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KB·롯데카드 등 신용카드 3개 회사에서 1억400만건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사건에서 고객 정보가 외부로 2차 유출됐을 가능성을 일축했던 검찰과 장관들의 공언(公言)은 결국 헛소리가 되고 말았다. 검찰은 중간 수사 발표 두 달 만인 14일 1억400만건 개인 정보 가운데 8300만건이 외부로 다시 판매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유출된 정보가 전화 문자 사기나 카드 위조 같은 범죄에 악용(惡用)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검찰은 당초 정보를 빼내간 주범이 갖고 있던 원본 파일과 1차 복사 파일을 압수해 2차 유출 가능성은 없다고 단언했다. 피해자들이 의문을 제기하자 대검찰청은 1월 21일 "추가로 유출된 것은 없다"고 진화에 나섰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이틀 뒤 국회에서 "2차 피해는 없을 것"이라고 장담했고, 최수현 금융감독원장도 같은 날 "분명히 말씀드리는데, 카드 소비자는 100% 안심하고 사용해도 된다"면서 "신규 카드를 발급받지 않아도 된다"고까지 큰소리쳤다.
이번에 유출된 개인 정보는 고객 이름과 휴대전화 번호, 직장 이름과 주소, 주민등록번호, 자택 주소, 결제 계좌, 카드 유효 기간 등 21개나 된다. 이 정보들을 조합하면 위조 신분증을 만들 수 있어 은행 계좌번호를 바꿀 수도 있고 카드 비밀번호도 변경할 수 있다. 엉뚱한 사람이 신용카드를 재발급 받고 대포 통장을 개설해 고객들이 3차, 4차 피해를 볼 수도 있다는 말이다.
무엇보다도 큰 문제는 유출된 정보가 악용되고 있더라도 피해 고객은 어디서 누가 어떻게 악용하는지 파악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이번에 유출된 정보가 다른 곳에서 유출된 신상 정보와 뒤섞여 범죄에 이용됐을 경우엔 카드사에 책임을 묻기도 쉽지 않다. 사태를 덮는 데만 급급했던 검찰과 금융당국의 수장(首長)들에겐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 정부는 고객들이 안심하고 은행 거래를 할 수 있는 대책도 함께 내놓아야 한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