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22일 남재준 국가정보원장과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사표를 수리했다. 외교·안보 분야의 핵심 두 축이 동시에 물러나면서 전면 개편이 불가피해졌다.
남 원장과 김 실장은 육사(陸士)를 졸업한 4성 장군 출신으로 대선 후보 시절부터 박 대통령을 도왔다. 이들에 대한 박 대통령의 신임 역시 두터웠다. 그러나 남 원장은 국정원 댓글 및 간첩 사건 증거 조작 의혹이 연거푸 터지면서 줄곧 정치적 논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 4월 검찰 수사를 통해 국정원의 증거 조작이 사실로 확인되자 이 사건에 대해 국민에게 사과하면서도 남 원장을 유임시켰다. 박 대통령은 그때 남 원장의 책임을 물었어야 했다. 결국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쏟아져 나온 인적 쇄신론에 밀려 남 원장을 경질한 모양이 됐다.
김 실장은 세월호 사태가 터지자 "청와대는 재난 컨트롤 타워가 아니다"라고 했다가 비난을 자초했다. 실제 재난 대응 시스템이 그렇게 돼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민감한 시기에 굳이 그런 발언으로 유족과 국민의 반발을 부를 이유가 없었다.
지금 이 나라를 둘러싼 국제 외교·안보 상황은 단 한순간의 방심도 허용하지 않을 만큼 긴박하다. 그런 마당에 대통령의 신임을 받아온 외교·안보 분야 핵심 인물들이 본연의 업무와는 거리가 있는 의혹과 구설로 인해 동반 퇴진하는 사태가 빚어졌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박 대통령 스스로 되짚어봐야 한다. 새 외교·안보팀 구성은 박 대통령의 외교·안보 역량을 보여주는 또 다른 시험대다. 1기 내각에서처럼 특정 분야 출신이 요직을 독점하는 식이어선 곤란하다. 국가의 운명을 가르는 외교·안보 분야야말로 외교·통일·국방 등 각 분야의 전문적 의견이 서로 경쟁하고 협업(協業)할 수 있어야 한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