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방침은 그린벨트에서는 풀렸지만 여전히 용도 제한에 묶여 개발이 어려운 곳을 지역 경제에 도움 되는 쪽으로 활용하겠다는 취지다. 김해국제공항은 연간 국제선 이용객이 500만명에 달하지만 인근에 공항 이용객을 위한 호텔이나 쇼핑센터 등 편의시설은 전무하다. 주변 마을이 2006년 그린벨트에서 해제됐지만 4층 이하 주택만 지을 수 있는 제1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묶여있기 때문이다.
사정이 비슷한 곳이 전국에 1656개 마을(106㎢)에 달한다. 정부는 이 가운데 김해공항과 광주 평동산업단지 인근을 비롯한 12개 지역(12.4㎢)의 규제를 우선 풀겠다는 것이다. 상가와 공장이 들어설 수 있도록 하면 개발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 민간 자본을 끌어들일 요인이 된다. 정부나 지자체의 재정을 투입하지 않고도 민간 투자를 유치해 낙후된 지역을 개발할 수 있는 것이다. 정부는 8조5000억원의 투자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지역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규제는 과감하게 풀어야 한다. 하지만 부동산은 민감한 문제다. 땅값을 자극하고, 대상 지역 선정을 둘러싼 특혜 논란이 빚어질 수 있다. 수도권 지역에도 규제완화가 똑같이 적용된다면 지역균형발전이라는 취지와 반대로 수도권 집중화가 더 깊어질 우려도 있다. 난개발, 투기, 환경오염, 집중화 확대 등 부작용을 경계해야 한다.
그린벨트를 해제했는데도 제대로 활용되지 않고 있는 곳이 적지 않다. 정부는 왜 그런 결과가 생겼는지 생각해보기 바란다. 치밀한 개발 계획없이 주먹구구식으로 무분별하게 풀어버렸기 때문은 아닌가. 정부와 지자체가 규제 완화 대상지 선정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이유다. 왜 이 지역이고,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를 사전에 면밀하게 따져야 한다. 그린벨트 해제보다 풀린 땅의 효율성을 높일 명확한 개발 원칙과 기준이 훨씬 더 중요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