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월 29일 목요일

조선_[사설] 이런 공영방송 KBS '국민 세금'으로 유지해야 하나

KBS 노조는 29일 KBS 이사회가 길환영 사장에 대한 해임 제청안 표결을 6월 5일로 연기하자 파업에 들어갔다. 임금 관련 파업을 제외한 KBS 파업은 2012년 3월 김인규 사장 퇴진을 요구하며 93일 동안 파업을 벌인 이래 2년여 만이다. 파업에 나선 조합원은 KBS 직원 4700여명 가운데 3700여명에 이르러 이미 파행을 거듭해 온 뉴스는 물론 프로그램 전반에서 차질을 빚게 됐다. 6·4 지방선거 전까지 해결 실마리가 풀리지 않으면 국가 기간 방송이 선거 개표 방송조차 제대로 진행하지 못할 전망이다.

파업에 이르기까지 지난 20일 동안 KBS에서 벌어진 일은 우리 공영방송의 참담한 자화상이다. 사태의 발단은 보도국장이 세월호 참사를 폄하했다는 논란이었다. 보도국장은 논란이 커지자 물러나면서 "사장이 권력 눈치를 보며 보도의 독립성을 침해했다"고 주장했다. 길 사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지만 기자들은 제작을 거부하고 노조는 사장 퇴진 운동을 벌였다.

1990년대 이후 KBS 사장 가운데 출근 저지, 사장 퇴진 운동, 제작 거부, 파업 중 하나를 겪지 않은 사람은 없다. 지난 정권에서 임명된 사장은 새 정부 들어서면서 퇴진 압력을 받곤 했다. 사장이 바뀔 때마다 임원진과 요직이 바뀌고, 거기서 소외된 쪽은 반대 세력을 형성해 경영진을 흔들 구실을 찾는다. 조직 자체가 여차하면 폭발하는 화약고라는 얘기가 이번에도 확인됐다.

국민은 KBS 경영진과 노조가 걸핏하면 진흙탕 싸움을 벌이는 모습을 신물 나게 봐 왔다. 노조는 물론 경영진도 책임을 피할 수 없다. 국민은 한 해 6000억원 수신료를 내는 KBS의 주인이다. 수신료는 전기요금 고지서에 포함해 강제로 거두고 있어 시청자에게는 세금이나 다름없다. KBS의 파행은 '피 같은 국민 돈으로 공영방송을 존속시킬 필요가 있느냐'는 의구심만 키울 뿐이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