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의 삶을 한번 돌아보라. 빈곤율(49.3%)이 경제협력개발기구의 세 배가 넘는다. 기초연금 대상자 중 152만 명은 소득인정액(소득+재산의 소득환산액)이 0원이다. 이들의 70~80%는 최저선 이하의 생활을 하는데도 자식 때문에 기초수급자가 못 된 ‘낀 계층’이다. 폐지를 주워 생계를 유지하거나 아파도 병원에 못 간다. 20만원은 작은 돈이 아니다. 월세로 내거나 상당액을 충당할 수 있다.
해법은 다 나와 있다. 결단만 남았다. 그런데 ‘나는 옳고 너는 틀렸다’는 식의 자존심 대결을 벌이고 있다. 완벽한 답이 어디 있겠는가. 새정치민주연합은 ‘70% 모두 지급’에서 ‘일부 차등지급’으로 입장을 바꾸자. 이렇게 하면 미래 재정을 생각하는 정당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민생을 강조한 신당의 이미지와도 잘 어울린다. 안철수 대표는 기초연금을 다루는 보건복지상임위원회 소속이어서 더 무거운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
새누리당과 정부는 40~50년 후에 돈을 감당할 수 없어 국민연금에 연계해 기초연금을 차등화하자고 주장한다. 그러면서도 지급 대상을 노인의 70%에서 75%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돈을 아끼자면서 한편으로는 더 드는 카드를 만지작거린다. 앞뒤가 안 맞는다. ‘국민연금 연계’가 이 정부의 철학이라고 하는데, 그리 포장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 고민이 필요하다. 소득인정액 연계로 바꾸거나, 소득인정액에 연계하다 연금이 성숙하면 국민연금 연계로 바꾸면 된다. 새누리당이 풀 수 없다면 청와대라도 나서야 한다.
제발 한 발씩 양보하고 7월 시행부터 하자. 부족한 게 있으면 보완하면 된다. 국민들은 여·야·정 협의체 9인의 이름을 두고두고 기억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