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A는 B에서 C가 D하기 위한 E를 뜻한다. 중요성: A는 B에서 C하기 위한 D를 추구하는 데 그 중 E이다.
[ID TEST] 가이드라인 개념, 용어를 정의하고 그 것이 수업에서 왜 중요한지를 서술
Anarchy
정의: 무정부적인 국제관계의 본질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국제 체제에 중앙 권위체가 없다는 것을 의미
중요성: anarchy는 국제관계학의 출발점이 되는 기본적 개념으로 국제정치학자들은 이 무정부 상태에서어떻게 안정과 평화를 얻을 수 있을까에 대해 연구해왔다.
베스트팔리아 조약
정의: 1648년 30년 전쟁 종결 후 맺은 평화협정
중요성: 주권, 영토를 특징으로 하는 근대국가체제의 출발점이 되었다.
Bandwagoning
정의: 한 국가가 힘의 균형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강한 세력에 편승하는 것
중요성: 현실주의자들은 균형 잡기를 추구하는데, 이와 달리 약소국이 강한 세력에 편승하므로써유리한 위치를 잡는 것으로 중요하다.
패권
정의: 국제 사회에서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강대국의 함 이상의 힘
교수님 정의: 국제관계에서 강대국이 행사하는 절대적 권력과 영향력
중요성: 현실주의에서 안정을 추구하는 한가지 방법으로 무정부 상태의 국제체제에서 평화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
교수님 중요성: 현실주의자들은 무정부상태에서 국제체제의 안정을 추구하는 방법으로 4가지를 제시했는데 그 중 하나다.
1. 국제정치학
정 의: 국제정치학은 정치학 분야의 하나로 국가 간의 정치를 연구하기 위한 학문이다.
중요성: 정치학 분야에서 국가 간의 정치와 유형 뿐 아니라 세계에서 벌어지는 정치와 정치 유형에 대한 연구에도관심을 가진다.
2. 지구정치학
정 의: 지구정치학은 정치학 분야의 하나로 행위자가 다양해진 정치를 연구하기 위한 학문이다.
중요성: 정치학 분야에서 국가 간의 정치와 유형 뿐 아니라 세계에서 벌어지는 정치와 정치 유형에 대해 행위자의 역할이 다양해진 것에 주목한다.
3. 세계정치학
정 의: 세계정치학은 정치학 분야의 하나로 특정 시간과 지역에 제한을 둔다.
중요성: 정치학 분야에서 자유민주진영과 공산진영, 그리고 제3세계로 나누어 비교하거나 특정 주제를 가지고 국가나지역을 한정하여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어도 하나로 묶는 범주를 마련한 것에 주목한다.
4. 패러다임
정 의: 패러다임은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인식체계이다.
중요성: 사회과학을 연구하는 방법 중 하나로 일관성을 가지고 연구하는 데 도움을 준다.
5. 베스트팔렌 조약
정 의: 베스트팔렌 조약은 1648년 30년 전쟁을 종결 후 맺은 평화협정이다.
중요성: 주권, 영토를 특징으로 하는 근대국가체제의 출발점이 되었다.
6. 30년 전쟁
정 의: 30년 전쟁은 1618~48년까지 독일에서 일어난 신교와 구교 간의 종교 전쟁이다.
중요성: 주권과 영토를 특징으로 하는 근대국가체제의 출발점인 베스트팔렌 조약을 체결하게 되는 원인이다.
7. 왕권신수설
정 의: 왕권신수설은 절대주의 국가에서 왕권은 신으로부터 주어졌다는 설이다.
중요성: 근대국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왕이 왕인 이유를 설명하는 데 사회계약설과 더불어 하나의 주장이다.
8. 사회계약사상
정 의: 사회계약사상은 홉스, 로크, 루소가 약간씩 상이하지만 공통적으로 주장한 것으로 왕은 신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신민은 복종하므로써 권리를 양도하여 왕의 통치를 정당화하는 사상이다.
중요성: 근대국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왕이 왕인 이유를 설명하는 데 왕권신수설과 더불어 하나의 주장이다.
9. 명예혁명
정 의: 명예혁명은 1688년 영국에서 일어난 시민혁명이다.
중요성: 근대국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귀족들이 왕의 권력에 맞서 승리했고, 유혈사태 없이 의회의 권리를 신장시켰다.
10. 리바이어던
정 의: 리바이어던은 성경‘욥기’에 나오는 말로 괴물을 의미하는데 이는 바로 국가이다.
중요성: 근대국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강력한 권력을 가진 국가가 집권하면서 무질서한 사회를 질서있게 하는국가의 역할을 설명했다.
11. Nation(민족)
정 의: 민족은 한 국가의 영토 내에서 공통의 정체성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이다.
중요성: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근대국가 형성에서 영토와 경계가 중요해지면서 국가의 구성원으로서 민족이 중요해졌다.
12. Sovereignity(주권)
정 의: 주권은 국가가 어떤 상위의 권위로부터도 자유로운 상태이다.
중요성: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근대국가가 형성되면서 본 영토 내외에서 내적주권과 외적주권의 개념이 생겼다.
13. 내적주권
정 의: 내적주권은 주권자가 자기 영토 내에서 지배권을 가지는 것이다.
중요성: 근대국가가 형성되면서 내적주권은 외적주권-한 국가가 영토 밖의 어떤 지배로부터도 독립하는 것-과 더불어 주권의 한 종류로 중요하다.
14. Nationalism(민족주의)
정 의: 민족주의는 근대국가 형성에서 민족-공통의 정체성 공유-의 개념을 부각시켜 국가 구성원의 일체감을 조성하는 것이다.
중요성: 근대국가가 형성되면서 민족주의는 주권자의 지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이므로 중요하다.
15. 영토
정 의: 영토는 국가가 소유한 지구 표면의 부분이다.
중요성: 근대국가가 가져야 하는 3가지 핵심(영토, 관료제, 상비군) 중 하나로 중요하다. 세계화와 무역의 자유화 등으로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16. 관료제
정 의: 관료제는 근대국가에서 특권적 집단인 관료를 통해서 지배가 행해지는 제도이다.
중요성: 근대국가가 가져야 하는 3가지 핵심(영토, 관료제, 상비군) 중 하나로 중요하다.
17. 상비군
정 의: 상비군은 근대국가가 일체감 조성을 위해 전쟁을 하는데 구성한 항상 준비된 군대이다.
중요성: 근대국가가 가져야 하는 3가지 핵심(영토, 관료제, 상비군) 중 하나로 외부의 적을 만들어 일체감을 조성하기 위해 상시 군대를 유지하는 것으로 중요하다.
18. 주권국가
정 의: 주권국가는 외부 간섭 없이 자기 영토 내외에서 권리를 인정받는 국가이다.
중요성: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근대국가가 형성되면서 국가는 스스로 더 큰 결속력을 가지게 되었고 이에 대한 국제체계 차원의 중앙권위체가 부재한 상태(anarchy)인 국제관계의 특징을 알 수 있다.
19. 국제사법재판소
정 의: 국제사법재판소는 국제연합 자체의 사법기관으로 국제법에 따라 재판하는 것을 임무로 한다.
중요성: 주권국가 상위의 중앙권위체가 부재한 상태(anarchy)에서 분쟁의 해결을 위한 창구의 역할을 하므로 중요하다.하지만 문제 제기에는 제한이 없는 반면, 재판 결과에 따르지 않는 것에 대한 제재할 수단이 없으므로 완전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20. Anarchy
정 의: Anarchy는 무정부적인 국제관계의 본질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국제 체제에 중앙 권위체가 없다는 것이다.
중요성: anarchy는 국제관계학의 출발점이 되는 기본적 개념으로 국제정치학자들은 이 무정부 상태에서 안정과 평화를 얻는 방법을 연구해왔다.
21. Power
정 의: 힘, 권력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위자의 능력이다.
중요성: 국제관계를 바라보는 시각인 현실주의에서 국가가 생존과 번영을 위해 추구해야 하는 것으로 가장중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22. 프랑스 혁명
정 의: 프랑스 혁명은 1789년 프랑스에서 도시 부르주아와 농민 대중의 절대왕정에 대한 봉기이다.
중요성: 베스트팔리아 조약 이후 성립된 국제관계에서 발전해온 근대절대왕정 국가에 대한 평민들의 혁명으로 정치권력이 왕에서 일반시민에게 옮겨지는 획기적인 전환점이었다. 유럽의 자유주의, 공화주의 사상을 유행시켰다.
23. 나폴레옹 전쟁
정 의: 나폴레옹 전쟁은 1803년부터 1815년까지 제정 프랑스와 영국, 프러시아, 러시아 등 연합 간의 전쟁이다.
중요성: 프랑스 혁명에 산물인 시민의 권력을 다시 제정으로 옮겨와 유럽을 하나로 통일하려 하자 소국가가 연합하여 세력균형을 이뤄 프랑스를 타도했다. 전쟁 이후 1차대전까지는 유럽 협조체제를 통해 100년 간의 평화를 가져왔다.
24. 비엔나 협정 → 제2차 파리조약
정 의: 제2차 파리조약은 나폴레옹 전쟁 이후 맺은 평화 협정이다.
중요성: 나폴레옹 전쟁 이후 1차 세계대전까지 유럽 협조체제를 통한 100년 간의 평화를 가져왔다.
25. 유럽 협조체제
정 의: 유럽 협조체제는 나폴레옹 전쟁 이후 1차대전 전까지의 100년 간의 평화를 가져온 유럽의 세력 균형 체제이다.
중요성: 나폴레옹 전쟁 이후 영국은 해양세력, 러시아는 대륙세력으로 분쟁이 덜했고, 세력균형으로 평화를 이뤘기때문에 중요하다.
26. 철과 귀리의 동맹
정 의: 철과 귀리의 동맹은 독일에서 서쪽의 산업화와 동쪽의 봉건영주의 협력을 뜻한다.
중요성: 베스트팔리아 조약 이후 국제관계 역사에서 근대국가로써의 독일의 늦은 성립과 발전 경로를 알 수 있다.
27. 민족 자결주의
정 의: 민족 자결주의는 우드로 윌슨이 주창한 ‘민족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는 것이다.
중요성: 미국이 고립주의로 국제관계에서의 역할을 정한 것으로 미국이 다른 나라에 대한 기대 행동을 소극적으로하겠다는 것이었는데 식민지 국가들에는 민족주의와 반제국주의의 기폭제가 되었으므로 중요하다.
28. 삼국협상
정 의: 삼국협상은 1차세계대전 이전에 영국-프랑스-러시아 세 나라가 맺은 협상을 통해 형성된 동맹 관계이다.
중요성: 나폴레옹 전쟁 이후 100년간의 평화의 막바지에 삼국협상과 삼국동맹이 성립되어 chain ganging에 의해1차 세계대전의 규모가 커졌으므로 중요하다.
29. 삼국동맹
정 의: 삼국동맹은 1차세계대전 이전에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이탈리아 세 나라가 맺은 동맹 관계이다.
중요성: 나폴레옹 전쟁 이후 100년간의 평화의 막바지에 삼국협상과 삼국동맹이 성립되어 chain ganging에 의해1차 세계대전의 규모가 커졌으므로 중요하다.
30. 1차 세계대전
정 의: 1차 세계대전은 1914년~1919년까지 삼국협상과 삼국동맹 간의 전쟁이다. 이후 전세계적으로 확대되었다.
중요성: 나폴레옹 전쟁 이후 100년간의 평화의 막바지에 삼국협상과 삼국동맹이 성립되어 chain ganging에 의해1차 세계대전이 발생했다.
31. 베르사유 조약
정 의: 베르사유 조약은 독일과 연합국 사이에 맺어진 1차세계대전 종전의 평화 협정이다.
중요성: 1차세계대전 이후 국제체제는 전쟁의 방지를 위한 초국가적 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었고 이에 따라베르사유 조약에는 국제연맹 설립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32. 2차 세계대전
정 의: 2차 세계대전은 1939~1945년까지 연합국과 추축국(독일, 일본, 이탈리아) 간의 세계적인 전쟁이다.
중요성: 2차 세계대전은 가장 많은 인명 피해를 낳은 전쟁이고, 종전 후 이념 대립의 냉전기를 겪었고, 국제연맹보다 강력하고 실질적으로 집단 안보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국제기구인 국제연합의 탄생 배경이 되었다.
33. 집단 안보
정 의: 집단안보는 각국이 일국의 안보를 모두의 관심사로 여기고 공격에 대한 집단 차원의 대응을 하기로동의하는 것이다..
중요성: 1차대전 이후 국제연맹에서부터 강조돼왔지만 실천과 이론의 괴리에 있던 집단안보는 2차대전 이후‘전쟁은 한 국가의 힘으로 막을 수 없다’는 사실에 직면한 후 부각되었다.
34. 세력균형
정 의: 세력균형은 현실주의 이론에서 국가 또는 세력 간의 힘의 균형이다.
중요성: 2차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의 힘의 균형으로 이념 대립은 있었지만 물리적인 전쟁은 막았고 평화를가져왔기 때문에 중요하다.
35. 패권
정 의: 국제관계에서 강대국이 행사하는 절대적 권력과 영향력.
중요성: 현실주의자들은 무정부상태에서 국제체제의 안정을 추구하는 방법으로 4가지(동맹, 극, 균형, 패권)를제시했는데 그 중 하나다.
36. 자조체제(self-help system)
정 의: 자조체제는 국가가 스스로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한 안보에 힘써야 하는 체제이다.
중요성: 현실주의 이론의 시각은 국제체제가 약육강식의 무정부 상태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자조체제 속에서질서와 규칙이 차차 잡힌다.
37. 제한정부론
정 의: 제한정부론은 인간사회가 혼돈과 무질서의 자연상태는 아니기 때문에 재산권 보호를 위한 야경국가의 역할만 하면 된다는 로크의 주장이다.
중요성: 근대국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홉스와는 달리 자연상태에서 인간의 이성과 양심이 존재한다고 생각했고, 개인의 조건적이고 기한이 있는 권리 양도가 필요하다는 주장으로 프랑스 혁명의 사상적 기원이 되었다.
38. Check and Balance(견제와 균형)
정 의: 견제와 균형은 국가나 어떠한 주체 사이의 감시와 힘의 균등한 상태를 의미한다.
중요성: 명예혁명 시기 귀족의회가 요구한 개념으로 현실주의 시각에서 국제관계에서 평화를 유지할 수 있는 한 방법이므로 중요하다.
39. 맑스주의 / 맑시즘
정 의: 맑시즘은 국제사회는 지배와 피지배의 계급 구조가 존재하고, 역사적 유물론에 입각하여 관념보다물질과 경제적 이익을 중시하고 생산양식의 변화에 따라 사회가 발전한다는 시각이다.
중요성: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전하면 공산주의가 되고, 이로 유토피아를 형성할 수 있다고 했지만, 공산주의 국가의 형성이 고도로 발전한 자본주의의 다음 단계가 아니었고, 성공한 국가도 없었다. 하지만 제기하고 있는 현재의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것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40. 세계체제론(World system theory)
정 의: 세계체제론은 세계가 중심부와 주변부로 나뉘어 중심부가 주변부를 착취하는 구조 속에 존재한다는 이론이다.
중요성: 맑스주의에서 강조하는 구조와 불평등에 관한 이론을 중심부가 주변부를 착취해 온역사적 배경(대항해시대 영국의 인도 착취)을 통해 보여준다.
41. 배후지
정 의: 배후지는 맑시즘의 세계체제론에서 자본주의가 잉여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비자본주의적 식민지이다.
중요성: 맑시즘의 세계체제론에서 배운 배후지는 발달된 자본주의 국가에서 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나면 파급효과로점차 공산국가가 될 것이라는 설명에서 주변부를 의미한다.
42. National interests(국익)
정 의: 국익은 현실주의에서 국가에 가장 중요한 것을 의미하며, 생존이 최우선의 국익이다.
중요성: 현실주의의 주요어로 국익은 국가의 생존과 번영으로 안보 딜레마를 야기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43. 안보 딜레마(Security Dilemma)
정 의: 안보 딜레마는 나의 자조가 본의 아니게 상대방의 안보를 위협하게 되는 현상이다.
중요성: 현실주의에서 국가는 생존과 번영을 위해 힘쓰는데, 자조의 정도를 넘어서서 경쟁적으로 안보를 위해예산을 소진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44. 죄수의 딜레마
정 의: 죄수의 딜레마는 감옥에 갇힌 죄수를 따로 심문하는데 협력이 유리함에도 더 큰 이익을 위해협력하지 않으려는 유인이 작용하는 것이다.
중요성: 현실주의에서 집합행동의 딜레마의 하나로 죄수의 딜레마를 통해 국가가 자국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는 모습을 설명할 수 있다.
45. 동맹(Alliance)
정 의: 동맹은 국가 간에 방위 또는 공격을 위해 공동 행동을 공식적으로 약속하는 협정이다.
중요성: 국제체제의 안정을 추구하는 방법으로 동맹, 연합, 양해각서 중에 가장 강제력 있는 것으로 중요하다.
46. Chain ganging
정 의: Chain ganging의 사전적 의미는 사슬로 함께 묶인 죄수들로국제관계에서 사용되는 의미는 동맹이나 연합을 맺은 복수 이상의 국가 세력이다.
중요성: 국제체제에서 안정을 추구하는 방법 중 하나로 chain ganging 세력 간에는 전쟁이 확전될 수도 있고, 전쟁의 비용이 증가함을 예상할 수 있어서 방지할 수도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47. Economic Hit-man
정 의: 경제저격수는 미국이 전세계 주요 자원국에 미국의 경제 이익을 위해 파견한 사람들이다.
중요성: 라틴아메리카의 자원부국에서 경제저격수와 다국적기업 때문에 자국민에게 돌아가는 이익이 줄어들자포퓰리즘과 민족주의 정권이 들어섰는데, 이 정권의 지도자들의 독특한 정치경제적 모습을 살펴볼 수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48. 포퓰리즘, 대중ㆍ인기 영악주의
정 의: 포퓰리즘은 보통사람들의 요구와 바람을 대변하려는 정치 사상, 활동이다.
중요성: 좌우 이념을 가리지 않고 특정 국가에서 보이는 정치의 한 행태로 『An apology of Economic Hit-man』에서는 다국적 기업에 의해 국가의 자원이나 중요 시설을 빼앗긴 나라(에콰도르, 파나마)의 정권의 모습이었다. 가장 성공한 예는 브라질의 룰라 대통령이다. 대중의 지지를 얻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볼 수 있다.
49. Polarity(극)
정 의: 극은 국제 관계에서 강한 세력을 뜻하는 말로대표적으로 일극(미국 패권), 다극(유럽 협조체제), 양극(냉전기 미국과 소련)으로 나뉜다.
중요성: 현실주의 시각에서 국제체제가 안정을 추구하는 4가지 방법(동맹, 극, 균형, 패권) 중 하나로 평화가유지된 기간의 세력의 수로 분류할 수 있다.
50. Balance(균형)
정 의: 균형은 한 세력과 다른 한 세력이 균형을 이뤄 평화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대표적으로 양극ㆍ다극 체제가 있다.
중요성: 현실주의 시각에서 국제체제에서 안정을 추구하는 4가지 방법(동맹, 극, 균형, 패권) 중 하나로 세력간 균형을 통해 일시적인 평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51. Balancing
정 의: Balancing은 한 국가가 힘의 균형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균형을 잡는 것이다.
중요성: 현실주의 시각에서 균형잡기는 한 국가가 불안정한 국제사회에서 균형을 잡으므로써 중요한 행위자가 되겠다는 전략으로 중요하다.
52. Balancing
정 의: 한 국가가 힘의 균형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강한 세력에 편승하는 것
중요성: 현실주의자들은 균형 잡기를 추구하는데, 이와 달리 약소국이 강한 세력에 편승하므로써유리한 위치를 잡는 것으로 중요하다.
53. Hegemony(패권)
정 의: 국제 사회에서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강대국의 함 이상의 힘 /국제관계에서 강대국이 행사하는 절대적 권력과 영향력
중요성: 현실주의에서 안정을 추구하는 4가지 방법 중 하나로 무정부 상태의 국제체제에서 평화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54. 방어적 현실주의
정 의: 방어적 현실주의는 상대국이 힘을 늘리지 않는다면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는 현실주의 시각이다.
중요성: 현실주의에서 균형을 중시하는 관점으로 미국 민주당 정권의 고립적 외교정책이 대표적이다.
55. 공격적 현실주의
정 의: 공격적 현실주의는 상대국에게 안보의 위협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차이를 벌리는 패권을 중요시하는 현실주의 시각이다.
중요성: 현실주의에서 패권을 중시하는 관점으로 미국 공화당의 특히 부시 부자의 개입적 외교정책이 대표적이다.
56. 방어적 현실주의
정 의: 방어적 현실주의는 상대국이 힘을 늘리지 않는다면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는 현실주의 시각이다.
중요성: 현실주의에서 균형을 중시하는 관점으로 미국 민주당 정권의 고립적 외교정책이 대표적이다.
57. 자유주의, 이상주의(Liberalism)
정 의: 자유주의는 국가 이외에 다양한 행위자(국제기구, NGO, 기업)의 행동을 중시하고, 각 국가들은 협력(경제적 상호의존, 레짐)을 통해 안보 딜레마를 완화할 수 있다는 시각이다.
중요성: 현실주의에 대한 반발로 나타난 자유주의는 국제관계에서 다양한 분석 수준으로 바라볼 수 있고, 국가 간의 협력을 어렵지만 불가능하지 않은 시각으로 바라본다.
58. 현실주의
정 의: 현실주의는 국제사회의 무정부 상태를 전제로 단일행위자인 국가가 국익과 안보를 위해 권력(Power) 투쟁을한다는 시각이다.
중요성: 국제관계학에서 가장 오래되고 영향력이 큰 시각으로 자유주의와 더불어 국제관계의 패러다임 중 하나로 국제관계의 현상과 국가의 목표를 생존과 번영으로 단순화해서 연구할 수 있다.
59. 레짐(Regime)
정 의: 레짐은 국제관계에서 행위자들이 공유하는 묵시적이거나 공식적인 원칙, 규범에 기초한 제도이다.
중요성: 국제체제를 자유주의 관점에서 봤을 때, 평화의 유지가 레짐에 의해 가능하다는 설명을 할 수 있다.
60. 신현실주의
정 의: 신현실주의는 국제체제의 구조 자체가 불안정하다는 국제관계의 시각이다.
중요성: 현실주의에서 수정된 신현실주의는 군사능력 뿐 아니라 경제 자원도 영향력을 발휘하는 기초임을인정하는 새로운 시각이다.
61. 신자유주의
정 의: 신자유주의는 제도와 레짐을 통해 국가 간 협력이 가능하다는 시각이다.
중요성: 자유주의에서 발전한 신자유주의는 ‘협력’이 국가의 이익을 가져오기 때문에 국가는 협력을 선택한다는 주장으로 자유주의와는 차이가 있다.
62. 절대적 이득
정 의: 절대적 이득은 자유주의에서 타국과의 비교 없이 자국에 이득이 될 경우 협력했을 때 얻어지는 이득을 말한다.
중요성: 자유주의의 이론 중 하나로 현실주의에서 타국과 비교했을 때 수용 가능해야 협력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고, 국제체제에서 협력이 더 쉬울 것으로 보는 자유주의의 특징을 드러냈다.
63. 민주평화론
정 의: 민주평화론은 ‘민주주의 국가 간에 전쟁을 덜 한다.’는 이론이다.
중요성: 자유주의의 이론 중 하나로 민주주의 국가가 공통으로 소유한 레짐과 전쟁 결정을 위한 복잡한 제도로 인해 전쟁을 덜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민주주의 국가 간에 평화를 유지하기 쉬운 이유를 설명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