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이끄는 일본 정부는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담화’를 비롯해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을 계승한다고 말하면서도 뒤로는 딴소리를 하고 있다. 사이키 차관이 방한한 날 아베 총리의 최측근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위안부 강제 연행은 없었다”는 주장을 되풀이했다. 한 입으로 두말하는 이율배반이고, 자기모순이다. 고노담화를 검증하되 수정은 하지 않겠다는 해괴한 논리와 맥이 닿아 있다. 어떻게든 고노담화의 정당성에 흠집을 내보겠다는 것이다.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은 전범재판 기록 등 수많은 문서를 통해 확인된 사실이다. 이를 외면하는 것은 손바닥으로 해를 가리는 것이다. 보다 못한 일본 지식인들이 나섰다. 하야시 히로후미(林博史) 간토가쿠인(關東學院)대학 교수 등 15명의 학자가 주축이 된 ‘고노담화의 유지·발전을 요구하는 학자 공동성명’에 서명한 일본인 학자가 1300명을 넘었다. 이들은 고노담화 검증에 반대하며 고노담화의 정신을 구체화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한·일 두 나라가 1년 이상 정상회담조차 못하고 있는 것은 분명 비정상이다. 양국의 동맹국인 미국도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아무리 그렇더라도 책임 소재가 너무나 명백한 위안부 문제에서조차 일 정부가 성의를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한·일관계 개선은 불가능하다. 이를 무시한 채 무조건 만나자고 요구하는 것은 일종의 스토킹이다. 악수를 하고 싶으면 손부터 씻어야 한다. 아베 내각은 일본 지식인들의 양심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 바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