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6월 1일 일요일

중앙_[사설] 스타트 10년, 한국 아동정책을 바꾸다

위 스타트(We Start) 운동이 올해로 10년을 맞았다. 우리 모두가 나서 어려운 처지의 아이들에게 복지와 교육의 동등한 출발선(start)을 만들어주자는 시민 운동이다. 29일 열린 10주년 기념행사에서 이봉주 서울대 교수는 “한국의 아동정책을 위 스타트 이전과 이후로 나눌 만큼 우리 사회에 큰 영향을 줬다”고 평가했다.

 위 스타트의 싹은 2004년 중앙일보 탐사기획보도인 ‘가난에 갇힌 아이들’이다. 중앙일보는 현장취재와 조사보도를 통해 소외계층 아동·청소년의 현실을 보여주며 새로운 미래세대 정책의 필요성을 촉구했다. 당시 취재팀은 우리 사회가 돌봐주어야 할 저소득층 아이가 100만 명에 이르고, 하루에 28명의 아이가 버려지고 있다는 안타까운 내용을 전했다. 취재에 참여한 전문가와 현장운동가들이 이런 아이들을 도와주는 민간운동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면서 위 스타트는 태동했다.

 현재 전국에는 23곳의 위 스타트 마을이 있다. 이 마을에서 시민단체와 지방정부, 후원기업이 소외계층 아이들에게 체계적인 복지·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한국형 ‘인적자본 개발형’ 아동복지 서비스의 시초다. 정부는 이 운영 모형을 토대로 ‘드림 스타트’라는 빈곤아동 지원 공공서비스를 내놓기도 했다.

 아동·청소년에게는 투표권이 없다. 자신의 입장과 정치적 권리를 표출할 방법이 없는 것이다. 기성세대가 자세히 귀를 대지 않으면 이들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하지만 이들은 20년 후, 30년 후 사회를 이끌고 갈 세대다. 이들이 튼튼하고 온전하지 않으면 미래는 밝을 수 없다. 영국의 슈어 스타트, 미국의 헤드 스타트, 캐나다의 페어 스타트 등 선진국들이 아동복지 운동을 벌이고 있는 것은 일찌감치 그 중요성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한국 같은 극단적 저출산 국가에서는 아이 한 명 한 명이 더 귀중하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40대 여성과 함께 가장 큰 마음의 상처를 받은 계층은 아동·청소년이다. ‘위 스타트 10년’을 아이들의 소중함을 되돌아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