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은 '성찰'이라는 단어를 모르나
‘4대강 사업’ ‘자원외교’ ‘서울시 공무원 간첩사건’. 최근 사회적 논란으로 떠오른 세 가지 사건들의 공통점은 모두 언론이 ‘개입’돼 있다는 점이다. 4대강 사업과 자원외교는 천문학적인 혈세를 낭비했다는 점 외에 뇌물, 담합, 횡령 등과 같은 비리의혹도 받고 있다. 서울시 공무원 간첩사건은 국가정보원이 멀쩡한 시민을 증거조작을 통해 간첩으로 몰아갔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사안이다. 세 가지 사건 모두 성격은 다르지만 분명한 것은 제기된 의혹에 대한 정확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런 ‘불명예스런 사건’에 언론이 개입돼 있다는 것 자체가 부끄러운 일이다. 4대강 사업과 자원외교는 이명박 정부에서 진행된 국가적 사업이지만, 해당 사업들이 부실 논란과 비리의혹을 받고 있는 데에는 언론책임도 크다. 해당 사업들의 문제점은 추진 당시부터 제기됐지만 이명박 정권 시절 주요 언론들은 정부 정책을 단순 전달하기 바빴다. 많은 언론이 정부와 함께 4대강 사업과 자원외교의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장밋빛 전망을 제시하는데 주력했다.
‘그랬던’ 일부 언론이 최근 4대강 사업을 비롯해 자원외교와 관련한 문제점이 불거져 나오자 이를 강도 높게 비판하고 나섰다. 뒤늦게라도 지난 정권의 잘못된 정책과 사업을 비판하고, 검증에 나선 것은 평가해줄 필요가 있다. 하지만 당시 정부 발표를 제대로 된 검증 없이 받아쓰기에만 급급해 결과적으로 부실로 흐르도록 한 것은 다름 아닌 언론이었다.
서울시 공무원 간첩사건도 마찬가지다. 이 사건은 동아일보를 통해 세상에 알려졌다. 국정원의 증거조작이 상당 부분 사실로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지만 동아일보는 아직 자신들의 보도와 관련해 당사자에게 어떤 사과조차 하지 않고 있다. 동아일보와 국정원 간에 ‘검은 커넥션’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불거졌지만 아직 동아일보는 명쾌한 해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 언론은 정녕 성찰이라는 단어를 모르는 건가.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