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2월 10일 수요일

저널리즘 패러다임 변화

저널리즘의 패러다임 변화 :
한국저널리즘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한 제언
 
 
 
 
 
 
서론: 저널리즘 현실을 보는 시각
 
 
뉴스원이 분명치 않고, 확인되지 않은 소문은 뉴스가 아니다. 아니면 말고 식의 무책임한 형태는 절대로 저널리즘이 될 수 없다. 그런데도 이런 풍토가 마치 시대의 흐름인것처럼 일상화되어가고 있다. 사회의 목탁이란 말은 꺼낼 수도 없고, 모든 언론인이 무관의 제왕은 고사하고 시정잡배 취급도 제대로 받지 못할 판국이 되었다. 자유가 범람하면서 맞게 된 이 난장판의 모습을 우리는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해야 하는가? (최서영, 2009).
 
한 은퇴기자가 관훈저널에 기고한 글의 일부다. 그는 한국저널리즘의 현실을 “난장판”이라 부르고, 기자는 “시정잡배” 대접도 받지 못할 처지라고 개탄했다. 성장하는 미디어 산업과 발전하는 디지털기술보다 추락하는 한국 저널리즘의 수준과 상대적으로 축소된 기자들의 위상에 주목한 평가다.
2009년 11월 26일 관훈클럽이 개최한 “언론계 갈등 극복 대안찾기”토론회에서 남시욱은 한국 언론계가 반목하고 갈등하는 현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진단했다.
 
한국 언론계가 이렇게 된 데는 외부적 환경요인과 내부적 요인이 있다. 앞서 언급한 우리 사회의 격렬한 이념대립과 정치적 분열이 외부적 환경요인이라면, 언론사의 자사이기주의와 언론인들의 정치오염과 직업윤리 및 직무수행능력 저하가 내부요인이라 할 것이다 (남시욱, 2009).
 
대단히 신랄한 현실진단이다. 특히 내부요인으로 꼽은 내용들은 네 가지 모두 현장기자들에게 심각한 반성을 촉구하는 내용이다.
전직기자인 소설가 김훈의 진단도 가혹하기는 마찬가지다.
 
요즘 신문, 저널 읽기가 고통스럽고 목이 멘다...... 현재 우리 사회의 지배적 담론들은 사실과 의견을 구분할 줄 모르는데, 그것은 자신의 당파성이 정의라고 믿기 때문이다 (박선희, 2008).
 
김훈이 한 포럼에서 한 강연 내용의 일부다. 그는 같은 강연에서 한국저널리즘 현실을 비판하며 “우리시대 언어의 모습은 돌처럼 굳어지고 완강해 무기를 닮아가고 있다”고도 말했고, 글쓰는 이들이 “의견을 사실처럼 말하고, 사실을 의견처럼 말하기 때문에 언어가 소통이 아니라 단절로 이르게 된다”고도 했다 (김태훈,2008).
다행인지 모르겠으나, 저널리즘 현실에 대한 이러한 진단은 한국만의 상황은 아니다. 수정헌법 1조 등 가장 선진적 저널리즘 제도를 갖고 있는 미국에서도 저널리즘 학자와 현장 기자들이 이미 10 여 년 전부터 거의 비슷한 관점의 진단을 제시했다. 1997년 6월 하버드 대학 교수클럽에 미국의 저명 언론인과 학자 25명이 모였다. 이들은 미국 저널리즘의 변질과 타락을 걱정했다. 더 나가 저널리즘의 소멸을 두려워했다. 저널리즘이 10년 후에도 살아남아 있을까? 남아있다면 어떤 모습일까? 그들은 오래전부터 자신들의 직업과 관련해 무언가가 심각하게 잘못됐다고 느꼈다. 동료들이 생산하는 신문과 방송기사들 가운데, 저널리즘이라고 인정하고 싶은 기사가 적은 것이 문제였다. “편집국안에서 우리는 더 이상 저널리즘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그날 모임에서 당시 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 신문의 편집인이었던 맥스웰 킹(Maxwell King)씨가 한 말이다 (Kovach & Rosenstiel,2007, p.3).
컬럼비아 대학 저널리즘 스쿨의 제임스 캐리(James Carey)교수는 좀 더 종합적인 관찰을 제시하며, 그 날 모임에 참석한 사람들이 해야 할 일을 제시했다.
 
문제는 점점 더 거대해지는 커뮤니케이션 산업의 영역 안에서, 저널리즘이 사라지는 현실을 여러분이 보고 있다는 점이다. 여러분이 하고 싶어 하는 일은 그 거대한 커뮤니케이션의 세계에서 저널리즘을 다시 살려내는 일이다 (Kovach & Rosenstiel, 2007, p.3).
 
이들은 이 모임을 통해 “저널리즘을 염려하는 언론인 위원회”(Committee of Concerned Journalists)를 결성한다. 그리고는 미국 저널리즘 현실에 대한 정밀진단에 착수한다.
돌아보면 1990년대 중반부터 저널리즘의 패러다임은 혁명적 변화를 겪어왔다. 이 변화는 저널리즘의 글쓰기 방식에서부터 뉴스의 생산방식과 전달매체, 언론사의 경영구조, 심지어는 독자와 시청자의 성격에 이르기까지 저널리즘의 모든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저널리즘 패러다임의 변화는 1990년대 중반에 시작돼 현재까지도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어느 정도 시간이 더 지나야 새로운 패러다임의 저널리즘 질서가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게 될지는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 그러나 최근 진행되는 미국 미디어의 변화를 보면, 머지않은 장래에 어느 정도는 정리된 저널리즘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자리를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은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 저널리즘이 경험하고 있는 다양한 변화와 위기의 상황들을 패러다임 전환의 증상들로 규정한다. 이러한 규정을 토대로 이 글은 우선 미국 저널리즘의 패러다임 전환 추세를 정리해보려 한다. 그 다음 미국 경험과 대비해 패러다임 전환 과정에서 나타나는 한국저널리즘의 특성을 저널리즘을 형성하는 주요 요소별로 정리하고자 한다. 이 글은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 저널리즘이 추구해야할 새로운 패러다임의 주요가치들은 무엇인가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 글의 접근법
 
이 글은 크게 두 가지 자료에 의지해 논지를 전개한다. 하나는 문헌자료들이고 두 번째 자료는 연구자의 현실에 대한 경험과 관찰에서 얻어진 정리된 생각들이다. 문헌자료는 크게 책과 연구논문들 그리고 다양한 전문지와 일간 신문들의 기사 등을 포함한다. 특히 미국의 저널리즘 패러다임 변화를 설명하는 부분은 코바치와 로젠스틸(Kovach & Rosenstiel)이 함께 쓴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The Elements of Journalism, 2007)의 개정판과 다우니 2세와 슈츤(Downie, Jr. & Schudson, 2009)이 공동으로 발표한 보고서인 “미국 저널리즘의 재건”(The Reconstruction of American Journalism)이라는 자료를 중점적으로 활용했다. 미국 저널리즘 현실에 대한 논의는 이 밖에 뉴욕타임스 신문의 미디어 면에 실리는 기사들과 www.journalism.org 사이트에 발표된 뉴스 미디어 현황보고서(The State of the News Media Report)를 많이 참고했다.
한국의 저널리즘 현실에 대한 논의는 다양한 학술논문과 연구 보고서, 전문지 기사 등을 자료로 한다. 지난 20여 년 동안 연구자가 저널리즘 현장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문가로서의 관찰은 이 글에서 사용하는 2차 자료들의 의미를 체계화하는 일종의 분석틀로 활용했다.
 
 
 
 
저널리즘의 주요 요소와 패러다임 변화
 
이 글에서는 모두 5가지를 저널리즘을 형성하는 주요요소로 다룬다. 이들은 기사와 기자, 경영주체(발행인), 그리고 뉴스의 전달 매체와 수용자를 포함한다.
기사는 뉴스를 담는 표현양식이다. 글이나 소리가 중심이 되지만 텔레비전에서는 영상을 포함한다. 인쇄매체에서 사진이 포함됨은 물론이다. 기자는 기사를 생산하는 사람이다. 전통적으로는 신문이나 방송·통신사에 고용된 전문직 종사자를 일컬었으나 인터넷 등장 이후, 그러한 제한이 거의 무의미해졌다. 경영주체는 신문이나 방송사를 경영하는 주체를 말한다. 기사에 관해 최종 결정권한을 행사하는 주체라 할 수 있다. 기자의 채용과, 해임을 결정하는 행위자이기도 하다. 뉴스의 전달매체는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휴대폰 등 뉴스를 수용자에게 전달하는 매체를 말한다. 수용자는 신문의 독자와 텔레비전 뉴스를 시청하는 사람 또는 인터넷을 통해 뉴스를 찾아 읽는 사람을 모두 포함한다.
저널리즘은 이들 5가지 요소가 함께 어우러져 만드는 뉴스의 생태계를 종합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이들 5가지 요소 가운데 어느 하나라도 빠지게 되면 저널리즘 현상은 형성되기 어렵다. 또 이 가운데 어느 한 요소에 관해서라도 중요한 변화가 일어나면, 이는 예외 없이 다른 4 가지 요소에 그에 상응하는 변화를 만들어 낸다. 5가지 요소는 기본 속성상 서로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는 뜻이다.
이 다섯가지 요소를 기능에 따라 분류하면, 기사는 상품 또는 생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경영주체와 기자는 생산기능을, 수용자는 소비 기능을 담당한다. 전달매체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기사라는 상품은 매체를 통해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로 전달된다.
패러다임의 변화(Paradigm Shift)는 토머스 쿤(Thomas Kuhn)에 따르면 한 시대를 지배하던 사고체계 또는 연구 전통(research traditions)이, 전혀 새로운 사고체계(연구 전통)로 대체되는 변화를 말한다(Kuhn, 1962). 하버마스(1973)는 이러한 변화를 시스템 이론적 관점을 활용해 시스템의 조직원리(organizing principles)가 바뀌는 상황이라고도 표현했다.
이 글에서 현재 저널리즘의 상황을 패러다임의 변화로 규정하는 이유는 한국 뿐 아니라 전 세계의 저널리즘 생태계가 경험하는 변화가 단순히 한 가지 요소의 변화로 그치지 않기 때문이다. 1920, 30년대 라디오가 새로운 매체로 등장했을 때나 1950, 60년대 텔레비전이 새로운 매체로 등장했을 때 신문을 비롯한 인쇄매체들은 심각한 위협을 느꼈었다. 이러한 새로운 매체의 도전은 기존 매체의 위기로 규정되었고, 전통매체들은 그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뉴 저널리즘이나 섹션신문의 개발, 전문화 등 생존을 위한 전략을 개발해 자신의 터전을 지켜 내며, 상당부분 성장도 이루어낼 수 있었다. 탐사보도 기법도 이러한 노력의 결과였다. 다시 말해, 위기는 있었지만, 저널리즘은 오히려 더 다양해졌고, 공중과의 관계를 더 깊게 다질 수도 있었다는 뜻이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부터 현재에 이르는 상황은 과거 전통매체들의 위기와는 여러 면에서 근본적으로 다른 양상을 드러내왔다. 현재 진행되는 변화는 특정한 기업이나 매체의 실패가 아니라, 캐리 (Carey)교수가 말하듯이, 저널리즘 자체의 소멸을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 현재 상황을 패러다임의 변화 (Paradigm Shift)로 규정하는 이유는 이처럼 근본적으로 깊이와 폭이 다른 변화의 성격을 제대로 이해해야하기 때문이다. 현재 진행되는 저널리즘의 변화를 매체 기술의 진화 때문에 벌어지는 또 하나의 지나가는 위기로 진단해서는, 제대로된 대응 방안을 제시하기가 어려워진다. 또 잘못된 처방을 고집하게 되면, 한국의 저널리즘은 돌이킬 수 없는 소멸의 길로 접어 들 수도 있다.
 
 
미국 저널리즘의 패러다임 변화 증상
 
미국 저널리즘에 근본적인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먼저 느낀 사람들은 의식 있는 현장 기자들과 저널리즘 연구자들이었다. 그 시기는 대체적으로는 1990년대 중반쯤으로 판단된다. 문제의 심각성을 느낀 기자들은 1997년 저널리즘을 염려하는 언론인 위원회(CCJ: Committee of Concerned Journalists)를 결성한다. 그리고는 3년여에 걸친 전문가 포럼개최와 100여 명 저명 언론인을 대상으로한 심층인터뷰 등 연구작업을 실시해 미국 저널리즘의 현실을 진단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들은 이러한 노력을 통해 미국 저널리즘을 변화시키는 세 개의 커다란 동력이 작용한다고 주장했다(Kovach & Rosenstiel, 2007, pp.63-67).
첫째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과학기술의 발전이다. 이들 주장에 따르면, 인터넷과 디지틀 기술의 발전은 지역사회(Community)를 토대로 유지돼오던 언론사와 수용자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기 시작했다. 다시 말하면, 공간적 조건이 지배하고 정치 공동체가 중심이던 과거 체제가 공간 제약을 넘어 상거래나 이익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인터넷 공동체로 대체된다는 뜻이다.
두 번째 동력은 언론사의 거대기업화(Conglomeration)다. GE사가 NBC를 사고, 디즈니사가 ABC를 소유하는 사례들이 이 추세를 대표한다. 타임사를 아메리카 온라인(AOL)이 인수하는 것도 예외가 아니다. 문제는, 이렇게 되면, 저널리즘 회사가 제조업, 금융업 또는 인터넷 기업의 자회사로 편입되는 구조에서 발생한다. 이들 거대 기업은 저널리즘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생각하지 않는다. 자신들 주력기업의 이윤확대가 최우선 과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유구조에서 저널리즘은 어쩔 수 없이 모회사의 이익에 봉사하는 역할을 강요받게 된다.
CCJ가 제시하는 저널리즘 변화의 세 번째 동력은 세계화(globalization)이다. 이들에 따르면 세계화는 자본과 수용자 모두의 다국적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뉴스는 특정한 국가나 민족만을 대상으로 생산되지 않는다. 다양한 시장에서 모두의 관심을 끌어야 하기 때문이다. 저널리즘이 세계화되면, CCJ사람들이 제기하는 커다란 걱정은, 저널리즘의 전통적인 기능인 권력에 대한 감시견(watch dog)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줄어드는 점이다. 이들이 지적하는 또 다른 문제는, 모든 나라 수용자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명사 (celebrity) 중심의 뉴스나 선정적 기사들을 주요뉴스로 다루려는 언론사들의 상업주의 확산이다.
「저널리즘을 염려하는 언론인 위원회」사람들은 이러한 구조적 원인들로 인해 미국 저널리즘의 수준이 심각하게 저하됐다고 진단한다. 이에 따라 그들은 저널리즘 현실에 대한 정기적인 진단을 제도화 하고 기자들에 대한 순회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저널리즘의 기본가치를 다시 정립하는 교재인 「저널리즘의 기본원칙」(The Elements of Journalism,2001)을 출판한다. 이 책에서 공동저자인 코바치와 로젠스틸(Kovach & Rosenstiel)은 주관성이나 의견을 앞세우는 주장저널리즘(journalism of assertion)이나 정파성을 드러내는 옹호저널리즘(advocacy journalism), 그리고 여러 매체의 기사를 포털들이 모아서 전하는 집합의 저널리즘(journalism of aggregation) 등 새롭게 세력을 키워가는 저널리즘의 부정적 요소들의 폐해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이 책이 출판된지 3년 뒤인 2004년, 당시 L.A타임스 신문의 편집인(executive editor)이었던 존 캐롤(John Carrol)은 미국 저널리즘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미국 전역에 걸쳐, 편집국을 꼭 빼닮은 사무실들이 발견된다. 그리고 이 사무실들에는 기자를 닮은 사람들이 일한다. 그러나 그들은 저널리즘에 종사하지 않는다. 그들이 하는 일은 저널리즘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들의 일은 독자를 -방송의 경우는 시청자를 - 그들이 섬겨야할 대상으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대로, 그들은 자신들의 수용자를 차가운 냉소주의로 대한다. 나는 이 영역을 사이비 저널리즘(pseudo-journalism)이라고 부르는데, 이곳에서 수용자는 이용당하는 대상이다. 그리고 수용자가 오도됐을 때, 사이비 편집국(pseudo-newsroom)에서 일하는 사람은 아무도 그 일에 대해 저항하지 않는다 (Carrol, 2004).
 
이 글에서 캐롤이 겨냥한 대상은 주로 라디오 토크쇼들과 인터넷 매체들이었다. Fox TV같은 정파적 매체들도 비판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이 무렵까지만 해도 저널리즘의 주류 언론사들이나 기자들이 심각한 타격을 받으리라고 예상하지는 않았다.
2008년 금융위기가 닥치면서 상황은 급격히 악화됐다. 인쇄신문을 포기하고 인터넷으로만 뉴스를 전하는 신문이 속출하고, 전통 저널리즘의 중추적 존재인 취재와 편집인력에 대한 감원 작업이, 특히 지난 2-3년 사이, 급격히 확산됐다. 2009년 이러한 저널리즘 현황을 조사했던 레너드 다우니 2세와 마이클 슈츤(Leonard Downie, Jr. & Machael Schudson, 2009)은 그들의 보고서 첫 단락을 다음과 같이 시작했다.
 
미국 저널리즘은 격변의 순간(a tranformational moment)을 맞았다. 지배적인 신문들과 강력한 영향력을 가졌던 네트워크 TV뉴스 보도국이 급격히 쇠퇴하고 있다. 그 대신 뉴스의 취재와 전달 능력은 광범위하게 분산되었다. 거의 모든 사람이 알고 있듯이, 오랫동안 광고에 의지하던 미국 신문들의 경제적 토대는 이제 무너지고 있다. 그리고 독립적 보도의 가장 중요한 원천이었던 신문들 자신은 말그대로 급격히 축소되고 있다. 숫자가 크게 줄어든 편집국 기자들은 역시 페이지가 크게 준 지면에 훨씬 적은 량의 뉴스를 보도 한다. 지난 세기의 마지막 30여 년 동안 거의 독점적 지위를 누리던 대도시 신문들의 영향력은 그들의 주요 독자가 떠나면서, 이제 종착역에 다다르고 있다. 상업적 텔레비전 뉴스 또한 과거 오랫동안 누리던 신문의 중요한 경쟁 상대로서의 지위에 타격을 받았다. 텔레비전 저널리즘 영역에서는 시청자와 광고수입, 그리고 취재 인력까지 모두 감소하는 것이 현실이다. (Downie, Jr. & Schudson, 2009. p.1).
 
다우니 2세와 슈츤은 신문이나 TV뉴스가 조만간 사라진다고 예견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 역할이 크게 축소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변화의 가장 큰 동력은 역시 매체의 디지털화 추세다. 이들에 따르면, 지난 10여 년 사이 “뉴스의 성격은 새롭게 재구성(reconstructed)되고 있고, 취재의 도구들은 재발명(reinvented)되었으며, 취재 능력은 훨씬 다양한 전통적 매체와 완전히 새로운 매체들로 급격히 확산돼왔다.”
이들이 제시한 보고서에서 우선 눈길을 잡는 사실은 전통적인 신문들에서 급속히 진행되는 취재인력의 감축현상이다. 다음의 표는 그 상황을 정리한 내용이다.
 
 
주요 신문의 취재 인력 감축현황
 
신문
과거 기자수
현재 기자수
감소자수
감소율(%)
볼티모어 선
(The Baltimore Sun)
400
150
-250
62.5
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
(The Philadelphia Inquirer)
600
300
-300
50
클리블랜드 플레인딜러
(The Cleveland Plain Dealer)
400
240
-160
40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
(TheSan Franscisco Chronicle)
500
200
-300
60
L.A. 타임스
(TheL.A. Times)
1,100
600
-500
45
(Downie, Jr & Schudson, 2009. p.17).
 
 
다우니 2세와 슈츤이 추산한 종합적 통계를 보면, 미국의 신문기자수는 1971년 4만 명 정도에서, 1992년 6만명으로 크게 늘었다가 2009년에는 다시 4만명 수준으로 줄었다.
신문 업계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또 다른 증거는 계속 보도되는 신문사의 파산과 매각, 그리고 폐업 사례 등이다. 파산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L.A. 타임스와 시카고 트리뷴(The Chicago Tribune), 뉴욕 뉴스 데이(The New York News Day), 볼티모어 선(The Baltimore Sun)과 올랜도 센티넬(The Orlando Sentinel) 신문을 갖고 있는 트리뷴 사(The Tribune Company)의 경우다. 2009년 덴버 시의 록키 마운틴 뉴스(The Rocky Mountain News)사는 폐업을 선언했다. 비슷한 시점에 시애틀의 포스트 인텔리겐서(The Seattle Post-Intelligencer)지는 소수의 취재 인력만 남겨 인터넷으로만 뉴스를 전달하기로 했다.
2009년 후반에 이르자 토요일에 신문을 인쇄하지 않고 인터넷으로만 전하기로 한 신문이 전국에서 100개를 넘겼다 (Downie, Jr & Schudson, 2009). 신문이 인터넷으로만 뉴스를 전하기로 하거나 취재인력을 감축하는 기사들은 뉴욕 타임스의 미디어 면을 보면 2010년에도 하루가 멀다하고 등장한다. 2010년 2월 4일에는 CBS뉴스가 새해들며 수십명의 보도인력을 감원한다는 기사가 실렸다. 이 감축계획에는 아침뉴스 프로그램(The Early Show)과 60 Minutes, 그리고 해외나 국내 지역 취재팀 인력의 축소가 포함됐다고 이 기사는 보도했다(Stelter, 2010). 2010년 2월 12일자 신문에는 버클리 데일리 플래닛(The Berkeley Daily Planet)이라는 캘리포니아 주의 지역 신문이 2월 말부터 인터넷으로만 뉴스를 전하기로 했다는 기사가 실렸다 (Wollan, 2010). 2월 14일에는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발행되는 스타 트리뷴(The Star Tribune)이라는 신문에 이 회사 기자 노조가 2006년 이후 신문사를 떠난 기자들을 기억하는 광고를 실었다는 기사를 올렸다(Perez-pena, 2010). 이 기사에 따르면, 스타 트리뷴은 2006년 400명에 달하던 편집국 기자수가 2010년에는 250명 정도로 축소됐다고 한다. 이 신문기자들은 과거 이러한 회사의 정책에 저항해 기사에 기자이름 밝히기 거부 투쟁(byline strike)도 했었다고 이 기사는 전했다.
여기까지 살펴본 미국 저널리즘의 변화는 코바치와 로젠스틸(2007)이나 다우니 2세와 슈츤 교수의 표현대로 그 성격이 매우 근본적이다. 또 변화의 영향이 미치는 범위는 앞에서 제시한 저널리즘의 5가지 요소를 모두 포괄한다. 가장 직접적인 타격을 입는 대상은 지속적인 감원과 파산 사례들에서 알 수 있듯이 기자들과 경영주체들이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더욱 중요한 문제는 이러한 취재환경의 급격한 위축이 초래하는 기사 품질의 저하와 저널리즘 가치들의 훼손이다. 「저널리즘을 염려하는 언론인 위원회」(CCJ)와 다우니 2세와 슈츤 교수같은 사람들은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시민을 위해 독립적 시각으로 뉴스를 공급하는 저널리즘(Independent Journalism)은 사라지고, 홍보와 선전을 교묘하게 뉴스로 포장하는 사이비 저널리즘(pseudo-journalism)만 남을 수 있다고 걱정한다.
빔과 위버 그리고 브라운 리(Beam, et al, 2009) 등은 2002년과 2007년 사이 5년 동안 미국 기자들의 전문직 정신(professionalism)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하는 패널 연구를 시도했다. 미국 전역에서 400 명 정도 되는 기자들을 5년 간격을 두고,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이들은 두 가지 결론을 강조했다. 하나는 중요한 주제들을 취재하는 능력이 크게 축소됐다는 기자들의 인식이 확인된 점이다. 특히 이러한 인식은 가장 중요한 뉴스공급자인 일간 신문 기자들에서 더 두드러졌다. 두 번째 결론은 대규모 감원이나 명예퇴직이 시행된 매체들 경우, 기자들의 독립성이 눈에 띄게 축소됐다는 인식을 확인한 점이다. 이러한 회사에서 일하는 기자들은 예외 없이 담당 업무가 크게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빔 등(Beam, et al, 2009)은 이 논문에서 “미국기자들에게 지금보다 더 불확실성이 높았던 시기는 없었다”고 강조했다.
 
 
 
미국 저널리즘 업계의 대응
이러한 근본적 위기에 대응하는 움직임은 그 주체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첫째는 의식있는 기자 집단의 대응이고, 두 번째는 개별 매체사들의 대응노력이며, 세 번째는 사회전체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대응노력이다.
 
엘리트 기자들의 대응
 
엘리트 기자들의 대응노력은 앞에서 여러 차례 소개했듯이 「저널리즘을 염려하는 언론인 위원회」(CCJ)가 중심이 돼, 이미 1997년부터 체계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빌 코바치와 톰 로젠스틸이 주도하는 CCJ는 2001년 「저널리즘의 기본원칙」(The Elements of Journalism)이라는 책을 출판하며, 1차적으로 저널리즘의 기본가치를 다시 확립하고, 변하는 매체 환경에서도 현장기자들이 반드시 지켜야할 행동준칙들을 10가지로 나눠 제시했다. 2004년 부터는 www.journalism.org 사이트를 만들어, 저널리즘 산업과 취재보도 현장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다양한 통계자료와 연구보고서등을 통해 대중화하기 시작했다. 특히 해마다 3월이 되면, 이 사이트에 발표되는 「뉴스 미디어 현황 보고서」(The State of the News Media Report)는 신문, 잡지, 텔레비전, 인터넷 등 각 분야별 매체들의 경영이나 인력구조변화 현황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뉴욕 타임스의 대응
 
개별 매체사의 대응은 소유구조와 경영철학 등의 차이로 편차가 대단히 크다. 트리뷴 사 (The Tribune Company) 경우 는 L.A. 타임스를 인수하는 등 사세 확장을 꾀하다가 불경기를 만나, 회사를 매각하고, 급기야는 파산에 이르렀다. 그런가 하면 뉴스 코퍼레이션(News Corperation)은 소유주인 루퍼트 머독(Rupert Murdoch)의 지휘아래, 미국을 대표하는 전국지인 월 스트리트 저널(The Wall Street Journal)을 인수해 계열사를 확장했다. 그리고는 현재 인터넷 중심의 독자구도로 재편되는 추세를 고려해, 인터넷 독자들에 대한 유료 모델을 개발해 실험하는 중이다. 신문재벌가운데는 가네트(The Gannett)사에 이어 두 번째 규모를 자랑하던 나이트 리더(The Knight-Ridder)사가 그보다 규모가 훨씬 적은 맥클래치(The McClatchy Company)사에 매각됐다. 맥클래치 사는 나이트 리더를 인수한 뒤, 경영이 어려워져 주식가격이 매입시에 비해 30%수준으로 폭락하는 어려움을 격고 있다. 4대 일간지의 하나였던 L.A. 타임스는, 앞에서 표로 보여준 것처럼, 한 때 1,100명에 달하던 편집국 인력을 5-6년 사이 600명 수준으로 축소했다. 존 캐롤(John Carrol)이 편집인으로 있을 때, 한 해 퓰리쳐 상을 7개나 타내며 수준높은 저널리즘을 추구하던 신문의 명예가 형편없는 수준으로 추락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뉴욕타임스의 대응은 달랐다. 인터넷의 도전과 금융위기로 광고가 급격히 줄면서 회사의 수익구조는 크게 악화됐지만, 뉴욕 타임스는 대규모 감원을 실시하지 않았다. 2009년, 자회사인 보스톤 글로브(The Boston Globe)가 경영난을 겪으며, 회사 자금 상황을 압박할 때도, 뉴욕타임스는 저널리즘의 수준을 유지하려면, 최고의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감원을 자제했다. 이 회사 경영진은 기자를 60 여명 감원하는 안과 전체 직원의 급여를 한시적으로 5%삭감하는 안을 놓고 기자노조와 협상을 시도했다. 양측이 합의한 대책은 감원을 최소화 하는 대신 일정기간동안 전체 직원의 급여를 일부 삭감하는 안이었다.
뉴욕타임스는 최고 수준의 저널리즘을 추구하기 위해 여러 지역에 소유하고 있던 지역 방송사들을 매각했다. 설즈버거 2세(Arthur Sulzberger, Jr.)의 생각은 뉴욕타임스의 핵심역량은 모기업인 신문의 저널리즘 기능이므로 그곳에 모든 에너지를 집중하는 것이 맞다는 것이었다.
뉴스의 취재와 편집을 책임지는 편집인(executive editor) 빌 켈러(Bill Keller)는 2003년 벌어진 제이슨 블레어(Jayson Blair)사건을 딛고 일어서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독자의 신뢰(credibility)를 회복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2005년 편집국의 운영원칙으로 천명되는 「신뢰도 보고서」(The Credibility Report)를 발표하면서, 독자들과의 교감을 강화하고, 독자의 소리를 제도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두 개의 새로운 서비스를 시작한다. 하나는 옴부즈맨 제도인 시민 편집인(The Public Editor)의 임명이고, 다른 하나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개설된 「편집국과의 대화」(Talk To The Newsroom)섹션을 개설하는 일이다.
시민편집인은 다른 회사에서 명예로운 기자 경력을 축적한 기자를 초빙해 계약직으로 임명하는 자리다. 객관적이고 독립적인 기능이 가능하도록 고려한 원칙이다. 2005년, 다니엘 오크렌트(Daniel Okrent)씨, 2007년 바이런 컬레임(Byron Calame)씨에 이어 현재는 클라크 호이트(Clark Hoyt)씨가 시민편집인을 맡고 있다. 시민편집인의 역할은 말그대로 시민의 시각으로 뉴욕타임스 기사를 감시하는 일이다. 시민편집인은 2주에 한번 신문에 칼럼을 게재한다. 홈페이지에 있는 시민 편집인 코너에는 독자들의 질문과 비판이 그때그때 요약돼 제시된다. 시민 편집인이 싣는 칼럼을 보면 편집인 빌 켈러를 비롯한 각부문 담당 에디터들의 답변들이 실명으로 인용된다. 시민 편집인이 독자의 질문들을 토대로 담당자에게 문제를 제기하면, 책임자는 반드시 실명으로 응답하도록 회사에서 규칙으로 강제하기 때문이다.
「편집국과의 대화」(Talk To The Newsroom)는 담당 에디터가 직접 독자와 인터넷을 통해 대화하는 공간이다. 뉴욕 타임스는 첫 회에 빌 켈러 편집인을 시작으로, 매주 한 사람씩 이 코너의 담당자를 지정한다. 그러면 독자들은 자신들이 궁금한 점을 이 사람에게 메일로 질문한다. 담당자는 자신이 맡은 1주일 동안 이렇게 들어오는 질문들에 대한 답변을 인터넷에 올리도록 돼있다. 이 코너엘 들어가 보면, 2005년 시작했을 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독자들의 질문에 답변한 에디터들과 전문기자들의 명단이 모두 올라와있고, 그들과 독자들의 대화내용도 보관돼있다.
따라서 이 글들을 보면, 이 신문의 편집책임자들이 어떠한 기준으로 기사를 판단하고, 취재하는지, 독자들은 어떠한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도록 돼있다. 이 코너는 특히 선진적 편집관행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취재, 편집 수준을 높이고 싶어하는 한국의 기자들에게도 매우 유용한 정보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뉴욕타임스의 주식 가격도 크게 떨어졌다. 금융위기로 광고 매출도 대폭 줄었다. 그래서 2011 년 부터는 인터넷 독자들 경우, 한달에 일정한 숫자 이상의 기사를 보게되면, 요금을 부과하도록, 인터넷 유료화를 추진하고 있다. 매일 2000만 명 이상 찾아오는 인터넷 독자를 수익원으로 전환해 보려는 구상이다.
 
사회 제도적 대응
 
저널리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는 미국의 사회제도적 대응은 아직은 지극히 초기적 수준에 머물고 있다. 1947년 제시된 허친스 위원회(The Hutchins Commission)보고서 같은 포괄적인 대안은 조금 더 시간이 지나야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시점에서 그래도 가장 종합적인 제안은 다우니 2세와 슈츤(2009)이 내놓은 「미국 저널리즘의 재건」(The Reconstruction of American Journalism)에 담겨있다. 이 보고서는 신문과 네트워크 TV 등 무너져내리는 전통적 저널리즘 매체들의 공백을 메워줄 대안을 어디서 어떻게 찾을 수 있을 것인가에 전체 지면 98쪽의 60% 이상을 사용한다. 그리고 보고서의 마지막 결론부분에서는 독립적 저널리즘이 유지될 수 있게 하려면 미국 정부와 사회가 어떠한 일을 해야하는가를 6가지 제안(recommendation)으로 정리해 제시한다.
다우니 2세와 슈츤은 새롭게 독립저널리즘 매체를 만들어내는 집단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눈다. 첫째 집단은 기존 신문과 방송사를 떠난 전직 기자들이다. 두 번째 집단은 전국대학의 저널리즘 스쿨과 그곳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이다. 그리고 마지막 집단은 인터넷 블로거들과 시민기자들(citizen journalists)이다.
이들은 캘리포니아 주의 샌디에고(San Diego)에서부터 텍사스(Texas), 아이오와(Iowa)와 미네소타(Minnesota)를 거쳐 뉴저지 (New Jersey)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전지역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들이 취재하는 영역은 주로 각 도시의 지역 뉴스(local news)이다. 이들은 또 정치나 환경, 세금 문제 등 특정한 분야를 집중적으로 심층취재하는 탐사저널리즘을 추구하기도 한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사게재 공간은 인터넷이지만, 이들은 각 지역의 공영방송(라디오)과 신문, 잡지, 텔레비전에 자신들의 기사를 제공하기도 하고, 타지역에 있는 비슷한 매체들과 제휴해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도 한다. 다우니 2세와 슈츤(2009)의 조사에 따르면, 이러한 매체들은 영리(for profit)법인도 있고, 비영리(non-profit)법인의 형태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 두가지를 혼합한 형태를 띠는 매체도 발견된다.
흥미로운 점은 뉴욕을 포함한 각 지역에서, 이들 같은 독립저널리즘 매체를 재정적으로 지원하려는 자선재단(Foundation)들이 적지 않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면, 나이트 재단(Knight Foundation)과 샌디에고 재단(Sandiego Foundation)은 2009년 www.voiceofsandiego.org라는 매체를 위해 각각 10만 달러 씩을 후원했고, 샌디에고 재단은 자신의 건물공간을 이 매체에 좋은 조건으로 임대하기도 했다.
뉴욕 시에는 2008년 프로퍼블리카(ProPublica)라는 미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비영리 탐사보도전문 매체가 등장했다. 프로퍼블리카는 30 여 명의 경력 기자와 에디터를 고용했다. 편집장은 전 월스트리트 저널의 편집국장 폴 스테이거(Paul Steiger)이고, 기금 3천만 달러는 캘리포니아의 금융재벌 샌들러(Sandler)부부가 만든 자선기금에서 제공했다. 프로퍼블리카는 정부의 재정지출이나 경제위기, 에너지, 교육, 건강분야 등에 대한 탐사보도 만을 추구한다. 프로퍼블리카는 이미 워싱턴 포스트와 뉴욕 타임스, L.A.타임스, ABC, CBS, CNN 등에, 자신들이 생산한 기사를 게재했다. 이 기사들은 프로퍼블리카의 홈페이지에도 공개된다.
다우니 2세와 슈츤은 대학과 공영방송들이 독립저널리즘의 유지를 위해 수행할 역할이 크다고 주장한다. 대학은 저널리즘 교수들의 전문적 능력과 풍부한 학생자원을 활용해 수준높은 권력 감시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공영방송들은 기존의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활용해 저비용으로 이들이 생산하는 기사를 보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독립매체들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AP통신도 참여를 선언했다. 2009년 6월 13일자 뉴욕타임스 기사에 따르면, AP통신은 탐사보도를 전문으로 하는 4개의 비영리 매체들과 기사 배달을 위한 협정을 체결했다(Perez-Pena, 2009, June,13). 이 작업에 참여한 4개의 비영리 매체는 프로퍼블리카와 The Center for Public Integrity(워싱턴 D.C.). 아메리칸 대학에 있는 the Investigative Reporting Workshop(워싱턴 D.C.), 그리고 the Center for Investigative Reporting(버클리,캘리포니아) 등이다. 이 협정에 따르면 AP통신은 이들이 생산한 기사를 전국에 있는 회원사들에게 전송한다. 그러면 AP회원사들은 무료로 이들의 기사를 자사의 신문이나 잡지, 방송뉴스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블로그를 통해 뉴스와 주장을 전하는 신종매체들의 성장도 빠르다. 다우니 2세와 슈츤(2009)에 따르면, 블로그를 통해 개인들이나 소집단으로 활동하는 이 사람들은 전통매체들과 공생적 관계를 형성하며, 뉴스거리를 제공하고 서로가 기사의 진실을 검증하며, 디지털 저널리즘 생테계를 확장시킨다. 이들 가운데 대표적인 블로그는 조쉬 마샬(Josh Marshall)이라는 사람이 맨하탄의 첼시(Chelsea)지역에서 운영하는 TPM(Talking Points Memo)이라는 매체다. 중도진보적 성격의 이 블로그는 뉴스와 오피니언을 섞어서 전하는데, 1년에 60만 달러 정도의 예산으로 뉴욕과 워싱턴 지역에 소수의 기자를 주재시키며 기사를 생산한다. 이 블로그는 2008년 부시 정부에서 검사들을 정치적으로 해고한 사안을 탐사 보도한 공로로 조지 포크상(The Georg Polk Award)을 수상하기도 했다.
TPM 이 외에도 the Daily Kos나 the Huffington Post, the Daily Beast 등의 매체는 상당한 방문자를 끌어 모으며, 이 분야의 대표적 매체로 성장했다. 특히 허핑턴 포스트 경우는 워싱턴 D.C.에 Huffington Post Investigative Fund라는 비영리 기금을 설치해 175만 달러를 투입했다. 과거 워싱턴 포스트 지에서 탐사보도 에디터로 일했던 래리 로버츠(Larry Roberts)가 책임을 지게 된 이 기금은 프로퍼블리카와 같은 방식으로 워싱턴 지역을 중심으로 연방 정부 관련 탐사 기사를 생산한다.
대학저널리즘 스쿨의 노력은 미주리 대학처럼 전통적으로 유지해온 지역 신문의 발간작업을 강화하는 일과 인터넷 사이트를 만들어 학생들이 쓴 기사를 게재하는 일 등이 주류를 이룬다. 최근 들면서는 저널리즘 현장에서 일하던 탐사 기자들을 교수로 초빙하거나 프로젝트 담당자로 고용해 과거보다 크게 강화된 탐사보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가 느는 추세다. 콜롬비아 대학의 The Stabile Center for Investigative Journalism이 대표적인 사례다. 그런가 하면, 버클리 대학 저널리즘 스쿨의 학생들은, 샌프란시스코 지역에서 방송하는 KQED라는 공영방송과 협정을 맺어 2010년부터 이 방송의 라디오와 텔레비전 뉴스를 위해 기사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버클리 대학 저널리즘스쿨 학장인 닐 헨리(Neil Henry)교수는 “이 지역의 취재 인력이 절반으로 축소될 만큼 뉴스의 위기가 급박하기 때문에, 학교가 더 적극적인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Downie Jr. & Schudson. 2009. p.61).
좀 더 적극적인 대학들은 스스로 운영하는 통신사를 설립했다. 다음 표는 다우니 2세 와 슈츤(2009)이 소개하는 대학 통신사들을 정리한 내용이다.
 
대학 저널리즘 스쿨이 운영하는 통신사
통신사
대학
뉴스 공급대상
Cronkite News Service
Arizona State 대학
아리조나 주 내 30개 매체에 뉴스 공급
Capital News Service
Maryland 대학
워싱턴 D.C.와 주 수도에 사무실
Medill School of Journalism News Service
North Western 대학
워싱턴 D.C. 소재 전국에 있는 매체에 기사 공급
(Downie Jr. & Schudson. 2009. pp.61-62.)
 
 
다우니 2세와 슈츤의 6가지 제안
 
독립적인 저널리즘의 명맥을 이어가기 위해 다우니 2세와 슈츤은 6가지 구체적인 제도적 대안을 권고했다. 이들은 그러나 많은 유럽국가들 사례처럼, 정부가 직접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식을 제안하지는 않는다. 정부가 TV 네트워크에 자본을 대거나 통제권을 행사하는 것도 반대한다. 미 국민의 정서가 정부의 직접 개입에 대해서는 강한 불신을 보여왔기 때문이다. 이 들은 그러나 예술분야나 인문학, 과학 등을 지원하는 정도의 정부 역할은 거부할 일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정부가 매체의 저널리즘 활동에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다는 전제하에서, 다우니 2세와 슈츤은 다음의 6가지 제도적 개선을 제안한다.
 
1. 국세청이나 의회는 독립적 뉴스 조직이 공공의 사안을 충실하게 보도 할 수 있도록, 이들을 비영리법인 이나 저영리 법인(Low-profit)으로 규정해주어야 한다. 국세청이나 의회는 또 소규모 매체들에 대한 재정지원이나 광고, 협찬 등의 행동도 같은 기준으로 취급하고, 영리 매체가 보도하는 공공성이 강한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협찬도 이러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
 
2. 자선 단체나, 공익 재단, 지역 재단 등은 공공성이 강한 뉴스를 공급하는 뉴스 매체에 대한 지원 규모를 대폭 늘려야 한다.
 
3. 공영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은 지역의 중요한 공적 사안들을 충분히 보도하도록 기능이 강화돼야 하고, 의회는 이들에 대한 재정지원을 증가 시켜야 한다.
 
4. 대학들은, 주립이나 사립을 막론하고, 교육적 사명 외에 공공적 문제를 취재해 보도하는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스스로 매체를 운영하고, 사회와 연계해 협력사업을 추진해야 하며, 뉴스의 취재와 전파를 효율적으로 하는데 필요한 디지틀 혁신 작업의 실험실 기능도 담당해야 한다.
 
5. 지역 뉴스를 위한 기금(Fund for Local News)을 만들어야 한다. 재원은 FCC가 통신사업자나 방송사 인터넷 사업자에게서 걷는 면허세(License Fee)를 활용하면 된다.
 
6. 기자와 비영리 조직, 정부 등은 공공정보의 접근성과 활용성을 강화해, 시민들이 이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국 저널리즘의 패러다임 변화 증상
 
1920년 동아일보가 창간할 때, 편집국 인력은 논설반과 국장, 부장 등을 합쳐 22명 이었다 (동아일보사, 2000). 편집국에서 일선 취재를 담당하는 기자 수는 16명에 불과했다. 신문의 발행부수는 1만 부, 발행지면은 하루 4면 이었다. 8.15해방과 6.25전쟁을 마친 1954년 무렵, 조선일보는 6만 부 정도를 인쇄했다. 당시 편집국 사원 수는 41명이었다. 여기에는 그 해 새로 선발한 수습기자 8명도 포함돼 있다 (권영기, 1999).
2010년 현재 두 신문사의 편집국 인력은 모두 300명을 웃돈다. 발행부수는 200만 부 전후이고, 평일 인쇄하는 지면은 50면을 넘는다. 이 두 신문은 1920년 창간 이후 90년을 지나며, 여러 측면에서 엄청난 양적 성장을 이뤘다. 인력은 15배, 지면은 10배, 발행부수는 100배쯤 는 셈이다.
그러나 매체의 사회적 영향력을 따지면, 현재의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1920년대, 또는 1950년대 이 신문들의 영향력에 비해 크게 밀릴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1920년대와 1950년대 초에는 텔레비전도 없었고, 인터넷은 더욱 없었기 때문이다.
1950년대 말, 텔레비전이 등장하며, 신문은 강력한 경쟁 매체를 맞게 된다. 그러나 매체 시장에 대한 포괄적인 정부 규제와 신문과 방송의 겸영을 통해 큰 어려움 없이 성장을 계속할 수 있었다. 1980년대 초 5공화국에 의한 상업 방송의 공영화와 1도 1사 원칙 등에 따른 신문 시장의 정비는 정치 환경은 지극히 부자유했지만, 경제적으로는 매우 안정적인 영업기반을 마련해줬다.
한국 매체 시장은 1980년대 말, 민주화가 시작되며, 격변기를 맞는다. 정기간행물등에 관한 법률의 자유화 조치 덕분에 등록제에서 신고제로 신문 설립 규정이 바뀌자, 신문사 숫자가 크게 늘었다. 1980년, 10,000명 수준이던 전국의 신문 종사자 수는 10년 뒤인 1991년 20,000명을 넘어섰다. 1990년대 초 케이블 TV와 지역 민영방송들이 등장하며, 1980년 7,000명 수준이던 방송종사자 수도, 1997년에는 20,000명을 넘었다 (한국신문방송연감, 1997).
그러나 신문과 텔레비전 등 전통적 대중매체의 성장은 1990년대 말 두 개의 강력한 구조적 장애 요인을 만난다. 하나는 IMF사태로 알려진 1997-98년의 외환위기 이고, 다른 하나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기술의 확산이다. 1997년 말에 닥친 외환 위기는 금융업과 제조업 뿐 아니라 신문과 방송사에도 엄청난 타격을 가했다. 가장 눈에 띄는 충격은 역시 거의 모든 매체에서 진행된 큰 폭의 감원 사태였다. 다음 표는 당시 주요 신문과 방송사의 감원현황을 정리한 내용이다.
 
외환위기 매체별 감원현황
 
매체
종사자수
감원율 (%)
1997년
1999년
경향신문
1017
575
43.5
동아일보
1032
652
36.8
문화일보
576
375
34.9
조선일보
1028
871
15.3
중앙일보
1362
637
53.2
한국일보
1279
932
27.1
KBS
6245
5517
11.7
4296
3238
24.6
MBC
1421
791
44.3
SBS
(자료 : 한국 언론재단,1999)
 
이 숫자에는 기자직 뿐 아니라 총무직과 기술직 등 다른 직종의 인력도 포함돼있다. 이 자료에는 또 단순감원만이 아니라 자회사의 설립을 통한 분사대상 인력도 함께 계산돼 있다. 그러나 2년 정도의 기간에 전 산업적으로 이처럼 대규모 인력감축이 진행된 사례는 과거에는 찾아볼 수가 없었다. 이는 한국 매체 시장의 성격이 근본적으로 변하고 있는 사실을 보여주는 증거다. 이러한 대량 감원사태 이후로 한국 매체 시장에는 크게 두 가지 부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의사 결정에서 경영적 고려가 저널리즘적 고려에 우선하는 것이 하나이고, 기자에 대한 경영주체(발행인)의 장악력이 거의 절대적으로 변한 것이 다른 하나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초고속 인터넷 망의 보급은 뉴스 전달과 소비 방식을 혁명적으로 바꾸기 시작했다. 네이버와 다음, 야후 등 포털사들의 발전은 수용자들의 뉴스를 포함한 정보 소비 양식을 인터넷 중심으로 바꾸며, 미국식 집합의 저널리즘(journalism of aggregation)시대를 열었다. 초고속 인터넷 기반의 확산은 이와 함께 오마이뉴스와 프레시안 등 인터넷으로만 뉴스를 전하는 매체들의 성장을 위한 토양으로 작용했다. 초고속 인터넷망을 바탕으로한 진보와 보수 등 정치적 성향을 분명히 드러내는 웹진과 블로그들의 등장은 주장 저널리즘(journalism of assertion)과 정파저널리즘(advocacy journalism)을 일상화 시켰다.
이들 정파적 매체들은 노동, 교육, 환경, 복지 등 사회적 쟁점들에 대해 적극적인 목소리를 펼치기 시작했다. 인터넷을 중심으로 주관적 정파적 글쓰기 방식이 세력을 키워가자 전통매체인 신문과 방송의 표현방식도 급속히 정파성을 강화했다. 물론 신문과 방송 등 전통매체들의 정파화는 정치권에서 대립하는 진보 보수 세력과 조응하는 매체를 필요로 했던 사회정치적 필요가 중요하게 작용했다. 또 급격히 떨어져나가는 독자들을 정파적 동질감으로 붙잡아 보려는 신문들의 판매전략도 무시할 수 없는 기능을 했다.
돌아보면, 1990년대 말의 외환위기와 그 무렵부터 속도를 내기 시작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 그리고 민주화 이후 일상화한 정파저널리즘(partisan journalism)등은 앞에 소개한 미국 사례 가운데 「저널리즘을 염려하는 언론인 위원회」가 제시했던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세계화, 매체의 거대기업화 등 거시 요인들과 중복되는 부분이 많다. 차이가 있다면 한국의 외환위기가 10년 쯤 일찍 발생하며 경제적 요인을 제외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나 매체 회사의 융합화, 거대화 등 다른 주요 요인들이 저널리즘에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력을 제대로 보지 못하도록 한 점이다.
다시 말하면, 한국 저널리즘의 패러다임 변화는 이미 10여 년 전에 시작됐다. 언론 학계와 언론계에서 외환위기의 파괴력 때문에 현상의 본질을 꿰뚫어보지 못했을 뿐이다. 여기에 한국 사회가 지나와야 했던 민주화 과정이 만들어낸 지독한 정파적 갈등 구조도 문제를 잘못 진단하게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환경적 조건은 한국 사회의 저널리즘 문제에 대한 처방이 주로 매체사의 생존과 정파저널리즘 극복 쪽으로 집중하게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두 가지 가치는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을 희생하는 매체 회사의 생존은 바람직한 선택이 아니다. 또 정파저널리즘 관점에서 균형을 추구하기 위해, 보수 신문에 맞설 수 있는 진보신문을 정부가 지원하는 정책도 바람직하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이러한 사회 문화적 구도에서는 “얻을 수 있는 최선의 진실”보다는 극단적으로 편파적인 기사들이 독자들에게 전달돼 사회적 갈등을 촉발하기 때문이다.
 
 
 
패러다임 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한국 저널리즘의 특징들
지난 10여 년 급격한 구조변화를 겪으며 한국 저널리즘은 몇 가지 뚜렷한 긍정, 부정적 특징을 드러내왔다. 우선 눈에 띄는 긍정적 특징은 다음의 세 가지다.
표현 자유의 확장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표현의 자유를 거의 무제한으로 넓혀줬다. 인터넷과 휴대전화가 보편화하면서, 개인의 의사표현이나 시민 단체의 집단 행동 등이 전혀 제약을 받지 않는 상황이 됐다. 심지어 동영상을 방송하는 인터넷 매체의 설립도 어렵지 않은 환경이 만들어졌다. 유튜브나 트위터, 싸이월드, 마이스페이스 등의 서비스는 국가의 경계를 넘어 표현의 자유를 확장해주는 추세다.
의제설정 능력의 다원화
표현자유의 확장과 매체 설립의 자유화는 자연스레 사회적 의제 설정능력을 과점하던 전통 매체들의 영향력을 약화시켰다. 과거에는 주류매체들이 단합해 특정한 사실을 보도하지 않는 경우, 그 의제는 여론을 형성할 수 없었지만, 디지털 미디어시대에는 개인 블로그를 통해서도 세상을 바꾸는 여론 형성 작업이 가능해졌다. 1990년대 중반 반미의식을 크게 높혔던 미선·효순양 사건을 전국민적 의제로 바꾼 것이 오마이뉴스에 게재된 기사 한 것이었던 점이나, 최근 쟁점이 됐던 미네르바 사건이 한 청년의 블로그에 올려졌던 글이었다는 점 등은 이러한 현실을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게이트 키핑의 과점 해제
과거 뉴스의 흐름을 통제하는 게이트 키핑 권력은 전통 매체의 기자들이 과점적으로 행사했었다. 주요 매체의 보도책임자만 설득하면, 특정 뉴스의 전파를 막을 수 있었다는 뜻이다. 그러나 표현 도구가 크게 늘며, 이러한 게이트 키핑 질서는 유지될 수 없게 됐다. 특정 세력이나 권력자들이 원하지 않는 정보의 흐름을 완전하게 차단하는 일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해졌다는 뜻이다. 과거 권위주의 시대 정치권력이 미디어를 통제하던 정보관리 방식이나 주류 매체들이 담합해 정보흐름을 왜곡하는 일이 기술적으로는 어려워진 것이다.
 
 
 
부정적 특징
 
패러다임 변화 과정이 만들어낸 한국 저널리즘의 부정적 특징은 다음의 다섯 가지다.
 
저널리즘가치보다 경영우선 추세
외환위기 이후 광고 물량이 급감하며, 앞에 제시한 바와 같이, 전통 매체들은 대량의 인력 감축을 포함하는 구조조정을 실시했다. 그 이후 신문사와 방송사의 의사결정구조는 경영 측이 주도해왔다. 어찌보면 위기를 맞은 기업에서 이는 당연한 결과이다. 그러나 문제는 저널리즘이 기본적으로 공익적 기능을 자임하는 특별한 산업이라는 데 있다. 시민을 위해 정부와 기업을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언론사가 진실보도나 공정한 보도보다 회사의 이익 증대를 위해 기사에 관한 결정을 내리고, 취재인력을 운용하는 관행이 일상화해버렸다. 이는 대부분 주요 매체의 임원이나 국장급 간부들이 임명되는 사례들을 보면 쉽게 확인되는 관행이다. 좋은 예가 사장실장 또는 비서실장, 기획실장 등의 보직에 각사의 유력한 기사를 임명하는 추세다. 이러한 보직은 최고 경영자의 경영적 결정을 보좌하는 직책이다. 저널리즘적 가치나 판단 보다는 경영자의 대리인적 성격이 강하다. 그런데 지난 10여년 추세를 보면, 이러한 경력을 거치지 않은 사람이 편집국장(보도국장)이나 편집담당 임원으로 기용되는 사례는 극히 드물었다. 이러한 인사 관행이 지배하면, 편집의 독립은 불가능해진다.
 
정부(권력)감시 능력의 쇠퇴
지난 10여 년 한국 저널리즘이 보여준 또 하나의 부정적 특징은 정부와 대기업 등 권력에 대한 감시 기능이 약화된 사실이다. 이러한 추세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한다. 첫째는 경영압박에 따른 경제적 요인이다. 외환위기이후 모든 주류 매체는 광고가 급감했다. 따라서 신문과 방송사에 광고를 줄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는 정부 각 기관과 대기업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크게 강화됐다. 정부는 또 다양한 방법으로 신문과 방송에 정책적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갖고 있어 매체 장악력이 더 커졌다. 지역 언론지원예산의 배분이나, 정부 정보에 대한 선택적 접근 허용, 세무적 압력 수단의 활용 등 정부가 사용할 수 있는 수단들의 위력은 위기가 지속되는 기간에 더욱 커졌다.
두 번째 요인은 매체의 정파성이 강화된 사실이다. 주류 신문과 방송사들이 정권의 성격에 따라 보수와 진보로 확연히 나뉘어 모든 기사를 보도하다보니, 권력에 대한 감시보다는 반대편 정파와 매체에 대한 비판과 비난이 더 중요한 일이 돼버렸다. 이러한 정파적 보도 환경에서는 시민을 위한 권력의 감시는 우선 순위에서 뒤로 밀릴 수 밖에 없다.
 
사실의 상대화
앞에서 제시한 두 요인이 매체의 경영과 관리 측면에 관한 내용이라면, 사실의 상대화는 기자가 생산하는 기사의 핵심 성격과 관계되는 문제다. 과거 1970, 80년대 권위주의 시대에는, 권력의 압력 때문에 기사를 보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사실을 왜곡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발생한 사실에 대한 기술이 신문이나 방송사의 성향 때문에 정반대로 제시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1990년대 중반이후 상황이 크게 변했다. 지난 10여 년, 한국 사회의 정파갈등이 강화되면서, 정치성이 조금이라도 내포된 사안의 경우는 보도하는 매체의 성향에 따라 예외없이 진보적 관점이나 보수적 관점의 편향적 기술이 일상화했다. 이러한 사실의 상대화 현상은 북한 문제나 한미 관계, 노동 문제 등 이념적으로 민감한 영역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 연구 논란이나 PD수첩 방송으로 문제가 된 광우병에 대한 과학적 해석에 대해서도 진보적 사실은 보수적 사실과 전혀 다른 모습으로 제시됐다. 이는 서로 다른 진영의 기자들과 매체들이 사실을 형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자신들의 이념적 틀에 맞춰 선택적으로 조합하는 일이 일상적으로 벌어진다는 뜻이다. 더 안타까운 점은 한국 사회가 이러한 현실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는 사실이다. 이는 다시 말하면, 한국의 저널리즘 이론은 기자에게 최대한 진실을 완전하게 복원하려고 노력하도록 요구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매체별로 각자가 원하는 진실의 버전을 제시하는 것이 한국식 저널리즘 원칙이고, 그러한 진실의 종류가 다양하면, 그것이 미디어의 다양성을 구현하는 일이 된다.
 
기사 품질에 대한 인식 부족
한국신문이나 방송뉴스는 기사 품질이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품질 기준에 대한 고려를 제도화해본 경험이 적다. 일부 신문과 방송사가 탐사보도팀을 구성해 심층취재를 제도화하고, 일부 신문은 한때 퀄리티 페이퍼(quality paper)를 명시적으로 지향하기도 했지만, 여러 학자들의 비교언론학적 연구는 한국의 주요매체들이 생산하는 기사의 품질이 선진국 매체가 생산하는 기사들과는 크게 다르다는 점을 확인해줬다(박재영, 2006; 이건호 등, 2007; 이재경, 2006). 이러한 현실은 한국 저널리즘이 시급히 극복해야할 과제이다. 그러나 앞에 제기한 경영 중심의 매체운영현실이나, 정파주의에 매몰된 보도 관행, 그리고 여전히 계속되는 경영환경의 위기는 수준 높은 저널리즘을 추구할 환경을 만들어 주지 않는다.
 
정치의 덫에 빠진 방송 저널리즘
1980년대 초 출범한 공영방송체제는 사실은 5공화국 정부가 직접 통제하는 관영방송이었다. 방송위원회가 있고, 각 사의 이사회도 있었지만, KBS와 MBC 두 방송사의 사장이 모두 청와대 대변인이나 문화공보부 장관 출신이었던 사실이 이러한 체제의 실상을 말해준다. 1980년대 말 민주화가 시작되며 방송법도 개정됐다. 그 때 도입된 체제가 1990년대 말 부분적 수정을 거쳐 현재까지 유지되는 2기 공영방송체제다. KBS이사회와 방송문화진흥회(MBC)로 대표되는 현재의 공영 방송체제는 켈리(Kelly,1983)의 분류에 따르면, “Politics-in-broadcasting" (방송지분의 정파배분 구조)체제에 가깝다. 집권 세력과 야당이 6:3으로 이사회를 구성하도록 한 이사회 운영 방식 때문이다. 과거 5공화국과 그 이전 체제는 켈리의 구분에 따르면, ”Politics-over-broadcasting"(방송에 대한 정권의 직접 통제 체제)방식이었다. 켈리가 제시하는 또 다른 체제는 “autonomous"(독립적 방송제도)체제이다. 물론 이 3가지 체제는 완전히 상호 배타적이지는 않다. 현대 방송에서는 방송사의 일상적 운영은 어느 정도는 현장의 전문가들에게 맡겨야 하기 때문이다. 영국의 BBC나 일본의 NHK가 상대적으로 정치적으로 독립적인 보도를 유지할 수 있는 근거도 이러한 전문직 정신(professionalism)이 작동하고, 또 존중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의 현실은 그렇지가 못하다. 특히 정권이 교체되는 시점에는 정치가 저널리즘에 개입하는 방식이 대단히 직접적이다. 보수정권에서 진보정권으로 권력이 이동하거나 진보에서 보수로 권력이 이동하거나 상황은 마찬가지다. 이러한 지배구조에서, 높은 수준의 방송 보도, 시청자를 위해 권력을 감시하는 이상적인 공영방송은 실천할 수 없는 환상일 뿐이다. 이러한 방송구조는 탁월한 방송인을 키워낼 수도, 독립적인 방송 저널리즘을 발전시킬 수도 없는 조건이다.
 
 
 
 
한국 저널리즘의 과제
 
미국과 한국의 저널리즘은 똑같이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의 소용돌이에 빠져있다. 두나라 매체사들과 기자들이 겪고 있는 작업 환경의 악화는 비슷한 강도로 진행된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두 사회와 두 나라 기자 집단의 대응방식은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 미국 기자와 학자들은 1990년대 중반부터 “저널리즘을 염려하는 언론인 위원회”(CCJ)를 만들어 조직적으로 현실을 성찰하고, 체계적인 자료를 통해 대응 방안을 모색하며 실천해왔다. 또 「저널리즘의 기본원칙」이라는 책을 저술해 동료기자와 독자들에게 왜 현재에도 저널리즘이 중요하고, 저널리즘은 어떠한 기능을 해야 하는가를 교육해왔다. 그러나 한국 저널리즘 업계는 이 기간 동안 정파적 갈등에 매몰돼, 거꾸로 저널리즘의 신뢰도를 추락시켜왔다.
미국에서는 최근에도, 다우니 2세와 슈츤(2009)의 작업처럼, 독립 저널리즘(independent journalism)의 가치를 재확인하는 조사활동이 진행돼, 사회전체가 독립저널리즘의 명맥을 유지하지 위해 어떻게 이러한 노력을 기울이는 기자와 매체들을 지원해야하는가를 계몽해나가고 있다. 그런데 한국 사회에서는 종합편성채널을 따내기 위한 신문사들의 경쟁과 방송사의 주도권을 둘러싼 정치투쟁 등으로 저널리즘의 위기는 고민할 여력도 없어 보인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한국 저널리즘의 미래는 어둡다. 미디어 산업의 존립기반도 더욱 부실해진다. 우선 단기적으로 다음 여섯 가지 과제가 시급해 보인다.
첫째, 저널리즘의 기본가치들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민주화가 진행되며 정파 저널리즘은 한국형 저널리즘의 고정형이 되다시피 했다. 그 결과 언론사와 기자의 이념적 경향에 따라 대단히 상충적인 저널리즘 철학이 공존하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보수주의 기자가 생각하는 저널리즘의 역할과 기자의 기능은 진보주의 기자가 생각하는 역할과 기능과 현격하게 다르다.
이처럼 기자들이 진영에 따라 서로 다른 저널리즘의 이상을 실천하는 상황에서는 정부나 정치인, 기업인 등 사회 구성원들과 뉴스를 소비하는 수용자들에게 저널리즘의 가치를 설명하는 일이 불가능하다. 저널리즘이 왜 필요하며, 정부나 사회세력들로부터의 독립은 무엇을 위한 것인지도 설명할 방법이 없다.
한국 저널리즘은 한국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오늘날의 정체성을 형성해왔다. 이제 이 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필요하다. 그러한 과정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의 저널리즘의 역할과 기자의 정체성 등에 대한 합의(consensus)를 끌어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합의가 한국의 저널리즘 이론으로 뿌리내려야 한다. 1990년대 중반 관훈 클럽에서 주도했던 “한국언론 2000년 위원회”보고서나 2000년대 초 조선일보 후원으로 한국언론학회 연구팀이 출판한 「민주화 이후의 한국언론」등 작업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미국의 “저널리즘을 염려하는 언론인 위원회”(CCJ)가 출간한 책과 보고서들도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작업을 지도적 언론인들이 주도해야한다는 점이다. 그래야 현장에서 실천력이 생기고, 저널리즘에 대한 사회의 신뢰가 회복될 수 있다. 이렇게 제시되는 한국적 저널리즘 이론은 선진국이론의 주요 내용을 그대로 도입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선진국의 저널리즘 가치가 한국 사회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가치들은 왜 필요한지를 한국사회의 현실적 조건과 엮어서 설명하는 일은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경영보다는 저널리즘 중심의 의사결정체제의 회복이 중요하다. 이는 모든 매체에 해당되기는 어려운 주문이다. 그러나 엘리트 기자들을 보유한 지도적 위치에 있는 신문사는 창간의 초심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경영보다 저널리즘을 중요하게 강조하는 일은 최고 경영자(발행인)의 몫이다. 회사를 위해 일하는 기자들이 나서서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다. 뉴욕타임스나 워싱턴 포스트 등 최고의 신문들은 모두 최고 경영자의 저널리즘 철학을 토대로 오늘의 위치에 갈 수 있었다. 한국의 주요 신문사도 훌륭한 지도자들이 있어 이 만큼 이나마 성장할 수 있었다. 오늘날 같은 격변기에 다시 저널리즘과 공익을 앞세우는 지도자가 절실히 필요하다.
셋째, 정부와 그 밖의 권력에 대한 감시자로서의 기능을 회복해야 한다. 정권은 보수나 진보에 관계없이 언론을 길들이고 홍보에 활용하고자 한다. 그러기위해 정부는 사용할 수 있는 가용수단을 모두 동원하려한다. 그러한 회유와 압력을 거부하지 않고는 시민을 대신해 권력을 감시하기 어렵다. 거대기업에 대한 감시와 사회 세력에 대한 감시도 소홀히 하면 안된다. 지난 10 여년 정파주의에 휘둘린 매체들은 취재 대상에 대한 자세에서도 지나칠 정도로 차별이 분명했다. 저널리즘은 독립적 자세가 유지되지 않으면 수용자의 신뢰를 얻기가 어렵다.
넷째, 저널리즘의 수준을 높이는 노력을 체계화 해야 한다. 신문과 방송사들은 스스로 생산하는 기사의 수준을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경쟁사의 기사나 선진국 신문, 방송사의 기사를 벤치마킹하는 방법은 매우 유용한 수단이다. 저널리즘의 수준을 높이는 일에는 취재 시스템에 대한 성찰이나 기자인력의 재교육 체제 등에 대한 노력도 포함돼야한다. 2007년, 50대 대기업의 매출액 대비 교육훈련비가 0.78% 수준인데 비해, 전국 종합일간지의 교육 예산은 0.08% 방송사는 0.23%에 그쳤다. (황치성 외, 2009). 신문사는 대기업의 10%, 방송사는 30% 정도의 교육 훈련비를 사용한다는 의미다.
다섯째, 동시에 고려할 과제는 기자의 경력관리 제도다. 현재 대부분의 언론사는 수습기자 선발을 통한 신입인력 충원을 토대로, 지극히 관료화된 인력운용제도를 유지한다. 그러다보니, 부장이나 국장 등의 보직은 길어야 2년 정도를 담당하는 순환제도가 고착됐다. 이 제도의 장점은 많은 사람이 비교적 공평하게 보직을 경험하는 기회를 갖는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제도는 강력한 지도력을 갖는 언론인을 키워내기 힘든 점이다. 워터게이트 사건을 지휘했던 워싱턴 포스트 지의 벤 브래들리(Ben Bradlee)는 30 여 년을 에디터로 일하며, 이 신문을 최고의 신문으로 키울 수 있었다. UPI통신에서 일했던 헬렌 토머스(Helen Thomas) 기자는 50년이 넘게 백악관을 취재했다. 그녀가 취재한 대통령이 9명에 달한다. 한국의 청와대 출입기자는 2명의 대통령을 취재한 경우가 많지 않다. 이러한 제도로는 권위있는 기자를 많이 양성하기가 어렵다.
여섯 째, 한국적 풀뿌리 독립저널리즘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도록 기성매체의 도움이 필요하고 사회 제도의 정비도 중요하다. 미국의 신문과 방송, 통신사들은 탐사보도나 지역 뉴스를 전문으로 보도하는 풀뿌리 매체의 기사를 실어 그들의 기사가 많은 독자들에게 전달되도록 지원한다. 다양한 자선기금이나 공공기금등은 이들 매체가 시도하는 공공성이 강한 취재 프로젝트에 비용을 지원한다. 한국 사회에서도 부분적으로 탐사 기획에 취재비를 지원하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1회성으로 그치고, 기성 매체에 대한 지원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지원 제도가 보다 확장되고 지속적 지원이 되도록 강화돼야 한다. 공공성이 강한 풀뿌리 매체가 보다 쉽게 활동할 수 있는 비영리법인 제도의 도입도 고려해야 한다.
 
 
참고 문헌
 
권영기. (1999). 격랑 60년: 방일영과 조선일보. 방일영 문화재단 총서 6.
김태훈. (2008). “무기를 닮아가는 우리시대의 언어-소설가 김훈, 문화포럼 강연” 조선일보. 2008.9.11 A25.
김경희. (2009). 한국사회와 인터넷 저널리즘. 서울:한울
남시욱. (2009).“언론의 위기와 직업 언론인의 책무.” 관훈저널 113호:89-111
동아일보사. (2000). 민족과 더불어 80년: 동아일보 1920-2000.
박선희. (2008).소설가 김훈씨 “우리 사회의 언어, 의견과 사실 구분 못해.” 동아일보. 2009.9.11
박재영. (2006). 뉴스 평가 지수 개발을 위한 신문 1면 머리기사 분석, 「한국의 뉴스 미디어 2006」.147-220. 서울: 한국언론재단.
이건호, 정완규. (2007). 한·미 신문의 기사 형식과 내용. 조사분석 2007-03. 한국언론재단.
이재경. (2008).“한국의 저널리즘과 사회갈등:갈등유발형 저널리즘을 극복하려면.”커뮤니케이션 이론:4(2) : 48-72
이재경. (2007).“한국 언론의 사상적 토대.” 커뮤니케이션 과학 24:1-24
이재경. (2006). 한미 신문의 대통령 취재 관행 비교 :조선일보와 뉴욕타임스. 언론과 사회. 14권 4호. 37-69
임상원 외. (2007). 민주화 이후의 한국언론. 서울:나남.
최서영. (2009). “언론인의 위상은 변치 말아야 한다.” 관훈저널. 2009년 겨울(통권 113호) : 3-6
황치성, 송상근, 정완규. (2009). “언론인의 직업환경과 역할 정체성”한국언론재단. 연구서.
한국언론재단. (1999). IMF사태이후 한국의 미디어 산업.
 
Beam, R. A., Weaver, D. H., Brown Lee, B. J.(2009). "Changes in Professionalism of U.S. Journalists in the Turbulent Twenty-first Century."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s Quarterly. 86(2):277-298.
Carr, David. (2009)."The Media Equation: News Erupts, and So Does a Web Debut." The New York Times. November 9, 2009.
Carroll, John.(2004)."The Wolf in Reporter's Clothing: The Role of Pseudo-Journalism in America." Ruhl Lecture text(University of Oregon 5/6/2004)
Downie, Jr, Leonard & Schudson, Michael. (2009). "The Reconstruction of American Journalism." 콜롬비아 대학 저널리즘 스쿨 홈페이지 게재 보고서(10/20/2009).
Harbermas, Juergen. (1973). Legitimation Crisis. Boston: Beacon Press.
Kelly, Mary. (1989). "Influences on Broadcasting Policies for Election Coverage." In J. Blumler, Ed. Communicating To Voters: Television in the First European Parliamentary Elections, pp. 65-82. London: Sage.
Kovach, Bill & Rosensteil Tom. (2007). The Elements of Journalism : What Newspeople Should Know and the Public Should Expect. New York:T hree Rivers Press.
Kuhn, Thomas. S.(1962).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Chicago: Univ. of Chicago Press.
Lee, Jae-Kyoung. (2002).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the Tribulations of the South Korea Media." Gazette 64(3): 281-297.
Perez-Pena, Richard. (2009). "A.P. in Deal to Deliver Nonprofit's Journalism" The New York Times. June 13, 2009.
Perez-Pena, Richard. (2010). "A Newsroom's Salute to It's Departed." The New York Times, Feb 15, 2010.
Project for Exellence in Journalism. (2010)."How News Happens: A Study of the News Ecosystem of One American City." www.journalism.org 홈페이지에 발표. (1/11/2010).
Stelter, Brian(2010). "CBS News Lays Off Dozens in New Round of Staff Cuts." The New York Times. Feb.4.2010.
Wollan, Malia. (2010). "California: Newspaper shifts from Print to web." The New York Times, Feb.12, 2010.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