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신전환을 통한 여론조작은 2010년 지방선거 때 본격화돼 2012년 민주당과 통진당의 야권단일후보 경쟁 때 기승을 부렸다. 당원 민주주의가 깨지고 국민을 더 중시한다는 포퓰리즘적 정당문화가 이런 환경을 조성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은 이른바 ‘상향식 국민경선’이란 이름으로 ‘여론조사 100% 공천 방식’을 확산시킬 것으로 예상되는데 조작된 여론조사에 휘둘리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민주당은 기초선거에서 정당공천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끝까지 지킨다면 여론조작 시비에선 비켜가게 될 것이다.
최근 양산시장 예비후보인 조문관·김종대·홍순경씨가 “모 언론사의 여론조사 결과 특정 후보의 지지율이 50% 이상 나와 선거 승패가 이미 결정됐다는 유언비어가 유포되고 있다”는 주장을 해 선관위가 조사에 나섰다. 요건을 갖춘, 제대로 된 조사도 아니면서 나도는 여론조사 결과는 흑색선전과 다를 바 없다. 후보들 간에 불신이 커지고 유권자 간에 냉소와 정치허무주의가 퍼져 선거가 끝난 뒤 주민자치가 파괴되는 부작용이 불 보듯 뻔하다. 중앙선관위와 검찰·경찰은 여론조작 자체가 범죄행위이니만큼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불법 의심 사례를 적발해 선제적이고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