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히 정부는 시장과 대학의 인력수급 실태를 파악해 미스매치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제조업은 우리가 포기할 수 없는 성장동력이라는 측면에서 양질의 이공계 인재를 더 많이 양성시킬 필요도 분명 있다.
하지만 기업이 뽑는 신입사원의 전공이나 출신에만 치우쳐 인문계 출신은 취업이 안 되고, 이공계 출신이 경쟁력이 있다고 일반화하는 오류는 경계해야 한다. 그런 기계적인 연장선에서 정부가 인위적으로 대학의 이공계 정원만 더 늘리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 취업 경쟁력이 떨어진다며 인문계열 정원을 축소하는 정책을 도입한다면 이 역시 근시안적 처방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 기업이 선호하는 인재상은 이공계를 졸업한 사람이라기보다 인문학적 소양과 기초과학과 기술에 대한 이해를 갖춘 융합형 인재에 가깝다. 얼마 전 한 기업이 인문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뽑은 것도 이런 흐름을 반영한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오히려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는 수십 년 이상 학교 현장에서 지속되고 있는 문·이과 칸막이식 교육을 없애는 것이다. 과학과 기술은 현대를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기초언어인데도 우리의 학교는 문과와 이과를 갈라 외눈박이 교육을 해왔다.
교육부가 올해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있는 것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중·고교도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을 배울 수 있는 과목을 열어주는 열린 사고도 필요하다. 오로지 대학 진학만을 목표로 하는 진로교육 또한 좀 더 융통성 있게 개선되어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