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권의 위기 속에서 새누리당이 오늘 새 지도부를 선출한다. 청와대·내각과 더불어 집권당은 국정운영의 양대 축이다. 집권당의 리더십 교체가 위기에 빠진 정권에 반전(反轉)의 계기가 되어야 하는데 양상은 그렇지 못하다. 집권당의 언행은 좁게는 정치권의 개혁을 선도하고 크게는 사회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서청원-김무성의 갈등으로 압축되는 계파 싸움과 혼란은 오히려 집권당이 사회의 걱정거리임을 보여준다.
2012년 공천에서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장악한 지도부는 김무성에게 공천을 주지 않았다. 친박계 핵심이었다가 친이계로 전향했다는 이유였다. 그랬던 그를 대선 때는 선대본부장으로 중용했고 나중에는 다른 지역구의 보궐선거에 그를 공천했다. 그가 이번에 당 대표에 출마하자 친박계 좌장인 서청원 의원은 대권욕심을 가지고 있어 대표에 적합하지 않다며 거칠게 반대한다. 대선주자가 당권에 도전하는 건 자연스러운데 이를 비난한다. 집권당 당권 투쟁에 논리가 약하다.
김 의원은 서 의원을 구태정치의 상징이라고 비난한다. 자신에 대한 부당한 공격을 방어하는 것이지만 ‘구태’로 따지면 두 사람 모두 책임이 있다. 돈과 관련된 문제로 유죄판결을 받은 것이다. 두 사람은 YS(김영삼)를 태두로 하는 상도동계의 동지 출신이다. 과거 동지들의 이전투구(泥田鬪狗)는 자라나는 세대의 교육에도 나쁘다.
새 대표는 2016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공천에 상당한 영향력을 갖게 된다. 확립된 공천제도가 없으니 의원이나 당협위원장들은 대표의 눈치를 봐야 한다. 그러니 몸조심에 바쁘고 당의 반(反) 개혁적인 양태에 아무런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경선에 출마한 소장파 후보들은 구태의 혁파에 몸을 던져야 할 터인데 비장한 움직임이 없다. 그럴 거면 왜 출마했는가.
작금 이 나라의 집권당은 원칙도, 제도도 흔들리는 가운데 원시적인 정글 싸움만 하고 있다. 대통령은 고립 속에서 정권의 위기와 투쟁하는데 집권당은 멀리 떨어져서 혼란만 부추긴다. 새누리당은 전당대회를 계기로 대대적인 각성에 나서야 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