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월 26일 월요일

중앙_[사설] 인성교육진흥법, 사람 사는 세상의 초석 돼야

세월호 참사 이후 우리는 가치의 붕괴 현상을 겪고 있다. 승객을 외면한 선장과 항해사는 책임이라는 가치를 무너뜨렸고, 돈에 눈이 멀어 평형수를 빼낸 선주는 정직이란 가치를 배반했으며, 사고 수습 과정에서 보인 공직자들의 무능과 무사안일, 사익 추구는 신뢰라는 가치를 침몰케 했다. 이런 위급한 상황에서 논의되고 있는 국가 개조는 기구를 없애거나 만드는 구조 개혁에 그쳐서는 안 되며, 세월호 이후 붕괴된 책임·정직·신뢰·배려 등 핵심 가치의 회복이 더 중요하다.

 결국 우리는 교육에서 출발할 수밖에 없다. 기성세대는 이번 참사를 계기로 철저히 자기반성을 해야 하며, 여기에 터잡아 사회를 지탱해 줄 핵심 가치들을 자라나는 미래 세대에 불어넣어 줘야 한다. 초·중·고교에서 타인을 이기고 올라서는 경쟁보다 타인과 협력하고 소통하는 공동체 교육이 절실하다.

 이런 의미에서 여야 의원 100여 명이 어제 공동 발의한 인성교육진흥법은 그간의 반성을 반영한 입법으로서 시의적절하며 바람직하다. 인성이란 사람됨이며, 사람으로서 갖춰야 할 기본 가치를 담은 마음과 행동 양식을 말한다. 이 법은 우리가 어느 순간 잃어버린 기본으로 돌아가자는 취지다. 정파적 이익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극한 분열을 보였던 여야 의원들이 이런 취지에 동참한 건 박수받을 일이다. 교육을 통해 우리 사회를 지탱해 줄 가치와 공동체 의식을 함양해 이를 자라나는 미래 세대의 가슴에 새겨주는 일에 있어 여야나 진보·보수가 따로 있을 순 없다.

 물론 법이 만들어졌다고 모든 게 해결되진 않는다. 인성교육은 말로 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그동안 학교 수업 현장에서 입시교육에 밀려 철저히 외면받았던 게 인성교육이 아닌가. 정부는 이 법이 국회를 통과되면 인성교육에 예산을 뒷받침해 굳은 실천의지를 보여줘야 한다. 성적만으로 교사를 뽑았던 교원 채용 방식도 개혁해 예비교사의 인성을 중시하는 관행도 정착시켜 주길 기대한다. 시·도 교육청이나 학교도 매년 구체적인 교육계획을 세워 학생들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가르칠지 고민해 주기 바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