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방송(MBC) 신임 사장에 안광한 MBC플러스미디어 사장이 선임되면서 언론계가 전운에 휩싸인 모습이다. 안 신임 사장은 지난 21일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 이사회에서 이진숙 워싱턴지사장과 최명길 인천총국 부국장을 제치고 사장으로 내정된 뒤 이어 열린 주주총회에서 확정됐다. 이에 대해 MBC 노조를 비롯한 언론계와 야권에서는 ‘도로 김재철 체제’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방송의 공정성과 공영성 문제를 둘러싸고 극심한 진통을 겪고 있는 공영방송 MBC의 앞날이 걱정스럽다.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무엇보다 문제가 되는 것은 안 신임 사장이 ‘김재철 체제의 2인자’로서 MBC 노조와 심각한 갈등을 벌인 당사자라는 점이다. 편성본부장 시절 시사 프로그램인 <후플러스>를 폐지하고 <PD수첩> ‘4대강 수심 6미터의 비밀’ 편의 불방 사태를 야기하는 등 제작 자율성을 침해하는 데 앞장섰으며 2012년에는 인사위원장을 맡아 MBC 파업에 참여한 후배들에게 무더기 보복인사를 단행했다는 게 그의 전력과 관련한 비판들이다. 그래서 전국언론노동조합도 사전에 그와 이진숙 지사장을 방송의 공공성과 자율성을 훼손하고 역사상 최장기 파업을 유도한 책임자로 지목하고 사장 선임 시 ‘선전포고’로 간주하겠다고 경고했던 터다.
MBC가 지금 겪고 있는 어려움과 갈등은 대부분 김재철 전 사장 시절 비롯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김 전 사장 체제가 가져온 신뢰도 추락, 시청률 하락, 인재 유출이라는 삼중고를 ‘도로 김재철 체제’로 극복하겠다면 누가 믿을 수 있겠는가. MBC 경영진은 ‘2012년 파업은 정당했고 징계처분은 모두 무효’라는 지난 1월 법원 판결조차 인정하지 않고 항소한 마당이다. MBC 정상화의 첫 단계인 공정성 회복, 단체협약 복원, 해고자 복직 등에 그것을 파괴한 책임을 져야 할 사람이 적극 나서기를 바라야 하는 상황인 것이다.
결국 화살은 MBC 지배구조로 모아질 수밖에 없다. 최대주주인 방문진이 여권 추천 이사 6명과 야권 추천 이사 3명으로 이뤄져 여권 뜻대로 사장을 선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지배구조인 MBC와 한국방송(KBS)이 ‘청영방송’이라는 비아냥을 들을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그래서 박근혜 대통령도 언론 공약 1호로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편’을 내세웠던 게 아닌가. 안 사장 선임이 그 필요성을 제대로 말해주고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