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는 6일 기자회견에서 "대한민국이 4·16(세월호 침몰) 이전과 이후로 구분될 만큼 큰 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며 범국가적 차원의 가칭 '안전한 대한민국 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했다. 두 사람은 "야당도 협력할 것"이라고 했다. 국회 차원의 국정조사 및 청문회 개최도 요구했다. 또 '유가족과 국민이 원한다면'이라는 전제를 달아 특검 도입 필요성도 제기했다.
지금 야권에선 두 가지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하나는 참사를 대통령과 정권에 대한 공격의 기회로 삼으려는 쪽이고, 다른 하나는 '수습과 대책이 우선'이라는 쪽이다. 이미 일부 언론과 인터넷, 촛불 집회 등을 통해 '대통령 하야' '가만히 있지 말라' 같은 말들이 퍼지고 있다. 일부 재미교포 단체들도 뉴욕타임스에 정부를 규탄하는 광고를 싣기 위해 모금운동을 하고 있다. 아직은 일부 극단적인 사람들의 움직임이지만 야당 내에서도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고 한다. 경기지사 후보 경선에 나선 김상곤 전 경기교육감은 "이번 선거에서 탄핵을 받았다는 생각이 들도록 정권을 확실히 심판하자"고 했다.
국민의 안전을 맡고 있는 정부는 책임을 면할 수 없다. 그러나 국정 책임자로서 정부의 책임을 세월호 경영자나 선원들과 같은 책임이라고 할 수는 없는 일이다. 선박 안전 감독 소홀이나 구조 혼선 문제도 지금의 야당을 포함한 역대 정부 모두가 자유로울 수 없다. 많은 국민은 고통스러워하면서도 이런 사정은 알고 있다. 야권이 국민의 분노를 잘못 짚어 정치 수단으로 삼으려다간 역풍(逆風)을 맞을 수 있다. 이 사안이 특검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사실은 새정치연합도 모를 리 없다.
야권에선 "지금은 수습이 최우선이고 모두가 협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들리고 있다. 비리와 실책을 규명하되 대책에 집중해야 한다는 주문도 적지 않다. 새정치연합은 두 달여 전 일단 상대를 공격부터 하고 보는 기존 정치권의 구태(舊態)를 청산하고 오로지 국민을 바라보는 정치를 하겠다며 합당 선언을 했다. 새 정치를 할 곳은 바로 이런 때, 이런 상황에서다. 이렇게 어려운 때일수록 야당이 극단적 주장과 선을 긋고 중심을 잡아야 한다. 야당이 이 길로 간다면 국민에게 신선한 기대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지금은 야당에 큰 기회이기도 하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