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세계화와 2차 세계화 비교
|
1차 세계화
|
2차 세계화
| ||
기 간
|
1870~1914년
|
1980~현재
| |
중심 국가와 통화
|
영국(Pax-Britanica) 파운드화
|
미국(Pax-Ameicana) 달러화
| |
참여 범위
|
서구 선진국(제국주의)을 중심으로 극히제한적 참여 범위
|
신흥 개도국들의 참여로 범위의 확대
| |
배경
|
산업혁명
|
제1ㆍ2차 세계대전, 탈냉전
| |
중심 기술
|
운송 비용 하락
(철도, 증기선, 자동차)
|
통신 비용 하락
(마이크로칩, 위성, 광케이블, 인터넷)
| |
국제 금융 체제
|
고전적 금본위 제도
|
금융 자유화 시스템
국가 자본 통제 체제의 소멸
변동 환율 제도
| |
자본 이동
|
자본
성격
|
장기적
예: 국가 간의 장기 차입
|
단기적
예: 국제 포트폴리오 투자
|
자본
규모
|
1일 외환 거래량
몇 백만 달러 수준(1900년)
|
1일 외환 거래량 8200억 달러(1992년)에서
1조 5000억 달러(1998년)로 상승
| |
투자
대상
|
극히 한정된 분야로의 집중
예: 철도 건설, 광산업
|
제한 없이 확대
예: 각종 주식과 채권, 제조업과 서비스
| |
직접
투자
|
직접
투자
형태
|
선진국에서 후진국으로 이루어지는 형태
|
선진국 간의 투자도 성행
|
직접
투자
분야
|
1차 산업이 큰 비중 차지
|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고,산업 내 투자가 성행
| |
국제
무역
|
중심
사조
|
제국주의
|
WTO 주도의 다자주의
|
상품
이동
|
선진국은 후진국에 공산품을 수출하고
후진국으로부터 1차 산품을 수입
|
공산품의 교역 비중 증가
산업 내 무역 / 서비스 분야의 교역
| |
다국적 기업
|
주요 1차 산품의 수출국과 원료공급지에서 활동
|
다국적 기업의 활성화
지역적ㆍ지구적 생산 및유통 네트워크로 성장
| |
인구 이동
|
비숙련 단순 노동자의 이주
역내 이주가 주를 이룸
|
고숙련 이주자의 증가
이주 범위가 세계로 확대
| |
결과
|
후퇴
|
현재 진행 중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