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정책의 주무장관인 국토부 장관이 주택시장 상황을 설명하면서 관련 세제에 대한 입장을 밝힐 수는 있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정부 내에서 협의가 끝난 후 정부정책으로 확정된 경우에 한해서다. 주무부처인 기획재정부는 다주택자에 대한 임대소득 과세 완화 방안에 대해 아직 협의한 바도 없고, 과세 규정의 수정을 검토하지도 않았다고 한다. 서 장관은 정부안으로 확정되지 않은 다른 부처의 소관사항을 업계에 발설한 것이다. 개인적인 의견을 개진했을 수도 있겠지만 국토부 장관의 공개적인 입장 표명이 사견으로 치부될 수는 없다. 또 그것이 국토부의 입장이라 하더라도 주무부처와의 협의 없이 장관의 입을 통해 외부에 공개될 사안은 아니다.
우리는 서 장관이 언급한 주택임대소득세제 개편 방향이 맞고 또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확정되지 않은 타 부처 정책을 섣불리 공개하는 것은 분명히 잘못됐다. 앞으로 부처 간 협의나 국회의 논의 과정에서 최종 결론이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공연히 시장의 기대만 키웠다가 실망감에 따른 후폭풍이 더욱 거세질 수도 있다. 부처 간 갈등이 불거져 시장에 혼란을 일으키고 정부정책에 대한 불신을 살 수도 있다. 부동산 관련 세제는 국민적 관심이 크고 그만큼 민감한 사안이다. 이미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과세 방침은 충분히 혼선을 불러왔다. 국토부 장관은 가벼운 입으로 새로운 논란의 불씨를 만들지 말기 바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