고주에 의한 아이디어, 상품 또는 서비스의 비대인적 제시와 판매촉진의 유료적 형태
자신을 밝히는 광고주에 의한 아이디어, 상품 또는 서비스의 비대인적 제시와 판매촉진의 유료적 형태
나)
커뮤니케이션학: 광고주와 소비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현상
‘매스컴 미디어라는 수단에 의한 통제된 명시적 정보의 제공과 설득’ 설득컴의 하나
‘매스컴 미디어라는 수단에 의한 통제된 명시적 정보의 제공과 설득’ 설득컴의 하나
다)
광고란 불특정 다수에게 상품 또는
서비스의 존재, 특징, 편익성을 제시하고 설득해 그들의 욕구나
필요를 자극시킴으로써 그에 대한 구매행동을 촉진시키거나 혹은 광고주 자신에 대한 일반적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행하는 유료의 매스컴이다.
라)
기능 *마케팅 *케뮤니케이션 *교육 *경제적 *문화적ㆍ사회적
마)
역기능: 가수요 창출, 소비자 부담 ↑ /
물질주의 조장 / 소비자 기만 / 경제적 이윤만을
추구
2
도달률과 빈도
가)
도달률: 주어진 기간에 적어도 한 번 광고에 노출된 개인이나 가구의 수
나)
빈도: 같은 기간 동안 개인이나 가구가 그 광고메시지에 접촉한 횟수
다)
중량(gross rating points, GRP)=도달률X빈도
라)
CPM.
1,000명에게 노출시키는 데 드는 비용(광고비/시청자수X1,000)
3
광고 행동 매트릭스
가)
상황분석 → 목표 설정 → 시장
분석 → 포지셔닝 → 크리에이티브 → 마케팅 믹스(매체 선택)
4
광고의 심리학
가)
계층적 효과 모델. 레비지, 슈타이너. 1950년대
초. 기본적으로 학습이론에서 기초(학습-감정-행동)
①
인지, 태도 그리고 행동의 단계로 순서대로 발생
②
노출 후 인지 – 지식 – 호감 – 선호
– 확신 – 구매
-
인지-지식(인지적 차원. 광고는
소비자에게 정보와 사실을 제공)
-
호감-선호(감성적 차원. 광고에
대한 태도와 감정 형성)
-
확신-구매(행위적 차원. 광고는
소비자의 욕구를 자극)
③
미국 광고주협회의 DAGMAR에 이론적 근거 제공. 개인 수준의 반응을 측정
나)
욕구위계론. 매슬로. 욕구를 5단계로
나누고 등급을 매겨 각각의 욕구가 다른 욕구에 의해 어떻게 지배받는지.
마케팅 타겟 설정에 도움
마케팅 타겟 설정에 도움
①
생리적 욕구: 의식주, 삶에 가장 기본적 욕구
②
안전에 대한 욕구: 안전벨트, 에어백 등 안전
③
사회적 욕구: 준거 집단의 영향력. 00클렌징
④
자존감에 대한 욕구: 명품, 사치재
⑤
자아실현 욕구: 사병모집광고, 나이키 광고 등 내면적 가치 실현
다)
소비자 설득하는 광고의 심리학 etc.
①
대리적 조건화: 광고 모델의 상품에 대한 태도와 행위를 소비자도 상품을 사용하면서 느끼도록(커피)
②
메시지 학습이론: 폭스바겐의 연료비 절감. 2등 렌터카(뭐지?)
③
심리적 반발이론: 여자의 껌 등. 남성 구매자들에게 일종의 반발심리를 끌어내
④
일치이론: 호감이 가는 스타, 연예인들에 편승해서 구매행위로 연결
⑤
귀인이론: 결과를 제시하고 결과의 원인을 소비자가 추론하도록 하는 것
라)
세분화 - VALS(밸류, 애티튜드, 라이프스타일s)
①
가치관과 생활양식에 따른 소비자
분류. 1978년 아놀드 미처에 의해 처음 만들어져 1989년
개정
②
소유하고 있는 자원에 따라 최소의
자원과 풍부한 자원으로 세분
③
8가지 유형으로 분류
마)
KADEX-Q:
코바코가 6대 매체의 분기별 광고비를
추정
5
WOMM과 WEB.0
가)
믿을만한 추천
나)
커뮤니티
다)
참여와 재미
[미사]11장 PR
1
PR의 역사와 개념
가)
설득컴의 한 형태.
나)
하나의 조직체(기업, 정부, 시민단체
등)가 그와 관계된 공중과의 호혜적 관계를 확인ㆍ수립ㆍ유지
다)
하기 위해 조직체의 목적, 방침, 활동 등에 관한 각종 정보를 공중에게 전달
라)
조직과 공중과의 쌍방적 커뮤니케이션
마)
매체는 기사, 이벤트, 간접전달 등 신뢰도는 광고에 비해 낮다.
바)
아이비 리 ‘대중에게 모든 것을 알려줘야 한다는 원칙을 주창’ 원칙 선언
솔직하게 공개하여 미국의 모든 신문과 시민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리는 것에 PR의 목적이 있다.
솔직하게 공개하여 미국의 모든 신문과 시민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리는 것에 PR의 목적이 있다.
사)
버네이즈 ‘PR은 기업체에 대한 대중의 태도를 파악하고, 그들로 하여금 호의적
태도를 갖게 하는 목적’
『여론의 결정』. PR의 아버지
『여론의 결정』. PR의 아버지
2
PR은 기업만 하는가? 아니죠
가)
공공기관도 이미 하고 있고 정부조직, NGO도 PR이 필요
나)
개인도 직업적으로 자기 PR을 대행사를 통해 하기도 한다.
3
PR전문회사
가)
뉴스캐스트, 전통매체, SNS, 파워카페ㆍ블로그 등을 통해
나)
PR 잘하는 회사 ‘가장 좋은 것만 강력한 미디어에 실리는 것’ 보도자료 활용!
PR
|
광 고
|
|
커뮤니케이션
|
쌍방 커뮤니케이션
전달 – 반응 – 재전달 – 합의
|
일방적 커뮤니케이션
전달 – 설득 – 행동 유발
|
목 적
|
공중과의 이해, 친선 도모(고지 / 설득)
|
이익의 극대화(구매욕구와 행위 유발)
|
집행 유형
|
미디어를 매개체로 집행
|
미디어를 통해 유료로
집행
|
수 단
|
기사, 이벤트, PR지, VNRs
|
광고
|
신뢰도
|
낮다
|
높다
|
기간
|
장기적
|
단기적
|
방법
|
간접적
|
직접적
|
4
MPR(마케팅 PR). 상품 퍼블리시티(공시)
가)
해리스 “마케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PR전략과 전술 사용.
①
인지도 확보, 판매촉진, 커뮤니케이션 일원화, 소비자들과
기업, 그리고 제품과의 관계 구축
②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소통, 적절한 이벤트를 후원, 사회에 이익이 되는 원인을 제공하고 지지
나)
인쇄매체, PPL, 인터넷 홈페이지 운영
다)
풀무원 웹진 ‘바른 먹거리 캠페인’
5
투자자 관계 PR(IR)
가)
현재의 투자자는 물론 잠재적인 투자자에게
기업의 성과와 향후 전망의 정확한 모습을 제공하는 재무와 의사소통의 원리가 결합한 기업의 마케팅 활동
나)
기업 성장, 향후 전망 등 재무정보와 분기별 실적을 제공
6
위기관리 PR
가) 위험과 불확실성의 많은 부분을 제거해 스스로 자신의 운영을 더 잘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경영기술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