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방한 메시지는 올 한 해 한·일 관계를 가늠할 풍향계가 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 무엇보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한 입장은 주목된다. 위안부 피해 생존자는 55명이고 평균 나이는 88세다. 대부분 세상을 떠났다. 이들의 존엄을 회복시켜 주는 조치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인도적 과제이자 새 한·일 관계의 관문이다. 양국은 이미 이명박-노다 요시히코 정부, 박근혜-아베 정부 간에 이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을 벌여왔다. 이명박 정부 때는 일본 총리의 사죄와 일본 정부의 피해자 지원 등을 축으로 타결 직전까지 갔었다. 문제 해결의 전제는 위안부의 강제동원을 인정·사죄한 고노 담화를 아베 내각이 계승하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그 위에서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으로 배상 책임이 끝났다는 원칙만 고수할 게 아니라 보편적 인권의 대국적 견지에서 결단을 내릴 필요가 있다. 그게 대국다운 태도다. 위안부 문제에 관한 한 시간은 결코 일본 편이 아니다.
한국도 일본의 ‘아시아여성기금 창설’ 등 그동안의 노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양국은 피해자들을 두 번 역사의 희생양으로 만들지 않는 현실적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 그게 민주주의 국가 관계다. 양쪽 모두를 100% 만족시키는 교섭은 외교 사전에 없지 않은가. 사이키 차관의 방한이 새 한·일 관계로 가는 긴 여정의 첫발이기를 기대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