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전 경기도 교육감이 통합야당의 경기지사 후보 출마를 선언하면서 내놓은 ‘무상 대중교통’ 공약은 또 다른 프레임 선거공학이 아닌가 의심스럽다. 공짜 버스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이행계획이나 재원 조달, 주민에 대한 부담 문제는 전혀 언급하지 않은 채 한순간에 여론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기 때문이다. 김 전 교육감도 스스로 준비가 안 됐음을 인정했다. 그는 “원혜영 의원의 버스공영제와 대동소이하다. 구체적인 내용은 따로 말하겠다”고 했다. 역시 경기지사 출마 후보자인 원 의원은 미리 정책교수팀을 꾸려 국회 공청회를 여는 등 약 2개월의 준비과정을 통해 구체적인 실천계획과 함께 ‘버스공영제’ 공약을 내놨으나 ‘무상교통’이란 선동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
어느 후보 진영이든 유권자의 표심을 파고들기 위해 선거공학적 측면을 외면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무상교통 같은 조(兆) 단위의 재정이 투입되고, 대중교통체계를 근원적으로 바꾸는 중대한 정책 공약을 이렇게 준비 없이 불쑥 내던진 건 유감이 아닐 수 없다. 무상이란 언어적 포퓰리즘을 정치적으로 활용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비판을 받아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정치 초년생인 김 전 교육감이 무상급식 이슈로 성공했던 과거의 경험만 믿고 무상교통이란 또 다른 프레임 놀이를 한다면 역풍을 맞을 것이다. 선거공학이란 오해를 피하고 싶다면 무상 대중교통의 개념, 우선순위, 재원, 절차, 방법, 부작용을 가능한 한 수치의 형태로 적시한 매니페스토형 선거 공약을 새로 내놔야 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