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박상은 새누리당 의원의 아들 집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의문의 현금 뭉치를 발견했다고 한다. 원화 외에 달러화와 엔화까지 섞인 뭉칫돈의 액수는 수억원대에 이른다. 앞서 박 의원의 비서 겸 운전기사가 검찰에 신고한 3000만원과는 별도로 거액의 돈다발이 또 나온 것이다. 검찰은 이 돈이 해운·건설업체 등에서 받은 불법 정치자금이나 뇌물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 중이라고 한다.
박 의원을 둘러싼 의혹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고 있다. 시작은 ‘돈가방’이었다. 박 의원 측은 현금 2000만원이 든 가방을 승용차에서 도난당했다며 경찰에 신고했다. 용도를 두고는 변호사 선임료로 쓰려던 돈이었다고 했다. 그러나 알고 보니 도난당한 게 아니라 운전기사가 불법 정치자금이라며 검찰에 신고한 상태였다. 돈의 액수도 2000만원이 아니라 3000만원으로 확인됐다. 얼마를 잃어버렸는지도 모른 채 도난신고를 하다니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 자금의 성격과 출처에 의혹의 시선이 쏠리는 이유다.
인천 중구·동구·옹진군을 지역구로 둔 박 의원은 정치권에서 해운업계의 이익을 대변해온 대표적 인사다. 그의 지역구에는 세월호 선사인 청해진해운을 비롯한 선사들과 해운조합, 각종 하역회사가 들어서 있다. 박 의원은 국회 연구모임인 ‘바다와 경제 포럼’을 주도하면서 한국선주협회 지원으로 외유성 시찰을 다녀온 사실이 드러나 구설수에 올랐다. 선주협회는 세월호 참사 이후 해운비리 수사와 관련해 압수수색을 당한 이익단체다. 박 의원은 선주들의 이해관계와 밀접한 법안이나 결의안을 수차례 발의하기도 했다. 단정하기엔 이르지만, 잇따라 발견된 수상한 돈뭉치와 해운비리 사이의 연관성을 의심할 수밖에 없다.
박 의원은 이와 별개로 보좌관의 급여를 지역 건설회사가 대신 지급하도록 하고, 비서에게 급여 절반을 후원금으로 내도록 강요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모두 당사자인 전직 보좌진이 직접 제보한 사안들이다. 도대체 국회의원 한 사람이 이토록 많은 의혹에 휩싸인 적이 있었던가. 기막히고 어처구니가 없다. 검찰은 신속하고도 엄정한 수사를 통해 박 의원이 연루된 모든 의혹을 철저히 규명해야 할 것이다. 물론 가장 중요한 과제는 해운업계와 정·관계의 유착 의혹을 파헤치는 일이다. 그것이 세월호 피해자와 가족들의 눈물을 조금이나마 닦아주고, 제2의 세월호 참사를 방지하는 길일 터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