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하도급 업체 근로자가 지난 28일 저녁 작업을 하다 바다에 빠져 숨졌다. 이 근로자는 300t의 선박 블록을 운송하는 차량 신호수 역할을 하며 뒷걸음하다 발을 헛디딘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사고 외에도 현대중공업과 계열사인 현대삼호중공업·현대미포조선 등 3개사에서 지난 두 달 새 하도급 업체 직원이 8명이나 숨졌다. 그중 한 명은 사고사인지 자살인지가 분명치 않지만 다른 7명은 모두 작업 도중 사고를 당했다.
지난 1월엔 현대중공업 임직원 10여명이 협력업체들로부터 납품 청탁 대가로 모두 36억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 기소됐다. 어느 간부는 협력업체로부터 3억3000만원을 받은 뒤 나중에 받을 대가를 미리 계산해 28억원의 공정 증서를 작성하게 하고 퇴사 후 돈을 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세계 1위 조선 회사가 하도급 근로자의 죽음을 나 몰라라 하고 협력업체에 뇌물 상납을 강요하는 데서도 세계 최고의 수완을 과시하고 싶은 모양이다.
다른 대기업에서도 협력업체 직원들의 산재(産災)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에서 2012년 9월부터 지난 1월까지 안전사고 9건으로 모두 13명이 목숨을 잃었다. 삼성전자에서도 지난 3월 협력업체 직원이 소화용(消火用) 이산화탄소 가스에 질식돼 숨졌다.
대기업들은 원가(原價) 절감을 위해 사고 위험성이 높은 작업장에 주로 하도급 업체 직원을 배치하면서 이들의 안전에는 신경을 쓰지 않는다. 협력업체들이 일감을 따내려고 덤핑 수주(受注)를 하다 보니 근로자들은 안전 장비를 제대로 갖추지 않은 채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하도급 근로자들의 희생을 줄이려면 원청 업체에 대해서도 책임을 묻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