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리즘의 이해 – 윤영철
여론 형성: 엘리트주의. 노암 촘스키 “뉴욕타임스가
미국의 여론을 조작하고 있다”⋯manufactural of
consent(동의조작)
언론의 개 모형
1.
watch dog(파수견): 권력이 잘못했을 때 환경을 감시하고 비판한다.
2.
Lap dog(애완견): 권력이 모든 자원을 쥐고 강한 억압을 하면서 포섭할 때 언론이 순응
3.
hunting dog(사냥개): 막강한 힘을 가진 권력은 공격하지 않지만 더 센 권력의 후견을 받아 다른 권력을 공격하는 언론.
80년대 5공화국, 87년 5공 청문회를 할 때 마구 물어뜯기 시작했다.
4.
Guide dog(안내견)
5.
Guard Dog(보호견)
우리나라의 언론은 개 모형 중 어디에 속하는가?
미국 워터게이트 스캔들
1972년 6월 대통령 R.M.닉슨의
재선을 획책하는 비밀공작반이 워싱턴의 워터게이트빌딩에 있는 민주당 전국위원회 본부에 침입하여 도청장치를 설치하려다 발각·체포된 정치적 사건.
이 사건으로 인하여 닉슨정권의 선거방해, 정치헌금의 부정·수뢰·탈세 등이 드러났으며
1974년 닉슨은 대통령직을 사임하게 되었다. 당초 닉슨은 도청사건과 백악관과의 관계를 부인하였으나 진상이 규명됨에 따라 대통령보좌관 등이
관계하고 있었음이 밝혀졌고, 대통령 자신도 무마공작에 나섰던 사실이 폭로되어 국민 사이에 불신의 여론이
높아져 갔다. 1974년 8월 하원 사법위원회에서 대통령탄핵결의가 가결됨에 따라 닉슨은 대통령직을 사임할 수밖에 없었다.
임기 도중 대통령이 사임한 것은 이것이 역사상 최초의 일이었으며, 미국 역사에 오점을 남기는 사건이기는 하였으나, 의회와 최고재판소가 그 직책을 완수함으로써 민주주의의 전통은 수호되었다. 그리고 닉슨 사임 후에도 그의 형사책임을 추궁할 것인가 아닌가의 문제가 남아 있었으나 대통령 G.포드가 9월 8일 닉슨의
재임기간 중의 모든 죄에 대하여 특사를 발표함으로써 이 사건은 일단락되었다.
Deep Throat: 미국의 CIA부국장이 단독으로 그랬다고 보기는
어렵다. 언론과 권력의 관계는 단층적으로 끝나지 않는다. 권력
구조의 균열이 있을 때에는 파수견과 보호견이 함께 드러난다(적대적-협조
공생적).
[지배권력과 제도 언론], 나남. 원제 [Agenda of Power(권력의 대리인)]
언론인 개인의 의지∙생각과 무관하게, 권력 집단과 연계해 언론은 활동한다.
행위와 의견을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다.
Crossing Burning 십자가를 태우다. KKK 유색인종 말살.
법원에서는 표현의 자유를
인정하지 않았다. 심각한 위협을 초래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Flag burning 성조기를 불태우다. 미국의 정책을 반대하며 국기를
태웠다. 표현의 자유를 인정.
맥루한 “인쇄매체와 방송 매체는 다르다”. 감정 이입이 잘 되는 매체가 방송이다. 감각의 숫자가 늘어날수록 감성적 영역이 증가한다. 지금은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중이다.
매체 기술이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변화를 일으킬 뿐이다. 기술결정론은
복잡한 현상을 과도하게 단순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대한다.
1920년대 등장한 라디오 기술을 영국은 공영으로 미국은 상업적으로 제도화했다.
유럽 대륙에서는 공익을
위해서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 자리잡게 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
하지만 미국에서는 광고와
사익을 위해서 새로운 기술이 사용됐다.
같은 기술일지라도 미치는
영향은 다르다.
인터넷이 충족시키는 2가지 욕구
1.
사회적 비교: 인간은 끊임없이 남과 자신의 능력∙의견을 비교한다.
인터넷에서는 자신과 의견이 유사한 사람들을 많이 만날 수 있다. 비슷한 의견을 가진 사람들과는 소통이 매우 잘된다.
2.
접속
전통미디어가 여전히 중요하지만
이제 온라인과 포털, SNS의 영향력이 지대해지고 있다. 젊은
층의 뉴스 소비 행태가 변화한 것이 이를 반증한다.
2008년 대규모 촛불시위가 있을 때, 시발점은 여중생이었다(임계점-티핑포인트). 많은
이유가 대두됐지만 이들은 동방신기 팬클럽 카시오페아였다. 오빠들이 미국소를 먹고 건강을 해치면 안 된다는
이유가 가장 컸다.
많은 인터넷 커뮤니티들이
광화문에 나왔다. 하버마스는 “신문이 여론을 조성하고 숙의를
낳는다”고 했지만 지금은 인터넷이 감정적으로 여론을 조성하고 숙의를 낳고 있다.
광장은 군중을, 신문은 공중을, 극장은 관객을, 인터넷은
네티즌을 등장시켰다.
매체가 일종의 집단을 등장시키고
있다.
매스미디어와 언론
언론을 매스미디어로만 한정시키기에는
인터넷 등의 언론 공간이 매우 방대해졌다.
언론은 현실을 객관적으로
반영하는 거울과 주관성이 개입해 재구성하는 창으로 비유된다. 정답은 없다. 언론의 가장 중요한 존재의 이유인 진실 추구와 객관성을 완전히 확보하는 것은 어렵다.
뉴욕타임스 기사에는 취재원이 6~7명 가량 등장한다. 심층적이고 다층적인 묘사를 통해 보다 많은
사실을 끌어모아 작성해야 한다.
1.
언론의 개념정의
*正名의 중요성: 언론개혁, 세계추진위원회, 햇볕정책, 경제민주화, 창조경제
A.
말로서 논하다.
B.
글로서 논하다.
C.
인쇄 및 출판: press, freedom of
press
D.
신문: press=newspaper
E.
방송, 영상매체 등 매스미디어
F.
인터넷과 소셜미디어, 모바일 미디어
소통⋯의미의 공유. 이성적인 영역에서
의미가 공유돼왔다. 20세기 방송, 인터넷의 등장으로 이성
뿐 아니라 감성의 영역이 확대됐다.
쟁점1: 오락매체도 언론에 포함되는가? 연예저널리즘, 스포츠저널리즘
쟁점2: 언론과 언론매체를 구분해야 하는가? 언론의 자유와 언론매체의 자유
쟁점3: 포털, SNS도 언론매체인가?
쟁점4: 행위도 언론에 포함되는가? *행위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는 동일한가?
표현의 자유는 말할∙표현할 자유. 커뮤니케이션을 잘 하기 위해서는 잘 들어야 하고 잘
공감해야⋯.
이성보다 감성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2.
언론의 별칭
A.
인식론: 거울과 창
B.
여론형성: 여론 대변자(다원주의)와 여론조작자(엘리트주의)
C.
독립성과 자율성: 제4부, 무관의 제왕, 사회의
목탁, 사회의 양심
D.
권력과의 관계: watch dog, lap dog,
hunting dog, guide dog, guard dog
권력의 적대자, 권력의 대리인, 권력의 나팔수
권력의 적대자, 권력의 대리인, 권력의 나팔수
E.
맑시즘: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 지배이념의 재생산도구, 의식산업,
hegemony
3.
언론의 역사
A.
최초의 언론인과 언론매체
B.
저널리즘 모델의 진화과정
i.
언론의 4이론:
권위주의, 자유주의, 사회책임, 공산주의
ii.
정치적 명분과 business model의 조합
1.
partisan journalism 정파언론
16~17세기 신문 초기, 정치조직의 후원을 받으며 민주주의 형성 과정에서 정치조직의 영향력을 극대화
2.
objective journalism 객관저널리즘
1833 penny press의 등장. 초기 자본주의를 배경으로 독자수를 많이 확보해서 광고주들에게 지면을 팔자.
주관적 저널리즘은 독자수를 제한? 하지만 이제
광고도, 객관 저널리즘도 위기다. 민주주의가 지속되면 분명히
새로운 저널리즘이 등장한다.
3.
new journalism
4.
investigative journalism 탐사언론
1970년대 당시 미국의 정치적 맥락과 상황, 미국 제도권 언론에 대한 불신
5.
section journalism
6.
civic journalism
지역 내 외의 궁여지책이 없었다. 실리를 추구하기
위해 지역으로 다가가.
80년대
USA today 등 미 전역을 다루는 일간지, 24시간 뉴스보도 매체(CNN)가 등장했다. 미국의 정치∙사회적
맥락과 함께 등장한 저널리즘이다.
7.
crowd-sourcing journalism 협업저널리즘
전문기자와 crowd가 협업해서 작성하는 기사, 프로-아마추어의 협업.
8.
public goods journalism / pay
wall journalism / news game
4.
권력과 언론
A.
자유다원주의 관점: adversarial,
check&balance
B.
엘리트주의 관점: agent of power,
manufacturing consent
C.
맑시즘: 지배이념의 확산도구, hegemony
D.
한국 정권의 언론통제 유형 변천, 강압과 유인의
배합유형에 따른 언론 통제
5.
저널리즘의 존재이유와 쟁점
A.
저널리즘과 민주주의 / 언론의 자유
왜 언론의 자유가 필요한가?
i.
급진적 민주주의
ii.
시장민주주의
iii.
이해집단 민주주의
iv.
숙의 민주주의
B.
저널리즘과 객관성
i.
객관적이다.
ii.
객관적이지 않다.
iii.
객관적일 수 없다.
iv.
객관적이어서는 안된다.
C.
저널리즘과 공정성
i.
공정보도의 적용 한계: 할린의 도넛 모델
ii.
공정보도의 기준: due impartiality, fairness
doctrine
D.
언론전문직주의의 필요성
i.
모든 시민은 언론인이다 오마이뉴스의 도전과 한계
ii.
media professionalism의 요소: skill, knowledge, ethics⋯
iii.
기능적 통합과 내용적 분화
2013, 존경받은 상, 그 수상작을 결정하는 사람이 시험 출제를 한다. 입사시기와 상이 교묘하게 맞아 떨어진다. 관훈클럽에서 준 상은 ‘전두환 은닉 재산 환수’ 크라우드소싱 저널리즘!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