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승인은 최근 아시아 지역에서 붐을 이루는 복합리조트 사업에 한국도 외국 자본을 유치하면서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는 의미가 크다. 일본도 2020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도쿄·오사카·오키나와 등지에 각각 5조~10조원이 투입되는 4개소의 복합리조트를 건설해 관련 서비스산업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러시아 극동지역 블라디보스토크에도 2곳의 복합리조트가 조만간 개장할 예정이다. 이번 승인은 이들과의 본격 경쟁을 예고하는 신호탄이다.
이에 따라 복합리조트 승인을 국내 서비스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마련의 전기로 삼겠다는 정부의 결심과 구체적인 전략이 절실하다. 그런 의미에서 내국인 출입이 가능한 오픈 카지노를 포함한 복합리조트 두 곳을 허가하면서 한 곳은 외국 자본에, 다른 곳은 자국 업체에 각각 맡겨 국부유출 논란을 최소화하고 이를 21세기형 서비스산업으로 키우고 있는 싱가포르 사례를 적극 참조할 필요가 있다. 싱가포르는 이런 결단으로 수백억 달러의 해외투자를 유치하고 직·간접적으로 6만 개에 가까운 일자리를 만들었다.
문제는 일자리 확보 등 경제효과 이면에 카지노 특유의 부작용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숨어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를 관리할 관련 법의 제정과 감독위원회·실행기구 설치 등 정비작업을 펴면서 오픈 카지노 등과 관련한 사회적 논의를 이제라도 시작해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