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사회에 일대 변화가 있다고 해서 공무원들이 일손을 놓아선 안 된다. 조직 개편과 공직자 본연의 임무는 별개다. 변혁의 과도기에 자리 보전에만 연연하는 것은 납세자인 국민을 두 번 우롱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해경·안행부·해수부는 세월호 실종자 구조와 사후 대책에 한 치의 공백도 없도록 해야 한다. 실종자 가족들이 대통령 담화 발표 후 “해경이 크게 동요해 수색에 상당한 차질이 생길 것”이라고 한 우려를 불식시켜야 마땅하다. 그게 정부의 원점이다. 정부조직 개편안의 국회 심의가 이뤄질 초여름은 자연재해의 취약기이기도 하다. 청와대와 정부 감찰조직의 공직 기강 감시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공직사회의 자기 보존을 위한 조직적 저항도 경계 대상이다. 공무원들은 세월호 참사 이후 공직사회를 보는 국민의 눈이 달라졌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지금은 자기 살을 깎는 개혁을 해도 국민의 신뢰를 받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개혁 대상인 안행부가 관련 법 개정안 작업에 참가하지 못하도록 할 필요도 있다. 안행부야말로 관료 적폐의 본산이 아니었던가. 정부는 조직 개편과 더불어 관료의 전문성을 살리고 우수 인재를 계속 확보해 나가는 방안도 아울러 강구하길 바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