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측이 이산가족 상봉을 비롯한 쌍방의 관심사를 논의하기 위한 고위급 접촉을 제안한 지 오늘로 만 한 달이다. 북측은 이산가족 상봉만큼은 정치적 문제와 연계하지 말고 호응해 나와야 한다. 마침 박봉주 북한 내각 총리가 그제 정권수립 66주년 기념 중앙보고대회에서 남북관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선 가장 절실한 문제부터 풀어 가는 것이 순서다. 신뢰가 쌓이면 남북 간의 대규모 교류·협력 사업도 탄력이 붙지 않겠는가. 북한이 일본인 납치자 문제 해결에는 성의를 보이면서 남북 간 이산가족 문제를 외면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북한은 미국인 억류자 문제를 놓고 미국 정부와도 교섭을 진행하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정부도 인도적인 문제에는 보다 유연해져야 한다.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에 응해올 때는 대규모 인도적 지원 등도 고려해봐야 한다. 남북관계 개선의 큰 틀에서 이산가족 문제를 볼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북한이 남북 간 경제적 격차로 이산가족 상봉 문제에 부담을 갖고 있는 점을 감안해 비공개 상봉 등 실질적인 해결을 꾀할 필요도 있다. 추석 계기 상봉은 무산됐지만 가을까지 놓쳐선 안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