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월 12일 월요일

중앙_[사설] 해경은 왜 47분간 맴돌고만 있었나

세월호 침몰 참사 당시 해경의 초기 대응을 둘러싼 의혹과 논란이 계속해서 불거지고 있다. 해경이 초기 대응만 잘했다면 훨씬 많은 승객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는 건 단순한 아쉬움에 그치지 않는다. 철저한 진상규명을 통해 법적 책임을 물어야 할 문제다.

 세월호가 침몰한 지난달 16일 해경 헬기와 경비정이 사고 해역에 도착한 시각은 오전 9시30분 안팎이었다. 해경은 그러나 이준석 선장과 선박직 선원들을 구조한 뒤 물에 뛰어든 승객만 구하며 선체 내부로 진입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3·4·5층 선실에 있던 승객들은 해경 도착 사실까지 알면서 구조를 기다리고 있어야 했다. 당시 세월호 상황에 대해 검경 합동수사본부는 대검 디지털포렌식센터(DFC)를 통해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오전 9시30분 45도 정도이던 배의 경사도는 선장이 해경 구조선에 오르던 9시47분 60도를 넘었고, 배 안의 단원고 학생이 마지막 문자메시지를 보내던 10시17분엔 100도 이상 기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최소한 선장이 해경 구조선에 오르던 때까지만 해도 해경의 구조 작업은 가능했다. 선체 내부 진입이 어려웠다면 세월호에 올라 조타실 등에서 승객들에게 탈출 안내방송을 할 수 있었다. 구조된 선원들에게 방송을 하라고 지시할 수도 있었다. 선체 안을 향해 “배에서 나오라”고 외칠 수도 있었다. 하지만 해경은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세월호 주위를 맴돌기만 했다. 해경은 또 진도 VTS(해상교통관제센터)와 세월호 간 교신 내용을 편집 또는 삭제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 선장을 사고 직후 해경 직원 아파트에서 재우고,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던 기관장 등 선원 10명을 모텔에 함께 투숙시키는 등 납득하기 힘든 조치를 한 것도 해경이었다.

 해경의 부실한 구조가 과실치사에 해당하는지는 차후의 일이다. 지금 필요한 건 47분간 해경이 왜 적극적으로 구조에 나서지 않았는지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래야 아이들이 모두가 지켜보는 가운데 목숨을 잃는 참극이 되풀이되지 않을 수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