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대남 평화 공세가 거세다. 북한은 7일 정부 성명을 통해 남북관계 개선 메시지를 보냈다. 북한은 성명에서 ‘우리 민족끼리’ 정신 아래서의 화해와 단합을 강조하면서 9월의 인천 아시안게임에 선수단과 함께 응원단을 파견키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30일에는 국방위원회 특별 제안을 통해 남북 상호 비방·중상 중지와 한·미 연합군사훈련 중지를 요구했다. 북한은 이 제안에 대해 남측이 “진정성이 없다”며 거절하자 정부 성명으로 격을 올려 다시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보인다. 통일부는 북한 성명에 대해 “비합리적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다”고 반박하면서도 응원단 파견은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북한 성명은 진정성을 의심케 하는 대목이 한둘이 아니다. 첫째, 북한 핵 문제에 대한 인식이다. 성명은 “공화국의 핵 무력은 외세의 침략 야망을 억제하고 자주 통일과 민족 만대의 평화와 안전, 번영을 위한 확고한 담보”라고 주장했다. 현실과 동떨어진 궤변으로 중국까지 가세한 북핵 공조에서 남한이 빠져나오라는 얘기다. 성명은 특별 제안에 이어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겨냥해 “북침 전쟁연습을 전면 중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한이 받아들일 수 없는 입장을 내놓고 관계 개선을 얘기하니 남측이 호응할 수 있겠는가. 북한의 대남 메시지는 김일성 전 주석 사망 20주년을 하루 앞두고 체제 선전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더군다나 북한 성명은 북한이 동해로 미사일과 신형 방사포를 발사하고,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서해 5도를 겨냥한 섬 상륙전투훈련을 지도한 직후 나왔다. ‘말 따로, 행동 따로’의 태도로선 남북관계 개선은 기대하기 어렵다.
북한의 태도가 이중적이라고 하더라도 정부는 대화의 장을 마련해 북한의 진의를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남북 간에는 지난 2월 성사된 고위급 회담의 채널이 있다. 이를 통해 북핵 문제에 대한 입장도 제기하고, 남북 간 현안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동북아 정세가 미·일과 중국의 대립 양상으로 요동치는 상황에서의 외교 공간 확대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