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6월 8일 일요일

중앙_[사설] 정치적으로 파산 선고받은 통진당

6·4 지방선거는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 어느 편 손도 들어주지 않았지만 통합진보당에 대해서만큼은 엄중한 심판을 내렸다. 통진당은 민주노동당 시절 지방선거를 기반으로 세력을 키우다 2012년 이른바 야권연대를 통해 중앙정치에서 약진했다. 따라서 이번 지방선거에서 통진당의 쇠퇴는 당의 뿌리가 흔들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통진당은 헌법재판소에서 진행되고 있는 정당해산심판 소송에 시위라도 하듯 이번에 역대 지방선거 사상 가장 많은 511명의 후보를 냈다. 이 가운데 단 한 명의 기초자치단체장조차 배출하지 못했다. 143명이 지역구 광역의원에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하고 비례대표로만 3명이 당선했다. 기초단체 의원 당선자는 34명에 불과하다.

 4년 전 지방선거에서 통진당의 전신인 민주노동당이 기초단체장 3명을 배출하고 광역의원 24명, 기초의원 115명을 당선시켰던 데 비하면 여간 초라한 성적표가 아니다. 통진당과 살림을 따로 차린 정의당의 기초의원 의석 10석을 감안한다 해도 통진당이 유권자로부터 철저하게 외면받은 사실이 바뀌진 않는다. 통진당은 주도세력인 이석기 의원의 내란음모사건이 형사적 심판을 받고 있고, 헌재에 의해 헌법적 심판을 받고 있는 데다, 여기에 이번 선거로 정치적 심판까지 받았으니 스스로 파산 상태에 빠졌음을 직시해야 한다.

 통진당이 유권자의 엄중한 심판을 받은 건 진보의 겉옷을 입고 전체주의적인 가족정권인 북한체제를 추종한다는 의심을 받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자유민주주의 체제가 베푸는 온갖 자유와 권리는 다 누리면서 체제의 정통성은 부인하는 이중적 태도를 알 만한 국민은 다 알게 됐다. 새정치연합이 통진당과 야권후보단일화 정책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2012년 총선 때 비례대표 선출 과정에서 벌어진 폭력성과 비민주성도 유권자의 판단 자료가 됐을 것이다. 통진당은 이번 선거를 위해 정부로부터 32억원의 국고보조금을 받고 투표지에 버젓이 이름을 올린 후보자들이 줄줄이 사퇴하는 일을 벌였다. 국민의 세금이 엉뚱하게 쓰인 게 아깝고 자기 안에 갇혀 있는 통진당 지도부의 비상식이 안타까울 뿐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