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수사하는 것은 구원파의 기독교 교리 위반이나 과거 오대양 사건과의 관련성을 추궁하는 게 아니다. 청해진해운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면서 업무상 배임·횡령 및 조세포탈 혐의로 사전구속영장이 발부된 유병언 전 회장과 아들 대균씨를 수사하겠다는 것이다. 이들 부자가 300명이 넘는 사망·실종자를 낸 세월호 사건과 관련해 책임이 있는지를 수사를 통해 가리겠다는 것이다.
구원파는 이날 언론에 금수원 내부 시설을 공개한 뒤 기자들에게 유 전 회장이 구원파의 교주도 아니고, 관련성도 없다고 밝혔다. 그 논리대로라면 구원파와 관련없는 유병언 전 회장에 대한 수사가 어떻게 종교탄압이 될 수 있나. 신도들은 교주도 아닌 사람을 지키기 위해 인간방패를 만들고, 김기춘 대통령비서실장을 위협한 셈이다. 게다가 구원파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에게 유 전 회장이 이 시설 안에 있다고 말했다가 이를 부인하기도 했다. 그렇다면 굳게 닫은 정문을 열어 유 전 회장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해주면 된다.
법 앞에 만인은 평등하다. 종교인도 예외일 수는 없다. 구원파는 유 전 회장이 당당하게 검찰 소환에 응해 자신에게 씌워진 누명을 적극적으로 벗도록 설득하고, 그가 수사에 협조하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신도들의 주장대로 구원파에 대한 세간의 오해도 풀릴 수 있다. 만일 지금처럼 종교탄압 운운한다면 구원파와 유 전 회장의 관련성만 부각될 뿐이다. 유 전 회장은 1980년대 기독교복음침례회 삼각지 서울교회에서 목회활동을 했을 당시 “세상 권세에 순복해야 한다”는 성경 말씀을 인용해 신도들을 가르쳤다고 한다. 자신의 사업에 유리할 땐 권세에 순복하라고 가르치고, 불리하면 종교탄압을 들먹이는 이중성을 보이고 있다. 이런 이중성까지 구원파 신도들이 따르지 않길 바란다.
국민들은 금수원에서 벌어지고 있는, 종교를 빙자한 법 무시 행위에 대해 차가운 눈길을 던지고 있다. 대한민국의 공권력이 금수원 앞에서 조롱당하고 있는 현실을 지켜보는 심정은 불편하기 짝이 없다. 검찰은 종교탄압이란 비난에 좌고우면하지 말고 금수원에 공권력을 즉각 투입해야 할 것이다. 반드시 유 전 회장을 법정에 세워 법의 엄정함을 보여줘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