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4일 치러진 시·도 교육감 선거 결과에 따라 극과 극으로 운명이 엇갈릴 대표적인 교육정책 가운데 하나가 혁신학교였다. 진보 성향의 후보들은 지난달 19일 13명 명의의 공동 공약을 통해 혁신학교 확대를 약속한 반면 보수 성향의 후보들은 지난달 25일 발표한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지역 공동 공약에서도 언명했듯이 혁신학교 폐지 방침을 분명히 했기 때문이다. 선거 결과 13 대 4로 진보 성향의 후보가 압승을 거둠으로써 존폐의 기로에 처해 있던 혁신학교가 오히려 더욱 확대·발전할 수 있는 날개를 달게 됐다.
혁신학교를 통한 교육 혁신의 기회가 단절되지 않고 전국적·보편적 교육 정책으로 확산될 수 있게 된 것은 매우 다행한 일이다. 혁신학교는 공교육을 정상화하자는 취지로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이 처음 시작해 서울·광주·강원·전북·전남 등의 진보교육감 주도로 시행해온 제도다. 입시·경쟁 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소통과 협력, 창의와 인성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학교 및 교육과정 운영에 자율권을 부여하고 예산을 지원하는 것이 기본 틀이다. 지금까지 혁신학교에 대해서는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공교육의 변화를 선도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지배적이다. 학생·교사·학부모의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혁신학교의 인기는 주변의 집값과 전셋값에도 영향을 줘 ‘혁신학교 효과’라는 말까지 등장했을 정도다.
안타까운 것은 그동안 보수 진영이 지나치게 혁신학교의 성과를 깎아내리고 지우는 데 연연한 점이다. 특히 2012년 12월 보궐선거를 통해 당선된 보수 성향의 문용린 교육감은 반(反)혁신학교 정책을 강하게 밀어붙여 많은 논란과 갈등을 빚었다. 혁신학교가 매년 1억~1억5000만원을 지원받아 다른 학교와 형평성에서 문제가 있으며 학업 성취도 면에서도 뚜렷한 성과가 없다는 게 표면적 이유였지만 ‘곽노현표 교육정책 지우기’라는 비판을 더 많이 받았다.
공교육 정상화와 창의·인성 배양은 우리 교육이 가야 할 올바른 방향임은 누구나 인정할 것이다. 혁신학교는 교육 현장의 구체적 실험을 통해 그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대표적인 정책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13개 시·도 진보교육감 당선자는 물론 대전·경북 등 보수교육감 당선자도 혁신학교 신설을 검토하고 있다고 하니 바람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혁신학교를 교육 혁신과 행복 교육의 좋은 모델로 발전시키기 위해 서로의 힘을 모았으면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