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월 12일 월요일

중앙_[사설] 대진표 완성된 6·4 지방선거가 할 일

세월호의 슬픔과 애도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6·4 지방선거가 3주 앞으로 다가왔다. 한때 정치권 일각에선 지방선거 연기론이 나올 정도로 세월호의 충격은 국민 전체를 삼켜버릴 정도였다. 그러나 어떤 재앙이 닥치더라도 국가 기능과 국민 생활은 의연히 작동해야 한다. 어제 새누리당 서울시장 후보 경선에서 정몽준 의원이 선출됨으로써 새정치연합 박원순 시장과의 일대일 대결 구도가 확립되었다. 오늘 새정치연합의 전북도지사 후보 경선이 완료되면 전국 17개 시·도 광역단체장 후보의 대진표가 확정된다. 지방선거가 바야흐로 신발끈을 매고 전력질주할 때가 온 것이다.

 이번 지방선거의 핵심 쟁점은 ‘국민 안전 공동체’를 만드는 일이 될 것이다. 중앙선관위에 공개된 각 당의 10대 공약에 새누리당은 ‘후진국형 재난안전 관리시스템의 전면 개편’, 새정치연합은 ‘국민의 생명권, 행복권을 보장해 안전한 대한민국 만들기’를 맨 앞줄에 올려 놓았다. 유권자는 세월호 사건을 수습하면서 정부와 새누리당이 보여준 위기관리 능력을 기억하고 여기에 대응하는 새정치연합의 진정성과 현실성을 냉정하게 비교해 한 표를 준비할 것이다.

 선거는 선택이며 선택은 충분한 정보와 지식이 전제돼야 한다. 그런 면에서 이번 지방선거는 유례를 찾을 수 없는 ‘깜깜이 선거’로 진행돼 왔다. 한 번의 선택으로 4년간 유권자의 삶의 질이 결정되는 중대사인 만큼 후보자들은 조용한 선거 기조는 유지하되 자신과 정책 알리기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조용한 선거란 네거티브나 흑색선전, 금품살포같이 ‘나만 살고보겠다’는 야비한 방식이 시대정신의 변화 속에 철퇴를 맞을 것이란 얘기다. 후보 알리기란, 예를 들어 기초단체와 광역단체가 재난안전 행동훈련을 격월로 번갈아 실시하겠다는 약속같이 실천적이고 구체적이며 창조적인 공약을 개발해 유권자에게 제시하라는 것이다.

 세월호 사건의 국민적 슬픔과 분노를 악용해 정권을 무력화시키는 선동과 괴담의 소재로 삼으려는 세력도 있다. 이제 본격화할 지방선거전이 선동적인 거리 정치의 기운을 순화하고 민주정치의 페어플레이로 승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바란다. 정치가 세월호 비극에 한몫한 만큼, 그 비극을 풀어줄 책임도 정치에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