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1월 18일 화요일

뉴스의 사회학

뉴스와 사회학
중간고사 가이드라인
가)     강의록 챕터 이상의 것들이 나온다. 북 챕터 모두 읽어라
나)     약술형 2문제: 개념에 대해 잘 쓰고 사례나 예시를 써라. 중요성 포함
다)     논술형 1문제: 우리의 생각하는 바, 의견ㆍ평가ㆍ분석이 모두 담겨 있어야 한다. 논술형은 의외의 문제일 수도 있다.
현재 벌어지고 있는 특정 사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론을 제시하라.
수업개요
가)     매스 미디어는 한 사회의 정치ㆍ경제ㆍ문화적 조건은 물론 조직 내외에서 작용하는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뉴스, 논평 같은 미디어 내용물을 생산, 이를 사회에 전파
나)     뉴스의 사회학은 미디어 내용물이 수용자에게 이해되기 위해 어떻게 제작되고 전파되는지 그 생산과정을 이론적으로 또 경험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
다)     미디어 내용물의 생산과 사회적 전파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미디어 내용물의 결정요인(또는 언론통제요인)이라는 개념으로 이론화, 뉴스생산의 결과와
결정요인의 인과기제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오리엔테이션
가)     국정원의 이석기 내란음모가 언론매체에 등장하고 있다. 이외에도 굉장히 많은 일이 발생하고 있지만 언론은 이것만 다루고 있다. 진보-보수 언론이 다루는 내용이
상이하다. 주로 보는 내용에 익숙해지면 장님이 코끼리 만지는 격이 된다.
나)     한국전쟁을 경험했던 세대들은 진보신문을 경시한다. 우리가 뉴스를 접하면서 이해하는 과정에는 일정한 관계의 패턴이 있다. 기자의 성향ㆍ성별에 따라 논조가 상이.
다)     여기에는 사회적 요인이 작용한다. 사회적요인-뉴스생산-뉴스-수용자 반응
라)     수업에서는 뉴스가 생산되는 과정을 다룬다. 주요 개념은 게이트키핑, 뉴스생산, 뉴스의 사회학.
인간 커뮤니케이션과 저널리즘
이민웅 (2003) <저널리즘: 위기ㆍ변화ㆍ지속> 서울: 나남 제1뉴스란 무엇인가,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인간커뮤니케이션의 정의: E.Rogers “상호이해에 도달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참여자(행위자)가 상징체계-기호, 언어, 매체-를 사용해 정보를 생산하고 공유하는 과정
커뮤니케이션 학자는 삼라만상, 천체운행 등 모든 것을 comm.의 관점으로 바라본다. 가장 유사한 것이 벌춤’. 태양-벌집-꿀을 일직선으로 춤을 춘다(팔자춤).
하지만 벌에게는 상징체계-기호, 언어, 미디어-가 없다.
       인간커뮤니케이션의 개념적 요소 커뮤니케이션 개넘을 구성하는 이론적 요소
가)     송신자(Source): 전송자 / 발화자 → 개인, 집단, 조직, 국가, 초국가체(기업, 미디어, 국제기구)
-      하지만 박근혜-푸틴이 만나서 담화를 나누면 개인간 커뮤니케이션이 아니라 국가간 커뮤니케이션이다. 상징체계의 활용은 문화와 사회적 배경 등 다양함
나)     메시지/정보(message/information): 송신자가 자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안한 내용. 기호와 상징의 집합물
-      메시지는 미디어의 기술적 맥락에 따라 전달하는 방식이 달라진다. 사람들은 성별, 교육수준, 문화적 배경에 따라 전혀 다르게 이해한다.
-      실제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나는 상황에 따라서 comm.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다)     채널/미디어(channel/media): 매체. 메시지를 담는 용기
라)     수용자(receiver/audience): 송신자가 보내는 메시지를 매체를 통해 받아들이는 자
-      뉴스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전달된다. 채널ㆍ미디어를 통해 받아들이는 사람은 수용자다. receiver / audience 정보를 이해하는 과정의 차이는 인지적 능력과 해석하는 노력에 따라 다르다. 전혀 다른 방식으로 새롭게 재해석하기도 한다.
마)     효과(effect): 수용자가 메시지를 받아들이고 나서 일어나는 반응 / 결과(특히, 송신자가 의도했던 바의 실현) ex.매스미디어의 4기능
-      변화의 결과가 효과다. 수용자가 메시지를 받아들인 이후의 결과. 매스미디어가 매체를 통해 특정 메시지를 전달 → 수용자가 설득됐다면 효과가 있는 것
-      이는 특정한 시공간적 맥락에서 드러난다.
바)     상황(context/setting-time&space):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나는 시공간적 상황
-      뉴스의 생산. 게이트키핑은 뉴스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만들어질 때 작동하는 원리다.
사)     환류(feedback): 송신자에게 되돌아오는 수용자의 반향
-      대인컴에서는 발화와 반향의 구분이 없다.
-      매스컴에서는 시청률, 구독률, 기사에 대한 댓글, 토론 등이 중요한 환류다.
-      reaction은 저널리즘 상황에서 뉴스가 미치는 중요한 영향이다.
       인간커뮤니케이션의 차원 커뮤니케이션 현상이 발생하는 인식론적 수준 → 분석수준” *level of analysis
가)     인간내 커뮤니케이션: me-me
나)     대인간 커뮤니케이션: me-you미시적 접근(심리학ㆍ사회심리학의 이해)⋯적절한 분숙 수준에 맞는 틀을 가지고 이해해야 한다. 언론학은 굉장히 간학문적
다)     소그룹 커뮤니케이션
라)     조직 커뮤니케이션: 공식적인 체계
마)     매스 커뮤니케이션: 사회가 필요로 하는 미디어를 바탕으로정치-사회-경제-행정 등 여러 분야의 학자들이 뉴스 생산에 주목했다.
바)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사)     국제/글로벌 커뮤니케이션: 국가와 국가, 개별국가 통신사 간
       매스comm.의 이해
가)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정의
매스미디어(신문, 방송, 영화 등)를 통한 사회적 의사소통. 정보의 사회적 공유과정 또는 정보 공유과정을 통한 여론의 형성과 사회적 반향
나)     매스 커뮤니케이션 요소의 특징
       송신자
-      엄청난 비용을 투입하는 복잡한 조직 자체이거나 그 조직에 속한 구성원 MBC, KBS 한겨레, 오마이뉴스, 프레시안 등
-      송신자의 전문성과 조직성 → 1인 미디어를 이용한 비전문가의 등장
            *Para-journalist(유사 저널리스트, 범 저널리스트)오마이뉴스일반 시민 모두 기자가 되자! 개인이 자기가 구축한 블로그, 홈피, SNS에 기사 게재
            *백팩저널리스트혼자 장비 짊어지고 세상을 보는 기자반드시 전문성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메시지 다양한 형식과 보편적 내용으로 구성공공 관심사(Public affairs), 대중의 관심을 끄는 개인사(특히, 공인 관련)
       채널 / 미디어
-      계획적, 공개적, 동시적, 일회적, 일방향적으로 전달 → ICT의 혁신으로 급격한 변화
            *ICT: International communication Technology 언론사의 뉴스보도는 굉장히 주도면밀인터넷 뉴스는 대단히 무계획적이다.
-      서기호 판사 SNS 사건방통위에서 인터넷 뉴스를 규제하겠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개인 트위터로 비판했더니 조선일보 기자가 프레임을 틀어서 좌파판사 낙인
       수용자(receiver / audience)
-      불특정 대다수인 대중을 전제
-      수적으로 대규모성, 다양한 사회적 지위와 배경을 지닌 이질성, 심리적으로 서로 격리되고 상호작용이 결여된 채 서로 잘 알지 못하는 익명성 → 개중
            *개중: 개인 개 무리 중. 수적으로 더 이상 대중이 아니다. 집단으로 위력을 발휘하기도 한다. 뭉치고 흩어지는 수용자의 개념 규정 어떻게 하나.
-      더 이상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메시지 생산에 적극 참여하는 생비자로 전환전문뉴스 매체가 다루지 않은 것들을 취재하거나 만들어 내기도 한다.
-      ex. JOC⋯지역사회에 손해를 끼치는 부도덕한 상행위. 공산당-언론-기업이 결탁중국의 웨이보에서 언론보도에 대해 비판적으로 공론화
→ 친시민. 반기업적으로 언론보도 행태 변화
       효과인터넷으로 인해 전면적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      수용자가 메시지를 받아들이고 나서 일어나는 반응 / 결과 중 송신자가 의도했던 바의 실현(ex. 매스 미디어의 4기능) → 효과이론으로 발전
(
대효과 → 제한적 효과 → 중효과 → 강효과)
       상황
-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나는 시공간적 상황
-      미디어 관련 규범(관행), 법제, 제도(정책), 역사(사조), 철학(윤리, 사상) 등을 포괄
       환류
-      송신자에게 되돌아오는 수용자의 반응(수용자들이 송신자에게 행사하는 영향력)
-      신문투고, 전화, 불매운동(: 시청료거부운동), 안티운동 등의 수용자 주도 환류 / ABC(판매부수공사), 독자여론조사, 시청취율조사 등 송신자 주도 환류로 구분
-      SMCRE모델: E=f(S,M,C,R)⋯라스웰
       저널리즘의 개념급격히 변화
가)     협의: 공적 관심이 걸린 시사문제에 대한 정보를 뉴스로 취재, 편집해 신문, 잡지, 방송, 통신 등 매체를 통해 보도(보고, 분석, 논평, 해설)하는 지적 활동 및 경영 활동
나)     뉴스생산 활동을 전문적으로 양성하는 직업분야 → 인간comm.의 한 형식
다)     광의의 개념
협의의 저널리즘(시사문제에 대한 보도)+매스커뮤니케이션 활동(오락, 광고 등)+언론활동이 일어나는 시공간적 환경(규범, 법제, 제도ㆍ정책, 역사ㆍ사조, 철학ㆍ윤리ㆍ사상)
라)     전통적 학문 분야로서 매스컴과 저널리즘이전에는 구분ㆍ분화돼 왔으나 융합, 통합되는 추세다.
       매스comm. “매스 미디어를 중심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과학적 연구에 집중(효과, 수용자, 매체, 환류 요소에 집중): 사회과학적 전통+계량분석방법 활용
       저널리즘 언론계 차기 종사 인력을 양성하는 실무 교육과 연구에 치중(송신자. 메시지, 상황 / 환경 요소에 집중): 철학ㆍ역사인문학적 전통+질적 분석방법 활용
* 통합돼 가는 경향: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의 상호교차와 침투 (ex. JQ J&MCQ로 개명)
       저널리즘 현상
가)     저널리즘은 사회적 현상
       언론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요인의 산물: 언론에 대한 이해는 그 시대와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언론은 역사의 첫번째 기록자: 언론이 사회를 이해하는 방식은 과거와 현재의 연결성에 대한 사회 일반의 이해를 돕기 때문에 미래에 대한 방향설정에 큰 역할
-      공시성(공동 공, 때 시): 스위스 심리학자 칼 융 같은 시간대에 함께 벌어지는 묘한 상황
-      통시성: 동시간 대에서 가진 특성뿐 아니라 역사적 속성이 있다.
-      저널리즘이 끝나는 시점에서 역사가 시작된다언론은 진실을 다룬다매스컴은 허위의 세계일 수 있으나 저널리즘은 진실이다.
나)     저널리즘 현상의 사회적 특성
       정기성(regularity): 매우 짧은 시간적 간격을 두고 정기적으로 계속해서 발행/방송. 정기성(주기성)은 독자ㆍ수용자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습관을 정착
       복제성(duplication): 종이ㆍ전파ㆍ유선 등 기계적인 방법으로 대량 복제돼 대중에게 전달(=대중성massiveness). ICT의 발전이 전제돼야 한다.
       공시성(publicity): 대다수의 대중에게 같은 내용을 전파. 인구증가, 문자해독률의 증가가 전제 → 공공의 공적인 문제ㆍ공론ㆍ여론의 형성 및 변화와 밀접한 관련
       다양성(diversity): 소수의 특정집단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모든 사람이 관심 가질만한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      불공정성은 기본가치와 거리가 멀다. 하지만 한국언론은 지독한 정파성이 있다.
       기록성(documentation): 매일 매일의 정보를 기록으로 남긴다(=라틴어 jiurna 매일매일 기록하다 → journal 정기간행물). 역사적 사료로 이용
-      communicar. 나누다. 정시성-공시성-기록성. ex. 노근리 집단학살 오랫동안 역사속에 묻혀있다 AP기자가 40년을 기다려 보도
       시의성(=현실성 timeliness)
-      언론은 늘 새로운 것을 추구 →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이나 경향, 의견을 전달
-      비록 과거의 일이라도 현재적 의미가 새롭게 부여된다면 시의성을 지닌 이벤트 / 쟁점으로 충분한 뉴스거리가 된다.
-      시의성은 사건 자체에 내재돼 있는 것이 아니라 수용자들(독자, 시ㆍ청취자)의 의식 속에 새롭게 반향을 불러일으키면서 형성(ex.노근리 사건)
       속보성(quickness): news와 정보는 시간을 다투는 상품이다.
-      17c 보스턴항의 청소년. 정기 교역선에 먼저 헤엄쳐 가서 유럽의 정보를 받아다 통신사에 팔기도독특한 저널리즘의 특성이다.
*저널리즘은 매스미디어와 불가분의 관계: 매스미디어의 발달과 더불어 존재
다)     저널리즘 현상의 고유 특성
       진실추구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는 사실을 바탕으로 공적 사안을 보도” / “사실은 신성하다”⋯무엇보다 사실이 우선이다.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는 사실이 중요
       시민에게 복무 국민의 알권리를 위해 존재 ↔ 국익, 사회적 권익, 자사이익과 상충” / “식견 있는 시민을 양성해서 사회적 숙의를 활성화
→ 더 나은 사회적 의사결정을 유도하고 사회 정의의 발견에 도움 언론은 공적 책임을 위임 받아 성스러운 직업적 책임이 있다
       자율성ㆍ독립성 확보 정치권력, 경제권력, 사회권력 등 제반 대외적, 대내적 압력으로부터 독립해 저널리즘의 원칙에 근거한 활동을 한다.
← 근대적 의미의 저널리즘 정치권력의 후견인 역할을 벗어나면서 태동했다.
       전문성과 윤리성으로 무장
-      전문성: 혹독한 훈련과 교육, 현장체험을 통해 습득
-      윤리성: 사실을 취재, 발굴, 수집하는 일에서 근면성 / 사실을 보고하는 일에서 정직성ㆍ신중성 / 사실의 배경 구조와 근원을 밝히는 일에서 불편부당성
* 인터넷의 황당한 기사들도 사실확인을 해야 하는데수용자의 구미에 맞는 것들만 다루는 공세전략을 펴기도 한다.
* 매스커뮤니케이션과 저널리즘은 중첩적인 부분이 있지만 차이가 있다. 현실이 어떻게 미디어로 재구성되는지 잘 관찰해야 한다.
매스미디어(언론)의 성격과 사회적 기능
       매스 미디어의 성격
가)     인간생활의 범위가 확대되고 상호교류가 활발해지자 많은 정보를 개개인의 힘으로 신속하게 입수하거나 사회에 전파할 수 없게 됨에 따라
개인을 대신해서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해서 개인들에게 전달해 주기 위해서 자연적으로 생겨난 정보의 영업적 보도전달 중개조직
나)     정보원으로부터 정보를 수집ㆍ처리해 지면이나 전파 등을 통해 수용자에게 제공해 그들의 정보추구욕구를 만족시키고 대가로 이윤을 추구하는 경제ㆍ문화적 사회조직
-      이용과 충족 이론사람들은 특정한 매체를 이용하려는 이유와 동기가 다르다.
-      특정 매체에 대한 충성도와 관심이 생기고 구매의도 즉, 시청의도는 높은 수익으로 이어진다.
다)     매스 미디어의 성격에 대한 세 가지 견해: 영리성을 지닌 경제적 기업조직, 공공성을 지닌 문화적정치적 조직, 공익봉사제도
 언론활동은 정치ㆍ경제ㆍ사회 시스템과 상호작용한다. 만약 정보가 없다면 생활이 어떻게 진행될까평소에 너무 익숙하게 다가왔던 언론이 없어진다면 불안하고 사태파악이 안될 것이다. 일주일 간 미국에서 신문이 없었던 적이 있었다. 이틀은 문제가 없었지만 사람들의 마음이 불안해졌다. 많은 정보를 혼자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공적 생활에 꼭 필요한 사회적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미디어다.
       매스미디어 조직의 성격
특정 부류의 사람들에게 팔리는 것보다 모든 사람에게 공유될 수 있는 정보를 중심으로 경영되는 조직언론의 규범이론은 당시의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지성인들이 규정한 것이다. 언론의 자유는 시장의 핵심이다. 저널리즘이 균형을 맞춰야 하는데 대기업이 점점 중소기업을 잠식하는 상황그래서 사회적 책임이론이 대두됐다.
가)     사기업 조직으로 보는 견해언론의 자유주의 이론에 입각하여 매스 미디어를 경영성을 띤 사기업조직으로 규정
       자유주의 언론이론
-      사상의 공개시장 + 사상의 사회적 자정작용
-      사회의 다양한 견해와 의견을 표현하고 반영할 수 있는 충분한 수의 매스 미디어가 존재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므로 언론의 자유는 민주주의의 기초
-      언론의 자유를 사회적으로 보장: 원하는 사람은 모두 매스 미디어를 소유운영하는데 사회적 장애가 없어야 하며, 매스 미디어는 정부나 다른 모든 사회집단으로부터 독립해 있어야 한다.
       뉴스나 정보는 일종의 재화(상품, 서비스)로서 인간은 어떠한 종류의 재화라도 시장에서 교환하여 이윤을 취득할 수 있으므로 매스 미디어가 영리성을 띤 기업으로 자유롭게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현의 자유와 기업의 자유가 대원칙: 근대언론은 역사적으로 자본주의와 민권사상의 산물
나)     문화적정치적 활동조직으로 보는 견해언론의 권위주의 또는 공산주의 이론에 입각하여 매스 미디어를 문화적 또는 정치적 활동을 하는 조직체로 규정
(
언론을 국가조직의 일부로 간주) → 언론의 발전이론으로 계승
-      문화적⋯ “일제는 식민지 신문에 정치적 활동에서 손을 떼라는 명령을 했고 레닌도 언론은 집단적 선전가이자 조작가라는 주장을 폈다.
-      사기업도 아니고 표면적으로는 공익을 추구하지만 이면에는 정치적 목적이 있어 국가의 개입과 통제를 존중하는 입장이다.
       문화적 활동조직
-      미디어의 사적소유를 인정하지만 국가가 허가제, 사전검열, 보도 후 처벌 등을 통해 통제 
-      국가권력의 부정적 통제(negative control)를 중시: 국가/정부가 미디어에게무엇 무엇을 하지 말 것(what the media should not do)을 지시하고 결정하는 통제방식
       정부의 제4부론(행정ㆍ입법ㆍ사법ㆍ언론)⋯미디어의 사적소유를 불인정하며, 언론조직은 정부/국가권력에 의해 소유운영소비에트 공산주의의 경우
-      국가권력의 권유적 통제(affirmative control)를 중시: 국가/정부가 미디어에게무엇 무엇을 해야 된다(what the media should do)를 지시하고 결정하는 통제방식
(
통제에 따르지 않으면 지원을 하지 않거나 경제적 혜택 중단)⋯긍정적 통제는 장려, 지원 등
-      레닌의집단적 선전가집단적 선동가집단적 조직가론’(What is to be done, 1905) → 인민의 사회주의 사상을 고취하고 이들을 사회주의 건설의 일선에 동원함으로써 사회주의 건설과 질서를 강화하는데 미디어가 책임; 국가 근대화와 발전에 미디어가 동참해 시민들을 적극 계도하고 동원해야 함(발전이론)
            언론이 인민을 교육ㆍ선동ㆍ선전해야 한다” *선동: 정서적 자극 *선전은 교육과 연관
다)     공익봉사제도로 보는 견해
       언론의 사회책임 이론에 입각하여 매스 미디어를 공익봉사제도로 규정
       언론의 자유주의 이론이 지닌 단점을 보완
-      언론자유에 대한 강조는 언론의 사회적 책무(accountability공익에 봉사)를 방기하는 결과
-      언론의 소유독점 강화, 소수 상위지배층의 사회여론 독점과 지배, 상업주의 팽배, 일반서민의 언론접근 제한
-      언론이 향유하는 자유만큼이나 사회적 책무에도 충실할 것을 요구하고 이의 실현을 공중이 제도적으로 감시
       공영방송제의 태동, 전문인주의와 언론인 윤리 확립, 자율통제제도(옴부즈만, 윤리강령 등)의 강조
       매스 미디어의 (사회적) 기능: C. 라이트(C. Wright)
가)     사회적 환경 감시(surveillance)⋯필요 정보, 규범 정보 제공: 뉴스, 교통정보, 기상예보, 주식시세, 범죄보도, 추세보도
나)     상관조정(correlation)⋯사태의 의미를 분석, 해설해서 여론을 형성: 논설(사설), 칼럼, 분석/해설, 논평
다)     문화적 가치 전승(cultural transmission)⋯사회 규범, 가치관, 전통의식 고취 및 세대 간 전달: 다큐멘터리, 교육 프로그램, 캠페인
라)     오락(entertainment)⋯즐거움과 휴식 제공을 통한 재충전, 대중문화의 발양: 드라마·예능 등 오락스포츠 프로그램, 각종 문화행사
마)     동원(mobilization)⋯사회의 인적, 물적, 정신적 자원을 취합해서 합목적적으로 활용: 각종 캠페인, 모금운동
-      23세계 언론의 역할 발전comm. 관점에서 사회적 접착제의 역할을 함” ⋯미디어가 동시상황에서는 영향을 주고받는다.

구 분
순기능
역기능
환경감시
정보공유, 지식제공
정보미공개(보도회피) → 유언비어
과잉보도 → 마취효과, 사회불안
상관조정
공론권 형성, 사회합의
(여론 형성과 변화)
공론권 왜곡, 여론분열과 갈등
정치적 불안
문화적 가치 전승
사회화 기제
사회규범과 질서 유지
문화적 정체성 계승
개인ㆍ사회ㆍ국가 권익과 갈등
- 미풍양속 저해(음란, 외설)
- 상징적 소멸, 개인권 침해
오락
휴식과 재생산
사회적 안정
경제적 수익창출
상업주의(시ㆍ청취율/판매부수 경쟁)
선정성(폭력성, 성애)
대중문화의 다양성 저해, 우민화(3S)
동원
사회통합
자원 결집을 통한 사회발전
선전, 이데올로기적 세뇌
사회통제, 여론몰이
언론의 규범이론(Normative Theory)
D. 맥퀘일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자유사회의 미디어는 긍정적인 가치가 있는 목적을 수행할 의무가 특별히 있나? 없다. 헌법상 강제 의무는 없다. 다만 사회의 전통ㆍ관습에 의한 규범이 존재할 뿐이다. 미디어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사회적 주체, 수용자 반응의 상호작용 속에서 언론 규범이 마련됐다. 미디어와 공익은 뗄 수 없는 관계다. 공익은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주는 것인데 미디어 시장에서는 다수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것과 같은 것이다. 자유주의 모델 이전에는 권위주의가 있었다. 권위주의 하에서는 왕이 하는 것에 대해서는 보도할 수 없다. 왕의 통치행위는 보도대상이 아니었다. 많은 출판자들이 도전하고 처형당하는 것을 반복했고 사전ㆍ사후검열이 계속 됐다. 정치가 언론의 상위에 위치해 언론은 정치 행위의 보조수단이었다.
권위주의 사회 이후 민주주의 사회가 형성되면서 삼권분립이 이뤄지고 왕의 통치행위에 대한 이적행위라는 생각이 점점 약화됐다. 존 밀턴의 아레오빠지티카를 바탕으로 사상의 자정작용ㆍ사상의 공개시장이 중요해졌다. 대중도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으며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방임해야 한다는 주의가 출현했다. 그것이 바로 자유주의 이론이다. 사상의 시장에 비록 진실이 아닌 내용이 있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진실에 가까운 생각만 살아남는 자정작용을 믿었다. 사전ㆍ사후 검열이 있으면 영원히 진실과는 반대되는 이야기만 남는다. 근대 시민계급의 중추를 이룬 기본적 행위와도 일맥상통한다.
언론의 자유만큼 사회적 책임이 중요하다는 사회적 책임이론은 양차대전이 끝나고 1950년 언론의 자유와 기업의 자유를 주창하면서 등장했다. 시버트는 정부가 자유시장에 다양하게 개입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데 공익이라는 개념을 사용했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자유를 고양, 시민의 자유를 위한 조치를 하는 공익적 측면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무언가로부터의 자유에서 무언가를 위한 자유로 미디어의 사회적 의무와 자기 조정력을 강조했다. 아주 특정한 상황에서 공익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가 개입할 필요가 있다는 여지를 열어뒀다.
발전이론은 동남아ㆍ중동ㆍ남미 등 식민지 경험이 있는 제3세계 국가가 국가 발전을 핵심 목표로 운영됐던 언론을 말한다. 언론뿐 아니라 모든 국가의 총 역량이 집결되도록 국가 시스템이 운영됐다. 냉전 이후 제3세계 개념이 모호해지면서 흐지부지 됐다.
공산주의 이론은 사회주의 사상 하에서 몇몇 국가만 유지하고 있는 언론 이론이다.
       권위주의 이론절대왕정체제 하의 언론이론으로 등장. 국가권위에 언론의 자유(저널리스트의 자율성, 언론기관의 자율성)는 종속. 명백하게 규정된 공식적인 지침에 반하는 언론활동에 대한 사전검열(censorship)과 처벌(punishment)은 정당: 사전발행허가제, 언론활동에 대한 직접적 통제, 행동강령, 조세 및 경제제재, 외국 언론의 수입통제, 정부의 언론인 임명권, 출판정지 등현대사회에서는 독재국가, 종교적 율법국가 등에서 관찰. 그러나 꼭 정치적으로 전제 또는 독재국가가 아닐지라도 그 사안에 따라서(: 전시, 위기 등) 또는 매체에 따라서(: 신문 vs. 방송) 권위주의적 요소가 그 사회의 미디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사례 허다
가)     이론의 핵심 명제
       기존 권위나 질서를 위협할 소지가 있는 언론행위는 허용되지 않는다
       미디어는 기존 권위에 절대 복종
       미디어는 대다수의, 지배적인 사회적 도덕 가치를 위배하거나 공격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원칙이 위협받을 시 사전검열이 정당화
       권위에 대한 공격, 공식정책에 대한 반발, 도덕적 규범에 대한 공격은 범죄로 처벌
       저널리스트와 미디어 전문가는 미디어조직 내에서 자율성을 가지지 못한다
       자유주의 이론17세기 절대왕정 하의 공식 통제에서 근대적 인쇄매체가 출현하던 시기에 형성. 기본원칙은 자유주의 사상, 자유민주주의국가 사상과 일치: 국가에 대한 개인의 우월성, 이성, 진실과 진보, 자유의지와 주권에 대한 신념을 강조. 사상의 자유시장과 자정능력 옹호: 소위 말하는 나쁜 사상(불온사상)이란 권력과 억압에 의해 통제되거나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대안적인 사고가 자유롭게 노출되고 경쟁하는사상의 자유시장에서 제한 없이 교류됨으로써 그 폐해가 자연스레 밝혀지며, 이러한 폐해에 대해 개인들의 이성적 선택에 따른사회적 자정작용이 발휘된 결과 진실에 더 가까운 사상만 살아남기 마련. 따라서언론의 자유는 자유롭고 이성적인 사회를 구성하는 본질적인 요소
  국가와 개인의 관계에서 역전된 것이다.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강조해 공동체가 소외됐다. 개인주의와 자유주의를 동일시하면 안 된다. 마찬가지로 권위주의와 공동체주의를 동일시해도 안 된다.
가)     핵심명제미 수정헌법 제1: “미 의회는 출판 및 표현의 자유를 축소시키는 어떠한 법률도 제정할 수 없다
-      우리나라에서는 도색잡지라고 불리는 잡지들이 개인의 표현의 자유라는 이유로 미국에서는 출간된다.
나)     어떤 시대, 국가도 완전한 언론의 자유를 보장한 사례는 전무사회적 책임, 민주적 참여이론이 제기되는 이유는 자유주의 이론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함이다. 911 이후 미국에서는 애국주의 고취와 함께 언론 스스로 검열을 했고, 국가는 그런 언론을 포섭했다.
       개인, 집단, 소수파의 자유, 국가의 안전보장은 언론의 자유와 항상 갈등을 유발
       언론의 자유를 언론사의 소유의 자유(사적 재산권), 시장에서 방해 받지 않는 언론기업활동의 자유로 해석하여 많은 문제 야기
-      편집권 침해, 언론시장독점화 등은 언론(言路)의 사회적 다양성을 침해할 소지
            선진국의 엘리트 신문은 경영-편집권이 분리돼 있다. 우리나라는 거의 유착돼 있다. -미는 정치적 격변이 다르기 때문에 배경 자체가 다르다.
다)     이론의 핵심 명제
       출판, 언론은 제3자에 의한 어떤 사전검열로부터도 자유로워야
       출판 및 배포는 사전허가 없이 누구나 할 수 있어야
       정부, 관리 및 정당에 대한 언론의 비판은 사후에라도 처벌받지 않아야
       출판행위에 강제가 작용해서는 안 된다
       의견, 신념의 문제에서실수를 출판하는 일은 진실을 출판하는 일만큼 보호받아야
       출판을 위한 정보수집에 법적 수단에 의한 어떤 제약도 가해져서는 안 된다
       국경을 넘어 메시지를 교환하는데 어떤 제약이 가해져서도 안 된다
       저널리스트는 조직 내에서 직업적전문적인 자율성을 주장할 수 있어야사기업 조직으로 보는 견해의 핵심
       사회적 책임 이론
가)     자유주의 이론이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지도, 사회에 이로움을 주지도 못하고 있다는 우려에서 태동(기업의 자유로 변질되는 상황에 대한 각성)
       언론의 기술적/상업적 발전(: 상업방송)이 개인이나 다양한 사회집단이 언론에 접근하는 기회를 오히려 앗아갈 뿐 아니라 사회에서 필요한 정보적, 사회적, 도덕적 요구를 만족시켜 줄만한 기준에 부합하는 활동을 하지 못한다
       소수에 집중되는 언론의 권력화는 이를 규제할 수 있는 사회적인 공적통제시스템(장치)을 요구한다
accountability⋯사회적 논쟁이 있을 때 A, B를 부각시키더라도 C라는 의견에 대해 설명할 의무가 있다. 신문은 예전부터 정파성이 있었다. 국민 모두의 재산인 전파를 통해 전달되는 방송은 보편적으로 많은 사람이 접한다. 하지만 자유롭게 뒀더니 시장실패가 생기고 사회 유지에 기여하는 방향으로만 언론행위를 하더라. 언론은 공중의 알 권리와 언론의 자유를 유지하면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due impartiality⋯적절한 불편부당성 공정성이란 단순한 균형이 아니다. 사회정의에 대한 논란 속에서 동등하고 균형 있게 양까지 조절하는 것은 기계적 공정성이다. 70:30%로 보도하더라도 30% B의 의견이 들어있으면 논란이 덜 할 수도 있다. 약자에게 사회적 지원의 혜택을 줘야 한다. 방송에 종사하는 사람은 모두를 대변할 수 있는 사람들로 구성해야 한다. 그런데 인적 구성이 불공정한 상태다. 보도하는 내용의 의견 다양성도 적절하게 균형을 맞춰야 한다.
가)     매스 미디어는 사회의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사회제도로 그 자유만큼이나 요구되는 책임을 지녀야 한다
       민주적 정치과정에 참여, 문화 활동에 참여
       다양한 정보와 시각을 제공
       미디어의 독립성을 유지미디어의 소유와 통제는 사적 특권이 아니라 공적인 봉사(public stewardship)⋯옴부즈만외부의 전문가(시청자 위원회)
나)     개인의 자유, 미디어의 자유, 사회적 의무라는 다소 상이한 원칙을 융화시킬 것을 요구
       미디어, 특히 방송 운영을 위한 공적이고 독립적인 제도의 발전과,
       미디어 종사자의 자율규제를 강화하고, 정보제공의 질을 향상시키는 고품위 기준을 달성할 수 있는 전문주의(professionalism)의 발전을 통해서
-      공적인 방식의 영향력이 정당할 수 있다. 일본 국회는 NHK의 예산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바람직한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고 시장의 압력(시장실패)을 제한하기 위해서 법적, 재정적 개입이 가능
(국가, 정치권력에 의한 언론규제는 철저히 배제해야, 국가는 오히려 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보호, 지원하는 정책을 펴야)
-      윤리강령, 언론의 자유보호조치, 광고규제, 반독점규제법, 언론위원회(에 의한 정기적인 언론감시), 의회에 의한 감사, 체계적인 언론지원과 보조공익봉사
다)     이론의 핵심 명제
       미디어는 요구되는 사회적 책무를 다해야
       사회적 책무는 정보제공, 진실성, 정확성, 객관성, 균형성 등의 가치를 지킬 수 있는 직업-전문적 기준에 부합해야
       정해진 법적, 제도적 환경 하에서 자율규제를 바탕으로 사회적 책임을 수행해야
       범죄, 폭력, 질서와해, 소수집단에 대한 공격을 피해야
       미디어는 다원적인 자세를 견지해야 하며, 그 사회의 미디어 시스템은 사회의 다양성을 충분히 반영하도록 편제되어야
       사회의 다양한 시각(목소리)이 미디어에 접근(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할뿐 아니라 그들의 반론권도 충분히 보장해야
       사회와 공중은 미디어에 높은 수준의 프로그램을 요구할 권리가 있으며, 공공재(public goods)의 보장을 위해 사회는 정당한 방식으로 언론에 개입할 수 있어야
       미디어 종사자는 사회, 고용자, 시장 모두에 책임을 지녀야
  BBC 블레어 기자 이라크에 대량살상무기가 없다는 보도를 했다정치적 혼란과 함께 진상조사를 실시해보니 언론인으로서 기본적으로 해야 하는 일을 하지 않았더라정보원은 자살해버리고⋯shiel Law가 제정됐다. 취재원의 익명성은 인정하나 과정 자체는 투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소비에트(공산주의) 이론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이론 정립: 맑스-레닌주의 언론이론 초기 맑스는 자유주의적 성격이 강했다. 언론에 대한 단상이 많았는데 레닌이 사회주의 강화
  북한의 언론이론은 김정일이 완성했다. 분명한 것은 문화예술과 언론에 관심이 많았다는 것이다. 신문학 이론을 펴냈는데 시기가 지나고 주체사상이 정립되면서 북한 수령영도체제에 맞도록 언론 활동이 규정됐다. 사회 구성은 부르주아-생산수단과 물질을 가진-집단과 무산계급으로 나뉘어 있다. 무산계급이 착취당하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도록 미디어와 교육을 통해 정신을 개조한다. 자본주의의 지배세력의 정신을 무산계급에게 허위의식으로 심어 인간에 의한 인간의 지배를 끝내야 한다는 것이 사회주의다. 과도기에서의 정치적 시스템은 당이 장악해야 하고 당원이 언론인이 돼 역사가 소멸하는 단계의 파괴력을 둔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가)     이론의 개요
       사회주의 국가에서 권력은 노동계급(인민)의 손에 있으므로, 이 권력을 유지시키기 위해정신적 생산수단’(means of mental production)을 통제해야
노동계급의 대표자인 공산당이 모든 미디어를 통제하는 일이 정당화
       사회주의 국가는 무계급 사회이므로 계급투쟁이 없는 사회. 따라서 언론은 정치적 노선갈등과 무관한 방식으로 조직화되어야 하며, 그것은 사회주의 국가노선의 기본원칙에 충실한 방향으로 언론활동을 전개함을 의미
       사회주의 국가건설 및 공산주의운동을 위해 언론은 긍정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인민의 사회화, 계획된 사회적경제적 목표달성을 위한 간접적인 사회통제와 노력동원에 미디어가 앞장서야언론은 사회주의적 사회변화 기능을 수행(언론에 대한 국가의 긍정적 통제affirmative control를 처음으로 명시)
       맑스-레닌주의가 설명하는 역사발전의 객관적 법칙, 객관적 현실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뉴스가치가 결정되어야(: 체르노빌 원전사건의 보도금지가 정당화)
       소비에트 국가이론에 따라 미디어는 국가기구의 일부로서 인민의 정치적 생활도구여야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자의 참여가 보장(: 편집자에게 보내는 편지 등)
       국가에 반하는 미디어의 공격이나 비판에 대한 검열과 처벌은 정당(권위주의 이론의 전통) → 기존의 사회질서 옹호
나)     이론의 핵심 명제
       미디어는 노동계급의 이해에 봉사해야 하고, 그들의 통제를 받아야
       미디어의 사적 소유 금지
       미디어는 사회를 위해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해야: 인민의 사회화, 교육, 정보제공, 동기부여, 동원 등
       사회를 위한 책무 범위에서 수용자의 요구에 부응해야
       반사회주의적 출판행위에 대해 사회는 검열과 법적 제재의 권리가 있다
       미디어는 맑스-레닌주의에 입각해, 총체적이고 객관적인 사회상, 세계관 등을 제시해야
       언론인은 사회의 최적 이해와 일치하는 삶의 목표와 가치를 소유하여 책임 있는 전문가가 되어야
       미디어는 국내외의 진보운동을 지원해야
       발전 이론기존의 권위ㆍ자유ㆍ공산ㆍ사회적 책임으로 설명할 수 없는개인의 자유를 유보하고 국가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발전이론의 핵심
가)     기존의 4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제3세계 국가군의 역사적 경험, 사회적 환경이라는 특수성에서 비롯
       선진국 사회에 보편적인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결여: 커뮤니케이션 인프라구조전문기술생산/문화적 자원의 빈곤, 수용자 규모의 왜소 등
       기술, 경제, 군사 등 여러 측면에서 선진국에 종속상태정치적으로는 독립했지만 경제적으로는 발전하지 못한 상태
       일차적 국가목표인 국가발전에 동참해야 할 제반 사회적 제도의 정비가 요구언론도 그 일부 사회적 접착제의 역할! 시민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국제정치 환경에서 제3세계 국가가 차지하는 주변적 위치와 정체성에 대한 자각
가)     국가발전, 사회적 자율성 확보와 문화적 정체성( 종속)의 정립을 위한 매스 미디어를 도구로 사회적 이용에 초점
       국가의 경제적 발전(민족국가 건설, 근대화)이라는 사회변화에 미디어가 기여해야 하며, 이 목표를 위해 미디어나 미디어 종사자의 (개인적) 자유는
사회적 책무를 위해 제한당할 수 있으며, 개인적 자유보다는 집단적 목표가 우선시
       국가정책에 어긋나지 않는 한에서 민주적이며 민초에 의한 언론 참여가 용인동기부여에 기여하므로
나)     이론의 핵심 명제
       국가정책에 준하는 방식으로 미디어는 발전 과업에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경제발전 우선, 사회의 발전 요구라는 사회적 필요로 인해 언론의 자유를 유보 가능
       미디어는 내용을 다룰 때 자국의 문화와 언어에 우선권을 두어야
       미디어는 지리적, 문화적, 정치적으로 밀접한 다른 개발도상국(3세계권)과 관련된 정보와 뉴스제공에 우선권을 두어야→“발전뉴스(development news)”
       미디어 종사자, 언론인은 정보의 수집과 사회 유포 시 자유뿐만 아니라 그 사회적 영향성을 고려한 책임도 져야
       국가발전이라는 목표달성 과정에서, 국가는 미디어 운영에 개입하거나 제약을 가할 권리가 있으며 검열, 보조(지원), 직접 통제 등 다양한 국가개입이 정당화
  자본주의 언론에 대한 비판알티세(프랑스) ISA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종교, 교육, 미디어, 예술) / RSA 억압적 국가기구(군대, 감옥, 경찰, 국정원 등) 이 둘은 현실사회질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라며 현대자본주의 사회 언론을 비판했다. 발전이론의 당면목표는 선진국처럼 발전하기 위해서는 언론이 사회적 접착제의 역할을 하면서 중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민주적 참여 이론자유민주주의 선진국가들이 발전이론의 장점 받아들이되, 사회의 수직적 커뮤니케이션 보다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려는 방편으로 강조하는 이론
자유주의 이론의 폐해(사적 소유 미디어의 상업주의, 독점화 등)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 이론의 폐해(공영방송구조의 중앙집중화, 관료주의화, 방만한 경영 등)에 대한 반발 반영
사회를 구성하는적극적인수용자 대중의 요구와 필요, 이해관계, 열망을 반영하는 미디어 체계 구축에 초점
가)     알권리와 반론권을 보장하며, 지역공동체 수준, 이익집단 또는 하위문화층 등 작은 규모로 전개되는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수단을 보장
       획일적, 중앙집권적, 고비용, 과도전문화, 무비판적, 국가 통제적인 미디어 체계를 거부
       다양한 사회계층 성원의 자유로운 접근과 참여 강조
       지역성을 강조
       소규모로 운영되어 과도한 제도화를 억제
       수용자들이 정보의 생산과 배포에 직접 관여하고 통제
       쌍방향적 정보유통을 통해 사회의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미디어 체계를 선호하고 지향
나)     지하언론(underground press), 개인적 라디오(private radio), 지역 케이블 TV, 독립언론과 출판(samizdat), 거리신문(street sheets), 농촌지역의 소미디어(micro-media)→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로 활성화(인터넷이 상당히 기여
다)     참여 커뮤니케이션(participatory communication): 80년대 중반이후 발전 커뮤니케이션의 한 모델로 부각되어 지역사회 재개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적용
라)     우리나라에서 활발한 인터넷 언론(: 오마이뉴스 등)의 민주참여이론 적용 가능성?? 
마)     이론의 핵심 명제
       시민 개인, 소수집단은 사회적 미디어에 접근할 권리(right to communicate)를 지니며, 그들 스스로 결정과 필요에 따라 미디어에 의해 봉사 받을 권리가 있다
       미디어의 조직과 내용은 중앙집권화된 정치권력이나 관료주의적 통제를 받지 않아야
       미디어는 광고주와 같은 계층이 아니라 미디어 조직 자체나 전문가 혹은 그 수용자를 위해 존재해야
       집단, 조직, 지역공동체는 자신들만의 미디어를 가질 수 있어야  
       소규모, 상호작용적, 시민 참여적 언론형태가 대규모, 일방향적, 전문가에 의존하여 운영되는 미디어 형태보다 우월
       사회적 공공 커뮤니케이션은 너무 중요해 전문가의 손에만 맡겨두기 곤란

       규범이론의 역사적 흐름










규범적 미디어 이론: 네 가지 모델

자유주의 모델
사회책임 모델
전문직 모델
대안미디어 모델
전통적 자유언론 이론
개인의 요구, 공익은 공중
사상의 자유시장 중요
최소한의 자율규제
출판 자유 권리 사회책임
책임 있는 미디어 자율규제
정부 개입 전적 배제 X
공공서비스 방송
사회를 위한 역할선택
언론이 스스로 행하는 일
다양한 관점 표현 플랫폼
권력에 대한 적절한 감시를
위해 전문직으로 자율성
소규모 운영, 민중 중심
참여, 공동체, 제작자 수용자
모두 공유하는 목표
하위문화의 가치 강조
상호주관적 이해 촉진
뉴스와 기자를 바라보는 관점
이민웅(2002). 좋은 뉴스의 으뜸가는 조건으로서 진실보도: 사실, 사회적 구성, 진실보도, 재귀성. <언론과 사회> 10 3, pp.9~51.
G. 터크만 『메이킹 뉴스』
       배경지식서양 철학의 근본 주제

유물론 계통(사회주의)
관념론(임마누엘 칸트의 ideology) 계통
존재론
존재의 본질은 무엇인가
실재론
인간의 의지와 무관하게 외계의 실재가 객관적으로 존재한다.
유명론
인간의 주간이 개입돼 이름을 부르자 존재한다.
인식론
내가 안다는 것을 어떻게
이야기해야 하는가
실증주의
객관세계에 존재 → 과학적ㆍ객관적 증명
구성주의
사회는 현실을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한다.
가치론 → 실천론 / 방법론
무엇이 가치 있는 삶인가
행동하는 삶?
법칙정립적 설명
의지와 무관하게 사회질서를 규정하는 법칙이 존재한다외계의 존재하던 법칙을 발견하는 것이 지식이다.
개성기술적 설명 → 민족지와 유사
모든 대상을 설명하는 법칙은 없다. 또 하나의 구성물일 뿐이다. 시스템 속에 직접 들어가서 성원들의 표현으로 이해해내는 것이 법칙보다 중요하다. 계 속의 문화집단 개별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론
결정론
인간의 활동은 다 결정돼 있는 것이 아니다. 시스템 속의 분명한 활동 원인이 있다가 아니고 인간의 행동과 사고를 결정하는 것이 있다는 생각
자유의지론
인간의 의지에 따라 삶의 방식이 달라진다.
       뉴스에 대한 두 가지 입장: 현실반영론 vs 현실구성론① 존재론인식론실천론(방법론/제작론)에 대한 철학적 입장 차이와 연관
가)     현실 반영론: 뉴스보도는 사회현실의 객관적 반영(objective reflection of reality)⋯통념
       존재론: 실재론적 입장(realism)⋯대상세계(=현실)는 의식 또는 의식의 개입과 무관하게 객관적으로 존재뉴스대상에 기자의 관점이 개입하지 않는다.
       인식론: 실증주의적 입장(positivism)⋯객관적 사실의 확인(=관찰과 실증)에 근거한 진리주장()의 증명을 지지퍼즐 맞추기, 실체적 진실 찾기
       방법론: 법칙정립적 접근(nomothetic)⋯사건의 원인과 이유를 연관지어 사실관계를 확인한다.
-      현상(사실의 관계)에서 일정한 규칙성법칙성 혹은 인과관계를 찾아 이를 이론화(지식화)⋯뉴스생산에 그대로 적용된다.
-      (사실관계의) 지식(진리/진실)은 발견(discovery)을 통해 획득할 때 가치 있음
-      참된 지식의 성격은 불확실성(애매함)을 제거한 뒤의 명료한 것
*사실관계를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드러내는 뉴스가 진실보도
*사회현실이 곧 뉴스가 되며, 뉴스란 사회현실의 객관적 축소판: “사회현실뉴스로 반영(reflection)
*사회적 현실의 객관적 반영(=거울)으로서 뉴스는 고도로 훈련을 받은 저널리스트가 직업전문주의(professionalism)를 발휘함으로써 생산 가능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초래되는 심각한 현실 왜곡에 비판적직업전문주의자는 시장과 저널리즘 사이의 균형을 잡아주는 것이다.
* ‘뉴스의 사회학에 대한 함의: 뉴스의 현실 왜곡에 다양한 결정 요인이 작용
특정 요인으로 뉴스가 생산되지만 왜곡될 수도 있다. 1930년대 현실반영론의 주장은 실효성을 다 잃었다.
나)     현실구성론: 뉴스보도 자체가 사회현실을 재구성(social (re-)construction of realities)⋯재귀주의.
       존재론: 유명론적 입장(nominalism)
-      대상세계(=현실)는 인간의 의식을 거쳐야 비로소 존재
-      칸트 그렇지 않은 존재(物自體Ding an Sich=thing as itself)는 비록 존재할지언정 무의미: 인간의 인식과정을 거쳐야 사물은 의미 있는 존재로 다가옴
-      인간은 대상세계에 이름을 붙이는 방식(=정의하고 해석)으로 현실의 존재성을 규정(define & interpret)
-      이름을 붙인다는 것은 비교를 통해 분류하고 차별화 한다는 것, 서로 구분됨으로써 나름의 의미가 드러난다는 뜻분류(구체)와 통합(추상)
       인식론: 반실증주의적 입장(anti-positivism)⇒ 구성주의적 입장(constructionism)
-      사실의 확인(진리) 여부는 인간의 인지구조를 거치지 않고서는 불가능특정한 시각 특정한 틀을 가지고 해석.
-      인간은 항상 특정한지각의 틀’(cognitive frame)을 가지고 사실을 인식
-      인간이 바라보는 방식(해석)에 따라 사실을 다르게 규정: ‘복수의 현실존재따라서 뉴스도 복수다. 민주주의 사회의 바람직한 성격이지
-      존재는 해석되고 의미화 돼야 가치 있음현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드러내야 뉴스다.
       방법론: 개성기술적 접근(ideographic)
-      고유하게(다르게) 존재한다는 것을 밝히는 일이 곧 의미 있는 존재성의 규명 
-      현상에서 발견된다는 일정한 규칙성법칙성도 하나의 체계적인 인식틀 또는 이름붙이기(차이, 분류)에 근거해 구성된 지식에 불과: 현실 반영론적 방법론 비판
-      지식은 특정 사회문화적 집단의 일상생활에 참여하는 경험을 통해 새로움(curiosity: 나의 사회문화권/생활영역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것)에 직면했을 때 그 집단성원들이 부여한 의미를 이해(Verstehenunderstanding)함으로써 획득 가능하고
-      지식(진리/진실)은 이해(understanding)를 통해 획득해야 가치 있음 
-      참된 지식의 성격은 새로운 의미(해석=interpretation)를 지닌 것
-      진실은 여러 가지 방식(형태)으로 존재할 수 있어: 해석과 의미의 다양화(polysemy: 다의성)⋯다양한 견해 그 자체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입장을 충분히 경청할 수 있어야 한다. 미디어는 공정해야 한다. 수기 과정을 통해 진실에 가깝고 사회적으로 받아들일만한 뉴스를 생산해야 한다)
*“보도대상(사건, 이슈, 인물)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해서 어떤의미를 지닌 이야기로 전달하는 것이 곧 뉴스
*기자/언론이 어떤 뉴스틀/해석틀(news frame/interpretive framework)을 통해 사회현실을 바라보고 인식하느냐에 따라 동일한 현실(사건/이슈)도 제각기 다른 뉴스 현실(media realities)로 재구성. 이 구성된 뉴스가 사회현실에 특정 의미를 부여하고 해석거리를 제공함으로써 사회현실을 구성하는 새로운 요소(=지식/이데올로기)로 탈바꿈하여 사람들의 생활에 다시 영향을 미침: “뉴스 → (의미 있는) 사회현실로 재귀 → “재귀적 구성주의”⋯뉴스 그 자체가 사회현실의 한 부분이다.
*뉴스가 재귀하여 새롭게 사회현실의 한 부분이 되므로, 누구의 시각에서 무엇을 목적으로 뉴스를 생산하는가가 중요한 문제이며, 뉴스가 현실 질서(status quo)
옹호하는 지배 이데올로기로 작용하는 것에 비판적진실보도의 당위성이 제기
*뉴스의 사회학에 대한 함의: 현실구성으로서 뉴스제작 과정은 물론 뉴스의 이데올로기적 작용 과정에 다양한 결정 요인이 작용  
       기자에 대한 세 가지 입장: 뉴스의 중계자 지배 이데올로기 조직에 복무하는 자인간(인간본성)을 바라보는 철학적 입장 차이와 연관 
가)     기자란 뉴스(객관적 사실)의 중계자(단순한 pipe⋯중재자/단순 전달자)⋯결정주의적 관점
       인간론: 자유의지론적 입장(free will; voluntarism) “인간은 자신의 의지에 따라 자유롭게 사고하고 행동하는 존재”⋯자유주의 언론이론의 맥락
*기자는 전문직업적 가치(professional values)에 기초해서 뉴스 의사결정(=게이트키핑)⋯News decision making⋯개인
*Gans: “뉴스란 기자에 의해 정보원의 정보가 수용자에게 전해지는 것. 기자는 (자신의 자율적전문적 판단에 따라) 수용자에게 적절한 형태로 정보원의 정보를 요약 전달
나)     기자란 지배이데올로기에 복무하는 자
       인간론: 결정론적 입장(determinism)
-      인간은 본질적으로 외부의 구조적 힘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판단과 행위가 제한되는 존재
-      권위주의 언론이론/공산주의 언론이론의 맥락
*기자의 뉴스 의사결정은 자신의 자율적 판단에 따르기보다 (문화ㆍ사회적 구조)지배이데올로기에 의해 영향
*Curran : “미디어 전문가가 전적으로 뉴스생산의 전 과정을 통제할 수 없으며 이념, 가치, 신념 등에 의해 지배적으로 결정되는 의미를 담은 메시지를 생산 전달
       기자란 조직의 필요와 요구에 복무하는 자절충주의적 관점
       인간론: 결정론적 입장(determinism) + 자유의지론적 입장(free will)
-      인간은 본질적으로 외부의 구조적 힘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자율성(판단과 행위)이 제한되는 존재이지만 한편으로규칙(rule)”규범(norm)”
자율적으로 생성하고 따른다는 의미에서 자유의지론적 존재이기도 함 
-      언론의 사회적 책임이론의 맥락
*기자의 뉴스의사결정은 자신의 자율적 판단에 따르기도 하지만 더욱 직접적으로 자신이 몸담고 있는 미디어 조직의 필요나 요구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뉴스 의사결정기자활동은 저널리스트가 소속된 조직의 관행(=media routines)을 내면화하고 충실하게 이행하는 가운데 전개
*Epstein: “뉴스란 경쟁세계에서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요구를 충족시키려는 미디어 조직의 산물이며, 기자들의 뉴스의사결정은 이러한 조직의 요구에 (미디어 관행을 규칙과 규범처럼 따르고 적용해서) 부응한 결과
게이트키핑
Shoemaker, p. (1990). gatekeeping. Sage.
       K. Lewin의 회로이론(channel theory)에 기초
하나의 식품이 그 생산지를 출발해서 가정의 식탁에 오르는 경로를 예로 들어, 식품이 유통경로를 따라 차츰차츰 식탁을 향하여 움직여 나가는 것은 그 경로상의 여러 관문(gate)을 지키는 수문장, 즉 게이트키퍼의 의사결정 때문이지 식품 자체의 원동력(impetus)에 의한 것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한 사회적 집단에서 커뮤니케이션 회로(communication channel)를 통해 흐르는 뉴스에서도 이와 유사한 (여러 단계의 조직적인) 의사결정과정이 발생
레빈이 미국에 와보니 슈퍼마켓이 있어서 관찰해보니 주부는 음식의 원재료를 사서 식탁에 음식을 올리더라. 어떤 경로로 올리는 것인가여러 단계를 거쳐서 gate를 지키는 무언가에 의해 단계별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목적지에 도달하는 것을 도출했다. 레빈은 게슈탈트-2차대전 와중에 유태계 독일인이 해외로 망명한 것- 심리학에 속해있다.
       게이트키핑 개념의 정의
뉴스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는 사건이나 이슈를 선정하여 관련된 정보를 취재수집하고 처리한 뒤 이를 특정한 기사형식과 편집을 통해 보도하는 언론인의 일상적 의사결정과정 또는 뉴스선정과정(news selection process) ← ‘전략적 의례’(strategic rituals), 제작 관행(routines)이 작용. gate는 내ㆍ외부 정보원일 수 있다.
       게이트키핑 개념의 변화
가)     개인으로서 게이트키퍼 연구: 초기
       D. M. White의 연구(1950)⋯뉴스 조직 내에서 뉴스가 지면에 실리는 과정 자체가 게이트키핑의 연속이다.
-      미국 중서부의 한 중소도시 조간신문 편집자(Mr. Gates)가 뉴스통신사(AP, AFP, Reuters )에서 입수하는 뉴스를 어떻게 선정하는지 관찰참여관찰
하루 100여건의 뉴스 중 10~15%만 선정해 보도하더라. 사장된 기사는 왜 사라졌나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가
-      입전된 뉴스 중 1/10을 선정하여 보도하는데, 게이트키퍼 자신의 경험, 태도, 기대 등 매우 주관적인 가치판단이 개입됨을 발견
       W. Gieber의 연구(1956)⋯White의 연구를 확장했다.
-      미 위스콘신주 16개 석간지의 외신부장을 대상으로 뉴스 의사결정과정 분석
-      독자의 기대에 대한 지각, 상사의 뉴스정책, 자신의 편견, 통신사의 뉴스공급량과 시간대 등이 의사결정과정에 중요한 영향력 행사함을 발견
            *뉴스공급량과 시간대조간신문과 석간신문의 마감시간이 달라
-      후속 연구를 통해 미디어 조직의 관료구조가 만들어내는 준거틀에 의해 뉴스가 선정되므로 게이트키퍼 개념을 사회적 조직으로 확대해서 파악할 것을 주장
            *준거틀미디어 관행과 편집정책. 사회적 조직은 위계  *사회적 조직뉴스조직은 관료적이고 위계화돼 있는 사회적 조직이다.
-      화이트의 개념보다 개인은 물론이고 조직의 게이트키핑 역할까지 연구했기 때문에 의의가 있다.
나)     관료적 구조로서 게이트키퍼 연구: 중기
       W. Breed의 연구(1955)
-      게이트키핑 과정을 조직 내의 사회적 통제(social control)’라는 관점에서 연구
-      관료적 조직인 편집국 내의 사회화 과정을 통해 기자가 발행인의 방침, 편집정책, 신문사 규범에 적응하고 또 상사의 통제와 지침에 동조해 가는 과정을 관찰
            *개인의 가치관뿐만 아니라 구조(이데올로기) 등 조직의 방침에 따라 뉴스가 생산된다.
       A. Bass의 연구(1969)
-      초기의 게이트키핑 연구가 지닌 개인 편향성을 비판하고 개념을 재정립
-      게이트키퍼의 기능을 뉴스유통에 따라 수집(취재활동)과 처리(편집/편성활동)라는 두 개의 단위로 나누고 이들이 조직단위에서 발생하는 의사결정행동이라고 규정
            *최종적으로 뉴스가 나왔을 때에는 한 사람이 작성한 기사가 아니다. 기자 개인의 이름을 달고 있지만 조직체 전체의 조정, 수평, 교정의 산물이다.
구조기능주의모든 것이 존재의 이유가 있다. 구조가 분화돼 있으면서 적절한 사회적 필요 속에 있는데 이 한 가운데 매스커뮤니케이션이 있다. 제각기의 부분이 하나의 목표를 위해서 기능할 수 있도록 조정해야 한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미디어의 활동 자체를 하나의 게이트키핑 과정으로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개별적인 미디어 수준을 벗어나서 하나가 된 게이트키핑 과정을 봐야 한다미디어 생태학 맥루한미디어 생태계 전체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연구할 때에는 미디어 조직 자체를 하나의 게이트키핑 단계로 봐야 한다.
기자 개개인의 역할(정치, 교육, 배경, 신념)이 영향을 미친다. 심리학적으로 연구가 많이 이뤄졌다. 기자 개개인의 협동적인 부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조직 차원에서는 개별 미디어 조직의 규모, 환경 속에서 재정립됐다. 거대한 사회체계를 구성하고 기능하는 시스템은 미디어 조직을 유기적으로 연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부시스템의 체계적인 작용이 그것이다. 대규모로 하기 때문에 매스 미디어라고 지칭한다.
신문조직과 방송조직의 게이트키핑 과정의 차이는⋯? 조직 구조가 분화된 이유는 효율적 업무 분장을 위해서다. 점선과 실선으로 연결돼 있는 행위자 혹은 조직에 의해 복잡한 게이트키핑이 진행된다. 미디어 아울렛은 신문, 방송, 인터넷이 융합된 배출구다. 뉴스망은 치밀하게 준비하고 예측해야 한다. 여러가지 정치적ㆍ복합적 이유가 작동한다. 아주 은밀한 정보가 왜 조선일보로 갔을 까? 국정원 댓글은 한국일보가 보도했는데특종은 대부분 철저히 만들어진다. 기자-편집구조가 분화된 이유는 좋은 뉴스를 빠르게 시공간적 상황에서 전달하기 위한 효율성을 극대화한 것이다.
다)     하부사회조직으로서 게이트키퍼 연구: 후기
       J. J. Waxman의 연구(1973)
-      미디어가 속해있는 관계상황(situational context)이 게이트키핑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      오픈 게이트(open gate): 사회의 공중(public)도 게이트키핑에 참여할 수 있음을 관찰하면서 게이트키핑 과정을 편집국, 편성국의 울타리를 벗어나 미디어 조직이 속한 지역사회의 범주에서 연구
       G Donohue, P. Tichener, & C. Olien의 연구(1972)
-      게이트 키퍼를 정보통제의 시스템으로 규정하고, 미디어의 게이트 키핑에 작용하는 모든 형태의 내, 외적 정보통제 요인을 포함시킬 것을 주장
라)     정리
       초기: 언론인(journalists) 개개인(기자 개인의 의사결정과정)
       중기: 미디어 조직 구성원의 조직적 활동(조직규범, 편집방침, 기자훈련과정 등 개별 미디어 조직의 구조와 환경 속의 집단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의사결정과정)
       후기: 미디어 조직은 거대한 사회체계(social system)의 한 하부체계(sub-system)로서 사회의 정보흐름 조절자(사회전체를 구성하는 하부시스템의 체계적 상호작용과정)
게이트키핑과 시공간적 뉴스망: 뉴스 미디어의 취재보도시스템
G.터크만(1978). 메이킹 뉴스: 현대사회와 현실의 재구성 연구
Kim.K.(2003).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news coverage in Korean newspapers. Gazette, vol.65(1), pp.65~85
김사승(2010). 저널리즘의 이해 (pp.72~100)
버그ㆍ루크만 『사회적 현실의 구성』
       게이트키핑 / 취재보도시스템유기적으로 연결돼 있다. 뉴스는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양질의 정보 상품(=뉴스)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이며,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생산하기 위해 미디어는 언론인의 업무수행 과정을 관료적인 조직구조의 특성에 맞춰 다단계적집단적 의사결정과정(multi-stage collective decision-making process)으로 배열(=게이트키핑)함으로써 뉴스선택을 신속하면서도 일상적으로 진행언론의 뉴스제작과정은 게이트키핑에 투입되는 뉴스정보를 안정적이고, 일관되며, 체계적으로 수집처리배치(=취재/편집/보도)할 수 있는취재보도시스템을 조직 차원에서 요구
게이트키핑개인>조직>사회시스템. White가 석간신문의 뉴스의사결정을 참여관찰하고 Gieber는 훨씬 많은 사례를 일반화했다. 편집자의 판단, 상사의 뉴스 정책, 신문사의 편집정책 등 정치적 신념과 지식ㆍ관점이 작용한다. 통신사의 뉴스공급량도 뉴스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뉴스결정 요인이다. 기자 개인의 수준부터 뉴스 의사 결정 과정이 이뤄진다. 의사 결정 과정 속에서 뉴스가 나온다. 여기서 키워드는 사회적 통제다. 조직의 일원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해가는 사회화를 통해 게이트키핑 과정을 스스로 겪는다. 최초의 게이트키핑은 지나치게 분절돼 있었다. 사회 전체를 유기체적인 관점에서 보는 구조구성주의적 관점의 연구도 있다. 특정한 구조와 특정한 기능을 하는 과정에서 전체가 개념화할 수 있는 것들에 의해 기능이 수행된다. 우리사회도 유기체적인 관점에서 보면 행정-사법-입법이 나름의 견제와 균형을 통해 기능하고 있다.
       시공간적 뉴스망’ (spatio-temporal news net)
취재보도시스템은 시간-공간 효율적으로 뉴스정보를 취사선택하는 한편, 이윤의 추구와 경영 압박을 받지 않도록 경제 효율적(비용자원 효율적)으로 뉴스를 가공전파해서 조직을 운영해야 하는 미디어 조직의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방식으로 조직화뉴스의 수집처리배치를 위한 게이트키핑 과정에서 시공간 효율성과 비용자원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체계적인 조직화 요구가시공간적 뉴스망의 형성으로 나타남 
∴ ‘시공간적 뉴스망’⋯ GK 과정에 수반되는 업무와 제작 관행을 조직 차원에서 시공간적으로 정렬한 조직의 취재보도시스템뉴스보도를 위한사실성의 망을 구축
게이트키핑 + 취재보도시스템 = 시공간적 뉴스망 → 사실성의 망 형성
소프트웨어 _ 하드웨어 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 틀의 질료
       뉴스란 불확실성 그 자체임에도 정해진 시간 내에 반드시 뉴스로 보도되지 않으면 뉴스가치가 없는, 수명주기가 짧은 정보 상품
       뉴스의 이 같은 속성(불확실성, 짧은 수명주기)으로 인해 신문방송 같은 언론사는 정해진 마감시간(deadline) 내에 업무와 관련된 불확실성을 가장 확실하게 줄이면서도 일관되고 안전한 방식으로 뉴스를 취재보도하는 체계(=취재보도시스템)를 효율적으로 갖추어야 할 조직적 필요가 발생
       유능한 어부가 특정 시간대에 특정 해역(공간)에 어군-사실성의 망-이 형성된다는 것을 감지하여 길목에 그물(net)을 쳐서 어획고를 높이듯, 언론사는 불확실한 뉴스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보도하기 위해 정보의 길목(집결지)을 포착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시공간적으로 조직의 자원과 인원을 집중 배치하는데 이 같은 자원과 인원의 시공간적 배열이 곧시공간적 뉴스망’ → 시간공간 효율성의 극대화 추구
       공간적 뉴스망의 예
-      뉴스를 수월하게 발굴취재보도하기 위해 정치부, 경제부, 사회부, 국제부 등을 조직 편제해 각 영역과 분야의 전문 정보를 편리하게 수집, 처리해 뉴스화
-      청와대, 국회, 관공서, 경찰, 학교, 병원, 법원 등 뉴스가치가 높은 정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뉴스의 집결지(길목)에 출입처(beat)를 두고 기자와 취재장비를 전담 배치하여 뉴스를 신속하게 취재하는 식으로 자원인원의 공간 활용조직부서 편제 및 조직성원의 역할 분담에 반영: 조직표(organizational chart)와 출입처 할당을 관찰
       시간적 뉴스망의 예
-      정해진 마감시간을 기준 삼아 하루 24시간을 편성한 뒤, 여기에 맞춰 뉴스조직원(저널리스트)의 일과를 꾸리고 통제하는 시간 계획과 운영
(
: 조간신문의 경우, 오전  편집회의오후 취재 및 기사작성/마감/지면편집야간 인쇄다음날 새벽 배포의 시간대 스케줄)
-      출입처 내 기자 집단은 출입처 정보원(취재원)의 일상과 활동에 조응하는 형태로 시간을 운영하고 관리
-      사건/이슈의 성격에 따라 뉴스제작에 걸리는 시간을 감안한 뒤, 해당 뉴스를 유형화(typification)하여 처리(: 동일 사안이라도 뉴스제작에 시간이 걸리고 심층보도를 요하는 내용은 뉴스, 다큐멘터리, 탐사보도 등으로 처리하지만, 비교적 단순한 사실전달과 속보를 요하는 내용은 스트레이트성 사실 기사로 연속 처리)하는 것과 같은 자원인원의 시간 관리조직부서 및 조직성원의 일과표(time table)에 반영
       시공간적 뉴스망의 영역 안에서 기자와 취재원 간의 정보교환(협상, 힘겨루기, 타협, 조건부 협약)이 관행적으로 이뤄지고, 이 과정에서사실성의 망(web of factuality)’이 형성됨사실성의 망에 걸리지 않는 내용(인물, 사건, 이슈 등)은 대부분 뉴스로 살아나지 못함(그러나 경우에 따라선 다양한 통제 요인, 결정 요인의 작용으로 사실성의 망에 걸린 내용일지라도 뉴스화 되지 않거나 뉴스화하더라도 내용이 변화함)
       언론사는 조직이 보유한 능력(가용자원: 인원, 기술, 자본, 노하우)이나 조건(석간체제, 방송시간과 채널운영, 편집()정책과 방침)에 맞춰 뉴스망을 구성하므로 시간적 뉴스망과 공간적 뉴스망은 서로가 서로를 규정비용자원 효율성의 극대화 추구
언론통제이론 vs. 미디어 사회학 vs. 구조주의 통제이론: 뉴스보도의 결정요인 분석
서정우, 언론통제이론 / 미디어사회학 / 게이트키핑의 이해 / 한국 언론의 사회학
우리나라의 언론 변천사미군정 시기 철저하게 말살됐다. 지배세력과 자본가 세력에 봉사하는 성격이 강화된 것이 바로 한국언론이다. 남한을 아시아 전체가 공산화되는 과정의 첩경으로 삼아 한국을 무대로 이념적 갈등이 폭발한 것이 한국전쟁이다. 미국이 가장 먼저 했던 것이 좌익계열의 언론사를 솎아낸 것이다. 516 쿠데타에서 민족일보의 사장이 사형을 당한다. 지금은 중도진보적인 논조를 가진 신문이다. 현대에 들어서는 이념적 스펙트럼이 굉장히 넓어졌다. 예전에는 절대 용인되지 않았다. 중도좌파, 사회민주주의도 용인되지 않았다.
교학사는 굉장히 협소한 이념적 틀을 사용해 역사적 이해를 하고 있다. 북한의 한국통사도 주체사상만을 부각시키며 교조화됐다. 언론의 내용, 미시적 차원에 빠지면 통시적 관점을 놓칠 수 있다.
       언론통제이론
가)     언론통제이론의 체계
       미디어조직을 하나의 게이트키퍼로 볼 때, 게이트키퍼의 활동에 영향을 주는 모든 요인을 통제요인으로 설명
       통제라는 개념은 미디어에 투입되는 정보가 결과물로 만들어져 나오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내적, 외적 요인들의 작용 또는 그 힘을 말하는 것으로 반드시 부정적인 개념을 내포하는 것은 아님(정부의 각종 지원정책과 제도, 시민사회의 긍정적 반향 등은 긍정적인 통제)
나)     각종 통제요인
       통제요인의 유형
-      정보원의 통제: 정보원에게서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작용하는요인(정보왜곡, 의도적 정보 유출 등)⋯Sigal “취재원이 말한 바가 뉴스다
-      정치적(법적) 통제: 언론에 대한 법적(제도적) 규정이나 정치적 압력 등(세무조사, 기소, 언론중재위원회 피해구제신청 등)
-      경제적 통제: 소유자나 광고주들의 영향력(인사권 통한 편집권 제한, 간접광고 등)
-      사회적(수용자, 공적) 통제: 수용자나 공중에 의한 통제(불매운동, 언론비평/모니터, 시민단체 언론활동 감시 등)
-      내적자율적 통제: 조직내부의 의사결정구조, 기자들의 가치관(공정성,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는 직업전문인주의), 직업윤리(기자윤리강령 등)
            *신창원 사건 같은 경우 너무 상세한 범죄 묘사로 인해 모방범죄, 영웅화 됐다는 비판이 일었다. 이 사건이 윤리강령, 보도지침을 마련하는 배경이 됐다.
       통제방식의 유형다양한 통제요인은 각각의 고유성이 있지만 긴밀하게 상호작용한다.
-      내적 통제 對 외적 통제조직 구조내의 권력 작동관계를 명확히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      공식적 통제 對 비공식적 통제
-      정치적 통제 對 경제적 통제
-      언론통제과정의 모형(그림: 언론통제 모형)⋯통제는 부정적 관점으로 이해가 된다. 호의적인, 우호적인 기사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통제를 하는 경우도 있다. 비판적인 언론에는 부정적인 통제를 하는 양가적인 모습을 보인다. 언론사 내에서 전문성을 토대로 스스로 통제한다. 경제적 통제는 기업ㆍ재벌 등 경제 주체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한다. 미디어 조직 자체를 게이트키퍼로 보는 중기 연구의 입각해 발전한 모델이다.
       미디어 사회학 (뉴스 보도의 계층적 결정 모형)⋯뉴스생산(보도/편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미시-거시)의 계층적 이론화. 하나의 개별요인이 상호작용을 해서 뉴스 output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NLL논란이 재점화 됐다. 조직 내 편집 이데올로기의 차이가 크게 드러나는 사안이다. 불확실한 세계를 확실한 일터로 한정하고 일상적으로 기사를 생산하기 위해 거시적 조직 차원의 외연으로 시공간적 뉴스망을 설정, 관행이 작동한다.
가)     기자의 개인적 특성(내적 요인)이 뉴스생산에 영향
       언론인의 개인적 태도, 가치, 신념(정치적종교적 성향)⋯미국 낙태 반대 운동을 취재한 여기자
       언론인의 배경과 경험(성별, 인종, 교육), 직업적 역할과 윤리(전문성, 직업규범의 이해)
       언론인의 조직 내 위치 및 권력(일선취재기자, 데스크, 경영진의 의사결정권한)
나)     미디어 조직 내의 일상적인 미디어 관행이 뉴스생산에 영향
       미디어 관행(media routines)⋯일상적 생활, 시공간적 삶을 조직화했을 때 관성적으로 따라가는 행동
-      미디어 종사자들이업무를 수행하는데 사용하는 형식화되고 일상적이며 반복되는 일과형태와 절차로 업무수행과 관련된 개인의 즉각적인 주변 환경을 조성
-      관행은 미디어 종사자, 정보제공자, 수용자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계를 통해 형성
#취재원 기자의 취재경쟁에서 생긴 관행적인 룰
* off the record⋯보도불가. 보도를 하지 않는다는 전제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
* embargo⋯보도유예. 항만의 외국선박이 드나들 때 허락을 받도록 하는 것으로 일정 기일 이후에 보도할 것을 약속하는 것
* background briefing⋯배경정보제공. 정보는 제공하지만 정보원의 신원을 가려달라는 요청이 있을 때
       일반적인 뉴스가치가 특정 방식으로 뉴스생산에 영향
-      특정 사건/이슈의 뉴스가치↑ → 뉴스화 경향↑⋯cf. 황장엽 주체사상 입안
-      기자 개인의 태도, 가치관, 정치적 정향 등에 의해 특정한 방식으로 사건/이슈의 뉴스가치가 결정되기도효순이 미선이가 사망했을 때는 2002년 월드컵이 한창이던 시기였다. 미디어가 거꾸로 수용자 요구에 의해 뉴스를 받기도 한다. 기자들과 미디어 조직은 조직적으로 가치판단의 과정을 거친다.
-      일반적인 뉴스가치
       시의성(timeliness): 새롭고 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현실성가장 최근 일,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옛날의 사건
       저명성(prominence): 관여된 내용(인물, 장소 등)이 잘 알려진 정도지방신문은 자기 지역의 사안을 헤드라인으로 쓴다.
       근접성(proximity): 심리적지리적으로 가깝게 느껴지는 정도재난이 멀리서 발생했더라도 한국 사람이 포함돼 있으면 근접성이 강한 기사다.
       영향성(consequence):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의 규모 또는 수용자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건강, 입시ㆍ교육, 복지공약 등 사안과 매체별로 다르다.
       인간적 흥미(human interests): 분노, 감동, 환희, 슬픔 등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정도동일한 사안이라도 서사구조를 가지면 흥미를 가진다.
       사회적 중요성(social significance): 사회/문화 공동체에 공공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정도
       예외성(unusualness): 비일상적, 비정상적, 신기한 것의 정도신기성과 일탈성
       전략적 의례(strategic rituals): G. Tuchman, <Making News>
-      뉴스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발생할지 모르는 불확실성 그 자체이지만 생명주기가 너무 짧은 정보상품뉴스의 취재보도란 예측불가능성 및 시간과의 싸움
-      불확실성의 세계인 뉴스를 정해진 시간 내에서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취재, 보도하기 위해 언론의 저널리즘 활동은 시공간적 뉴스망이 유도하는 시공간적 동선을 따라일상화된 방식으로 전개. 그것이 곧 미디어 종사자의 일상적 취재보도활동을 규정하는미디어 관행으로 정착
-      역 피라미드형 문장구조: 표제(제목)-리드-본문모든 육하원칙의 정보를 정렬해 리드에 핵심내용을 담는 구조 ↔ 정사각형 구조결론에 핵심문장을 제시
-      카메라 앵글의 의미화: , 각도, 줌 인-아웃, 패닝 등
-      객관주의전문성을 강조하는 조직규범: 삼각확인, 양비양시 등사안이 복잡할 경우 당사자의 이야기를 같은 선상에서 들은 후 충분한 정보습득을 하는 것
-      (시공간적 뉴스망의) 출입처 취재: 취재원과 기자 간의 조건부 정보교환 협약(엠바고, 오프더레코드 등)
-      석간 발행 체제에 따른 마감 및 제작시한 운영구체적 기사작성 단계
다)     미디어의 조직적 특성이 뉴스생산에 영향
       미디어 조직의 구조와 목표언론사의 목표는 저널리즘과 시장 장악
       미디어 조직의 소유형태와 정책종편보도에 대한 우려
뉴스가치를 판별하는 것은 매체 별로 다르다. 조선일보와 한겨레 독자들의 기대가 다른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요청이나 희망, 원하는 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프레이밍을 하고 논조를 정해 뉴스를 생산해낸다. 일반화된 뉴스가치를 한정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뉴스보도가 다루는 사건이나 특징은 기계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대선에서 종편은 형식을 파괴하고 논객을 끌어모아 보도했다. 4대 종편의 주된 시청자는 50~60대다. 조직구조에서 가장 큰 출자자인 모기업 또한 보수적이다. JTBC의 노선은 주목할 만하다. 이념의 지평이 늘어났다. 그 이유는 외연을 확장하기 위함이다. 중도와 중도진보층까지 끌어들이겠다는 것이다. 소유구조와 정책, 편집방침이 넓어져 보도부문의 시청자를 많이 확보하겠다는 전략을 펴고 있는 것이다. 의견의 다양성과 알 권리를 보장하는 부분에서 민활하게 변화하는 것은 긍정적이다.
라)     미디어의 조직외적 환경이 뉴스생산에 영향
       정보원과의 사회적 상호작용 또는 사회적 관계언론통제이론에서 정보원 통제
       광고주의 영향자본주의 사회에서 미디어의 운영 원리(매체 경제학)
       수용자의 영향사회적 영향력
       정부의 언론정책과 통제정치적ㆍ법적 통제
       미디어 시장의 구조와 행위유통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환경 자체가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
       연관 산업분야포털의 뉴스 시장 구조 포털에서 문제가 발생하자 언론 매체로 규정하려 했다. 하지만 포털은 우리는 뉴스 중개 플랫폼일 뿐이다라는 논리를 주장했다. 문제가 생기면 귀책사유가 있는 것은 매체사라는 주장을 하다 법이 개정됐다. 그래서 네이버가 캐스트에서 스탠드로 바꿨다. 저널리즘의 원칙이 파괴되고 있다. 포털의 뉴스 파트도 언론 매체다. 사람들의 노출 다양성이 점점 줄어들면서 식견 있는 시민을 양성하는 것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다.
마)     사회적 이데올로기가 뉴스생산에 영향
       자본주의 사회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는 기본적으로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네오막시즘
       자본주의 사회에서 언론은 교육, 종교 등과 함께 사회질서를 옹호유지시키는 임무를 담당하는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Ideological State Apparatus): vs. RSA
       자본주의 사회의 언론은 지배 이데올로기를 뉴스, 오락 프로그램과 같은 정보상품(문화상품)의 형식으로 생산유포시키며, 여기에는 자본주의적 가치관과 사회질서를 옹호하는 이데올로기가 담겨있어 수용자는 정보상품의 소비를 통해 지배 이데올로기를 체득화. 이것이 곧 언론의 이데올로기적 기능
(그림: 뉴스결정의 계층화 모형)
미디어 뉴스결정의 계층화 모형개인적 차원>미디어 관행 차원>조직 차원>미디어 외적 차원>이데올로기적 차원 등 겹겹이 둘러싸인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뉴스가 생산된다. 외연이 확장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름은 다르지만 언론통제이론과 일맥상통한다. 비공식적 영향을 비롯해 계층화돼 있는 여러 차원의 요인이 상호작용을 한다. 이중 중요하게 작동할 수 있는 연구의 영향력은 무엇일까우리나라 언론계는 동일한 사안에 대해 어떤 해석을 하는지도 중요한 연구문제다. 한편 위의 계층모델의 한계는 미디어 작동 방식이 훨씬 미시적이라는 것이다. 미디어 내용이 수용자의 신념과 상호작용을 할 때 일치하면 효과가 고양된다. 좋아하는 내용은 선호하고 다른 매체에 대해서는 무조건적인 적대감을 보이기 때문이다이데올로기가 전체 사회의 영향을 미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오프라인에서 온라인ㆍ포털로 저널리즘이 이동하고 있다. 미국ㆍ일본 등은 여전히 오프라인에서 신문을 찍어낸다. 뉴욕타임즈는 향후 20년간 점차 온라인으로의 정착을 완료할 것이라고 밝혔다. 뉴스 품질에 자신이 있는 것이다. 온라인에서도 유료화를 해서 4주에 35$를 받고 있다. 오프라인 신문 구독자들은 온라인으로 자동 연결된다. 우리나라는 고리타분한 뉴스시스템에 고착돼 있다. 포털에 그냥 뉴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포털은 다른 콘텐츠로의 연결을 위한 미끼로 뉴스를 사용해왔다. 도저히 되돌릴 수 없는 상황이 됐다. 같은 매체사라고 해도 선호도ㆍ경쟁관계가 다르다보니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에서 뉴스가 연성화됐다. 자극적이고 공적 뉴스에 대한 관심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여론모든 의견이 일반화된 것처럼 언급하지만 일반 시민일 뿐이다. 전에는 정통하다고 알려진 전문가가 취재원으로 등장해왔지만 이제는 전혀 새로운 관행이 생성ㆍ작용하고 있다. 동일한 뉴스다른 노출 매개를 사용하면 수용자가 받아들이는 것도 완전히 다르다.
초기 언론사는 산업 진입 비용이 엄청나게 들었지만 이제는 원맨 저널리스트가 많아지고 있다. 무가치한 뉴스가 계속ㆍ생산되고 있다. Double deep⋯끊임없는 바닥으로의 경주?
       구조주의 통제이론한국 언론의 성장과 성격변화에 영향을 미친 언론 내외적 요인을 역사적으로 분석
라)     국가의 개입
       정책결정, 법규나 제도를 통한 통제검열, 직접 소유, 광고주, 인선에 의한 영향력 행사
       자본일반의 관리와 조정 역할을 담당하면서 사회의 이데올로기 재생산을 위해 그리고 자체의 정당성 확보를 위해 여러 방식으로 언론의 작동에 개입
마)     자본의 영향
       광고주로서 영향력 행사: 광고의 소구대상인 수용자의 관심을 끄는 방향으로 언론의 내용이 결정되도록 영향력(상업주의, 선정주의)
       직접 소유를 통해 영향력 행사: 정보상품의 생산판매를 통해 이윤을 획득하는 한편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적 재생산을 직접 담당
       언론이 자본주의 기업으로서 정보상품을 생산하면서 광고가 주된 재원
바)     언론자본의 영향대기업화, 소유구조 변동을 통한 시장장악과 자본축적을 통해 특정 방식으로 성격변
사)     국외요인: 제국주의의 영향
       일제와 미군정기를 거치면서 근대적인 형태의 언론제도 및 관행이 정착
       제국주의 세력의 원조자금 및 차관 등의 자본수출과 언론상품의 수출을 통해 영향력
아)     언론인과 수용자
       언론 내부의 저항으로서 언론인의 언론운동(유신 및 80년대말-90년대초)
       언론 외부의 저항으로서 수용자운동(80년대 후반이후: KBS 수신료 거부운동)
       세 가지 이론적 관점의 비교
구 분
언론통제이론
미디어 사회학
구조주의 통제이론
게이트키퍼
미디어조직
미디어조직
(저널리스트 개인)
미디어 체계
핵심이론의 관점
구조기능주의 관점
(중시적-제도적)
사회심리학적 조직행동론
(미시적-과정적)
맑스주의 언론이론
(거시적-역사적)
인간론
결정론
자유의지론





이민웅, 진실보도: 좋은 뉴스의 으뜸가는 조건
논문의 주요 담론은 언론의 뉴스 담론 생산과 관련해 사회 구성주의 시각을 일정하게 수용하고 언론의 담론적 실천 역할을 인정한다면, 진실 보도의 가치는 더 높아진다는 명제와 그렇기 때문에 진실 보도는 좋은 뉴스의 필수적이며 으뜸가는 조건이라는 명제를 이론적으로 입증하는 것이다. 뉴스는 언론의 뉴스틀에 의해 재구성된 현실이다. 언론에 의해 재구성된 현실은 독자, 시청자에게 재귀해 그들의 다음 현실 구성에 영향을 미친다. 진실하지 못한 언론의 현실 재구성은 여러 가지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폐해를 가져온다. 특히 언론 보도의 담론적 실천 역할을 고려할 때, 진실한 진실한 정보를 토대로 한 숙의라야 현실을 합리적으로 개혁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진실보도의 가치는 더 높아진다. 결국 언론의 현실 재구성은 가급적 종합적 진실에 가까이 갈 수 있도록 사실을 충실하게 수집해서 정직하고 신중하게 표상하도록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진실 보도는 좋은 뉴스의 필수적이며 으뜸가는 조건이다.
뉴스는 실제로 일어난 현실의 반영 또는 복제가 아니라 언론에 의해 선택되고 해석된 현실이다. 어떤 뉴스를 선택하느냐가 우선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선택 그 자체가 1차적인 해석 과정이 된다. 언론이 보도하는 뉴스는 단순한 선택이 아니다. 선택된 사건에 해석을 가미한다. 사설이나 칼럼처럼 적극적인 해석을 가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어떤 사실을 어떤 맥락 속에서 기사화하느냐에 따라 사실이라도 의미는 사뭇 달라질 수 있다. 언론의 현실 구성에는 크게 기자, 편집자 개인의 가치, 태도, 역량 뿐 아니라 언론의 취재ㆍ보도 관행 언론사의 소유 형태 및 편집 정책 등 언론 조직의 성격 언론사와 주요 외부 세력의 힘의 관계 특정 사회의 지배세력과 그 이데올로기 등이 위계적으로 작동한다. 특정한 현실에 대한 언론의 보도가 그 현실을 구성하는 사실을 정확하고 종합적으로 표상해 그 사실에 최대한 근접할 때 진실 보도라고 정의한다.
논문의 핵심 개념은 사실, 사회적 구성, 진실보도, 재귀성(reflexivity). 기든스는 제도적 재귀성(성찰성)을 특정 사회의 엘리트에 의해 창출되는 과학적, 전문적 지식의 순환을 통한 현대화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논문에서 성찰성을 재귀성으로 옮긴 이유는 사회과학적 지식은 현실의 탐구로부터 나오지만 그 지식은 다시 현실로 되돌아가서 사회적 행위자의 현실 구성에 크든 적든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성찰성보다 재귀성이라고 명명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파악했기 때문이다.
사실사회적 사실은 자체적으로 지시 대상성을 지닌다. 사회적 사실이 창출되기 위해서는 특정한 지위와 그 지위에 따르는 기능에 대한 수행적 공표가 필요하다. 자연적 사실이 사회적 사실보다 논리적으로 우위에 있어야 한다. 사회적 사실 간에는 체계적 관계가 존재한다. 사회적 사시은 사실 그 자체의 결과물보다 과정, 대상보다는 행위에 우선성이 두어진다. 지위 기능의 부여와 언어 사이에는 특별한 관계가 존재한다.
사회구성주의사회 현실은 객관적인 현실이 아니라 의미 있는 구성이라는 입장이다. 진실은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모든 사회적 집단은 일련의 자체 진실을 갖고 있다. 따라서 진실은 합의와 공존한다. , 진실이 합의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합의가 진실을 만든다.
진실보도가 좋은 뉴스의 필수적이며 으뜸가는 조건이라고 보는 이유는 진실하지 못한 보도가 가져오는 직접적인 폐해도 문제지만 허위정보, 왜곡된 정보를 토대로 아무리 수준 높은 숙의가 이뤄진다 해도 그 숙의는 결국 잘못된 결과를 가져올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통상 진실에 가까운 근사치를 추구한다. 그렇다면 진실보도란! 특정한 현실에 대한 언론의 보도가 그 현실을 구성하는 사실을 정확하고 종합적으로 표상해 그 사실에 최대한 근접할 때 이를 진실보도라고 정의한다.

진실보도는 3가지 경우 훼손된다. 취재가 부족해 너무 적은 사실을 바탕으로 기사를 작성할 경우 너무 많은 사실로 인해 자료의 홍수에 빠져 중요한 사실을 놓칠 경우 이해관계 또는 이론적 시각에 따라 사실을 자의로 취사선택할 경우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