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과 안철수 의원의 새정치연합이 통합한 새정치민주연합이 어제 창당대회를 갖고 출범했다. 진보정당을 제외한 야권을 전부 아우르는 원내의석 130석의 새로운 제1야당이 탄생한 것이다. 이날 채택된 강령과 정책에 반영된 새정치민주연합의 노선은 기존 민주당의 것에서 일정한 변화를 도모하고 있다. 정의·통합·번영·평화를 ‘새정치’의 시대적 가치로 설정하면서, 특히 경제 부문에서 ‘혁신적 성장경제’와 ‘고용친화적 성장’을 강조했다. 민주화의 계승을 천명하는 동시에 산업화의 성과를 인정하고, 창당대회 행사를 ‘국가’와 ‘안보’ 콘셉트로 잡는 등 기존 민주당의 노선에 중도보수의 가치를 더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복지 분야에서 “사회적 합의와 재정안정성을 바탕으로 책임 있고 지속가능한 복지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으로 비친다. 이른바 ‘합리적 보수’와 ‘성찰적 진보’를 주창해온 안 의원의 입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념적 유연성을 넓혀 보다 다수의 국민을 대변하는 수권정당으로의 탈바꿈을 꾀하는 것으로 주시할 만하다.
중요한 점은 수권정당으로서의 동력은 단순히 정강·정책의 변화로만 담보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이 그것을 실행해낼 것이라는 구체적 노력, 혁신의 모습을 보여줄 때 가능하다. 민주당이 2000년 이후 12번째로 간판을 내리는 지경에 봉착한 것은, 제1야당으로서 대안 능력은커녕 박근혜 정부의 폭주에 견제력조차 발휘하지 못한 때문이다. 국정원의 선거개입과 간첩 증거조작, 경제민주화와 복지 공약의 폐기 국면에서 야당의 존재감을 보이지 못했다. 허약한 야당은 건강한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책임정치를 왜곡시킨다.
새정치민주연합이 강력하면서도 대안 능력을 갖춘 야당으로 탈바꿈하려면 기성의 낡은 정치의 습속을 얼마나 혁신하느냐에 달려 있다. 통합한 자체에 안주하고, 다시 계파와 지분 다툼에 빠진다면 헛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이 선거를 앞두고 유불리에 따라 이합집산을 거듭해온 ‘실패한 통합’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낡은 정치와의 결별을 신속하고도 철저히 이뤄내고 정치개혁과 민생제일주의의 대의를 행동으로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어제 창당대회에서 안철수 대표는 “낡은 정치의 종말이자 미래로 가는 새로운 체제의 출발”이라면서 “여의도정치에서 벗어나 민생제일주의로 나아갈 것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그 다짐을 자기혁신과 실질적 정책을 통해 구현하지 못한다면, 당장 6·4 지방선거에서 국민의 냉정한 심판을 면치 못하게 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